||
<-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20460 , #0659D6)" {{{#F7F7F7 ''' 루벤 외스틀룬드의 주요 수상 이력 ''' }}} }}} |||| ||<#ffffff,#191919><-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
{{{#e5d85c ''' 역대 [[칸 영화제|{{{#e5d85c 칸 영화제}}}]] ''' }}} || ||<-5>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width=200]] || ||<-5> [[칸 영화제/황금종려상|{{{#e5d85c '''황금종려상'''}}}]] || || ''' [[2016년 칸 영화제|제69회]] [br] ([[2016년]]) ''' || {{{+1 → }}} || ''' [[2017년 칸 영화제|제70회]] [br] ([[2017년]]) ''' || {{{+1 → }}} || ''' [[2018년 칸 영화제|제71회]] [br] ([[2018년]]) ''' || || [[켄 로치]] [br] ([[나, 다니엘 블레이크]]) || {{{+1 → }}} || '''루벤 외스틀룬드 [br] ([[더 스퀘어]])''' || {{{+1 → }}} || [[고레에다 히로카즈]] [br] ([[어느 가족]]) || ||<-5> || || ''' [[2021년 칸 영화제|제74회]] [br] ([[2021년]]) ''' || {{{+1 → }}} || ''' [[2022년 칸 영화제|제75회]] [br] ([[2022년]]) ''' || {{{+1 → }}} || ''' [[2023년 칸 영화제|제76회]] [br] ([[2023년]]) ''' || || [[쥘리아 뒤쿠르노]] [br] ([[티탄(영화)|티탄]]) || {{{+1 → }}} || '''루벤 외스틀룬드 [br] ([[슬픔의 삼각형]])''' || {{{+1 → }}} || [[쥐스틴 트리에]][br]([[추락의 해부]]) || ||<-5> || }}} || ||<-2> {{{+1 {{{#fff ''' Ruben Östlund ''' }}} }}} [br] {{{#fff ''' 루벤 외스틀룬드 '''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스홍철.jpg|width=100%]]}}} || || '''이름''' ||'''클라에스 올레 루벤 외스틀룬드[br]{{{-1 Claes Olle Ruben Östlund}}}'''|| ||<|2> '''출생''' ||[[1974년]] [[4월 13일]] ([age(1974-04-13)]세)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8]] [[스웨덴]] 예테보리 시|| || '''국적'''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8]] [[스웨덴]]|| || '''신체''' ||182cm|| || '''직업''' ||[[영화 감독]], [[각본가]]|| || '''활동''' ||[[1993년|1993년]] – [[현재]]|| || '''데뷔''' ||[[1993년]] [[영화]] Addicted|| || '''학력''' ||예테보리 대학교|| [목차] [clearfix] == 개요 == [[스웨덴]]의 [[영화 감독]]. 백인 선진 국가의 위선을 풍자하는 블랙 코미디를 주로 찍는 감독이다. [[2017년 칸 영화제|2017년]]과 [[2022년 칸 영화제|2022년]]에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2회 수상했다. 그 어렵다는 황금종려상을 무려 두 번이나 받았으며, 나이도 40대 후반의 비교적 젊은 편이라 앞으로의 미래가 기대되는 감독.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2편의 영화 모두 칸 영화제 기간 동안 호평 최상위권 작품이 아니었던 점[* 2017년에는 《[[120BPM]]》, 《[[러브리스]]》, 《[[너는 여기에 없었다]]》, 2022년에는 《[[EO]]》, 《[[클로즈]]》, 《[[헤어질 결심]]》, 《[[R.M.N.]]》가 칸 영화제에서 외스틀룬드 감독의 영화보다 반응이 좋았다.], 정식 개봉 후에도 영화 평가가 크게 달라지지 않은 점 등으로 전세계 영화팬들에게 논쟁을 일으키는 감독이다.[* 다만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은 당해 심사위원들의 취향이 상당부분 반영된다는 점을 고려해야한다.] 전반적으로 공평한 논쟁을 유도하는 듯 하면서 노골적으로 해석이 정해진 구도와 20세기 유럽 정치 풍자 영화의 전통에서 벗어나지 않는 식상한 작풍이 [* 특이하게도 북유럽 감독임에도 남유럽쪽 풍자 영화 감독 [[루이스 부뉴엘]], [[리나 베르트뮐러]], [[마르코 페레리]]가 자주 언급된다.] 비판의 요소로 꼽힌다. 이동진 평론가는 이 시대 최고의 감독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창의적인 개성을 가지고 있는 감독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반대로 [[허문영]]은 [[더 스퀘어]]에 강한 비판을 가하기도 했다.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2편의 영화 보다 그 이전에 발표된 《[[포스 마쥬어: 화이트 베케이션]]》이 커리어에서 가장 호평받는 영화인 것도 특이한 포인트. 사실 초창기에는 하네케의 [[미지의 코드]] 영향으로 풍자보다는 스웨덴 사회의 꼴불견이나 논란이 될 법한 행동들을 건조하게 관찰한다는 느낌이 강했는데 포스 마쥬어를 기점으로 풍자 성향이 짙어지기 시작했다. 평소 퍼포먼스나 발언이 강한 편이라 영화 감독치고 튀는 축에 속한다. == 커리어 == 고등학생 시절 짧은 스키 영상을 찍다가 영화 학교에 진학해 영화감독으로서의 커리어를 시작하게 된다. == 필모그래피 == * [[몽골로이드 기타]] (2004) * [[분별없는 행동]] (2008) * [[플레이 (영화)|플레이]] (2011) * [[포스 마쥬어: 화이트 베케이션]] (2014) * [[더 스퀘어]] (2017) * [[슬픔의 삼각형]] (2022) [[분류:스웨덴 영화 감독]][[분류:1974년 출생]][[분류:1993년 데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