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20680_t182_2022_0_003_000.png|width=100%]]}}} || ||<-2> '''{{{#fff 말라가 CF No.24}}}''' || ||<-2> '''{{{#2572b4 {{{+1 루벤 카스트로}}}[br]Rubén Castro}}}''' || || '''{{{#fff 본명}}}''' ||루벤 카스트로 마르틴[br](Rubén Castro Martín) || || '''{{{#fff 생년월일}}}''' ||[[1981년]] [[6월 27일]] || || '''{{{#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 || '''{{{#fff 출신지}}}''' ||그란 카나리아, 라스 팔마스[br](Las palmas de gran canaria) || || '''{{{#fff 신체조건}}}''' ||170cm || || '''{{{#fff 포지션}}}''' ||[[스트라이커]][* [[윙어]]도 가능하다.] || || '''{{{#fff 주발}}}''' ||오른발 || || '''{{{#fff 유소년 클럽}}}''' ||아르테사노[br]라스 팔마스 || || '''{{{#fff 소속 클럽}}}''' ||[[UD 라스 팔마스|라스 팔마스 B]] (2000~2001)[br][[UD 라스 팔마스]] (2001~2004)[br][[데포르티보 라 코루냐]] (2004~2010)[br]{{{-1 → [[알바세테 발롬피에]] (2004~2005 / ^^임대^^)}}}[br]{{{-1 → [[라싱 데 산탄데르]] (2006 / ^^임대^^)}}}[br]{{{-1 → [[짐나스틱 데 타라고나]] (2007 / ^^임대^^)}}}[br]{{{-1 → [[SD 우에스카]] (2008~2009 / ^^임대^^)}}}[br]{{{-1 → [[라요 바예카노]] (2009~2010 / ^^임대^^)}}}[br]'''[[레알 베티스 발롬피에]] (2010~2018)'''[br]{{{-1 → [[구이저우 헝펑 즈청]] (2017 / ^^임대^^)}}}[br][[UD 라스 팔마스]] (2018~2020)[br][[FC 카르타헤나]] (2020~2022)[br][[말라가 CF]] (2022~)||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565254400415.jpg|width=100%]]}}} || 스페인의 축구선수. 포지션은 스트라이커이다. == 선수 경력 == 2001년 [[UD 라스 팔마스]] 소속으로 데뷔하였고 2003-04 시즌 스페인 2부 리그인 [[라리가 2|세군다 디비시온]]에서 22골을 넣어 득점왕을 차지하면서 이름을 알렸다. 이후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로 이적하였으나 이렇다할 활약없이 임대 생활을 전전하다가 세군다 디비시온 [[우에스카]]와 [[라요 바예카노]]에서 두 시즌 연속 두 자릿수 득점을 올려[* 2008-09 시즌 13골, 2009-10 시즌 15골] [[레알 베티스 발롬피에]]로부터 러브콜을 받아 이적한다. 베티스로 이적한 첫 시즌인 2010-11 시즌에 48경기에 나서 32골을 기록하며 베티스의 세군다 디비시온 우승과 [[라리가]] 승격, [[코파 델 레이]] 8강을 이끌었다. 2011-12 시즌 리그에서 34경기에 나서 16골을 기록하여 라리가 득점 7위에 올랐다. 2012-13 시즌에는 코파 델 레이 16강전에서 친정팀 라스 팔마스를 상대로 두 골을 넣어 베티스의 8강을 이끌었고 리그에서는 18골을 넣어[* 라리가 득점 6위] 베티스가 리그 7위로 [[UEFA 유로파 리그]] 진출 티켓을 따는데 크게 공헌하였다. 2013-14 시즌 34경기 13골을 기록해 팀의 주포로서 부진한 시즌을 보냈고 베티스도 리그 최하위로 시즌을 마감해 승격 세 시즌만에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강등 당했다. 2014-15 시즌 리그 42경기에 출전하여 32골을 넣어 베티스의 세군다 디비시온 우승과 라리가 승격 그리고 커리어 두 번째 세군다 디비시온 득점왕을 이뤄냈다. 2015-16 시즌 리그 전경기 출전해 19골을 넣어 [[카림 벤제마]], [[네이마르 주니오르]], [[앙투안 그리즈만]], [[가레스 베일]] 등에 이은 라리가 득점 8위를 기록했다. 2016-17시즌에는 35경기 나와 13골을 넣었다. 2017-18시즌 세티엔이 지휘봉을 잡고 벤치에 앉아 있는 일이 많아 졌다. 결국 10경기에만 나와 1골을 넣었고 라스팔마스로 이적갔다. 라스팔마스에서 두 시즌간 51경기에 나와 26골을 넣었지만 승격에는 실패했다. 2020-2021시즌 겨울 이적시장에서 카르타헤나로 이적을 갔고 9경기에 나와 7골을 넣었다. 2021-2022시즌에는 16골을 넣고 2부리그 득점왕 경쟁을 하고 있다. 41R 아모레비에타전 해트트릭을 넣었다. == 플레이스타일 == 오프사이드 트랩을 교묘하게 깨는 솜씨가 가히 일품이었고, 주발이 오른발이지만 왼발도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 페널티 에어리어 안에 있으면 어디에 있든 위협적인 슛을 때릴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페널티 에어리어의 지배자'''. 레알 베티스 시절 라리가에서는 '''슛 대비 득점률이 항상 리가 탑급'''에 위치했었다. 정통 스트라이커이긴 하지만 이런저런 스타일을 많이 소화할 수 있는 '''다재다능함'''도 그의 장점이다. 순간 주력 역시 훌륭해 스트라이커로서도 뛰어나지만 윙 포워드로서도 뛰어나고, 조금 처져서 뛰는 세컨 탑으로도 솜씨가 좋다. 올리베이라가 떠났고 [[베냐트 에체바리아]]가 아직 어려서 이렇다 할 플레이 메이커가 없었던 2010년대 베티스 공격 전개 과정을 혼자 주도하다시피 하며 한시즌 리가에서만 19골을 기록한 것이나 좌측 윙 포워드 당시의 활약은 그 백미다. 장거리 드리블을 즐기지는 않지만 페널티 에어리어 안에서 수비수 한두 명은 여유롭게 제친다. 하지만 '''가장 큰 장점은 킥의 정확도와 침착함'''. 당시 거의 혼자 공격을 주도하다시피 한 시기도 길었는데, 이런 경우 선수는 어떻게든 공격을 마무리하기 위해 무리한 슛도 많이 때리게 되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서운 골결정력'''을 뽐냈다. 굳이 단점을 꼽자면 공중 제공권이 약하며[* 170cm라는 키는 공격수가 공중 제공권을 가져가기엔 많이 불리하고, 그럼에도 작은 키의 불리함을 탁월한 위치선정으로 어느정도 극복한다.] 시즌 후반부에 나타나는 고질적인 뒷심부족이다. 아무래도 체력적인 문제인 듯 한데 라 리가 시절 항상 초중반에 무서운 기세로 골을 때려 박다가도 시즌이 말미에 접어들면 리그 초중반의 페이스를 끝까지 이어가지 못하며 번번히 득점왕 경쟁에서 미끄러지곤 했다.[* 대부분의 이러한 유형의 스트라이커들이 이런 경향이 잦다. 탁월한 피지컬이 아님에도 왕성한 활동량을 바탕으로 다양한 위치에서 연계와 피니쉬를 하는 동적인 모습을 보이다보니, 후반기에 나타나는 이러한 체력저하는 피할 수 없는 숙명이다.] 이런 한계 때문에 카스트로는 2010년대 초반 라리가 최고의 스트라이커를 꼽을 때 빠지지 않고 언급되는 선수임에도 불구하고, 최전성기였던 베티스 시절에도 라리가에서 한시즌 20골을 넘지 못했다. == 기록 == === 대회 기록 === * [[레알 베티스 발롬피에]] (2010~2018) * [[라리가 2|세군다 디비시온]]: 2010-11, 2014-15 === 개인 수상 === * 세군다 디비시온 피치치: 2003-04, 2014-15 * 세군다 디비시온 이달의 선수: 2020년 6월 == 여담 == 레알 베티스 역사상 최다 득점자이다. [include(틀:말라가 CF)] [각주] [[분류:1981년 출생]][[분류:라스팔마스 출신 인물]][[분류:스페인의 축구선수]][[분류:UD 라스팔마스/은퇴, 이적]][[분류:데포르티보 라 코루냐/은퇴, 이적]][[분류:알바세테 발롬피에/은퇴, 이적]][[분류:라싱 데 산탄데르/은퇴, 이적]][[분류:짐나스틱 데 타라고나/은퇴, 이적]][[분류:SD 우에스카/은퇴, 이적]][[분류:라요 바예카노/은퇴, 이적]][[분류:레알 베티스/은퇴, 이적]][[분류:구이저우 FC/은퇴, 이적]][[분류:FC 카르타헤나/은퇴, 이적]][[분류:말라가 CF/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