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Ruby}}}'''[br]''Pistola Ruby''[br]''루비 권총''}}}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thefirearmblog.com/French-Pistol-Ruby-M1915-left.jpg|width=100%]]}}}|| ||<-2><:> {{{#000,#ddd {{{-1 프랑스제 루비 M1915}}}}}} || || '''종류''' ||[[자동권총]] || || '''원산지'''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width=23]] [[스페인 왕정 복고|스페인]]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914년]]~[[1958년]] || || '''개발''' ||[[존 브라우닝]] || || '''개발년도''' ||[[1914년]] || || '''생산년도''' ||[[1914년]]~[[1930년]] || || '''생산수''' ||750,000정 이상 || || '''사용국'''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width=23]] [[스페인 왕정 복고|스페인]][br][[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3]] [[벨기에]][br][[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23]] [[프랑스 제3공화국|프랑스]][br][[파일:나치 독일 국기.svg|width=23]] [[나치 독일]][br][[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3]] [[핀란드]][br][[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width=23]] [[이탈리아 왕국]] 외 다수 || || '''사용된 전쟁''' ||[[제1차 세계 대전]][br][[소비에트-폴란드 전쟁]][br][[폴란드-리투아니아 전쟁]][br][[리프 전쟁]][br][[스페인 내전]][br][[겨울전쟁]][br][[제2차 세계 대전]] || ||<-2> {{{#White '''기종'''}}} || || '''원형''' ||[[콜트 M1903|콜트 M1903 포켓 해머리스]] || || '''파생형''' ||50가지 이상 || ||<-2> {{{#White '''세부사항'''}}} || || '''탄약''' ||.32 ACP || || '''급탄''' ||9발들이 박스탄창 || || '''작동방식''' ||블로우백 || || '''총열길이''' ||80~120mm || || '''전장''' ||170~210mm || || '''중량''' ||0.85kg ||}}} || [목차] [clearfix] == 개요 == || [youtube(V8K0FC5PXng)] || [youtube(-gG0bzpZh4U)] || || 리뷰 영상 || 사격 영상 || [[스페인]]의 [[자동권총]]. 가빌론도와 우레스티사가 개발한 [[존 브라우닝]]의 [[콜트 M1903#포켓 해머리스|콜트 M1903 포켓 해머리스]]를 바탕으로 한 일종의 표준 규격[* 제조사마다 다르게 만들었지만 루비라 통틀어서 부른다.]으로, 50가지 이상의 변종들이 존재한다. == 역사 == [[제1차 세계 대전]] 초기인 1915년, [[프랑스]]는 7.65mm [[자동권총]]으로 루비를 채택하여 1달에 권총 10,000정을 생산해서 조달하는 조건으로 가빌론도와 우레스티사와 계약을 체결하였는데, 권총 수요량이 엄청나게 늘어나면서 8월 즈음에 가면 1달 목표치가 30,000정, 이후에는 50,000정까지 증가하였다. 가빌론도와 우레스티사는 이 계약을 간신히 대처하여 권총을 제조하는 업체 4곳과 협력해 각 회사가 최소 1달에 권총 5,000정을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가빌론도와 우레스티사는 품질 관리를 거쳐가며 10,000정을 제조한 뒤 프랑스 [[누벨아키텐#데파르트망|바욘]]으로 전달할 예정[* 가빌론도와 우레스티사가 제조한 권총은 총 250,000정에서 300,000정으로, 다른 업체에 비해 좋은 품질로 남달랐다고 한다.]이었다. 이 과정에서 가격은 그대로 필요한 권총의 수가 증가하자 다른 제조업체 3곳을 모집하였다. 하지만 프랑스 내 전황이 좋지 않게 되면서 조달되는 과정이 불안정해지자 결국 가빌론도와 우레스티사는 다른 세 회사와 45곳의 회사가 프랑스 내에서 직접 생산하는 것으로 계약을 체결하였다. == 상세 == 루비는 대체로 직관적이지만, 해머가 보이지 않고 안전 장치도 한 부분에 의존하다보니 격발될 위험이 있었다. 초창기형은 꽉 끼는 권총집에 집어넣다가 안전 장치가 풀리는 경우도 있었다. 수많은 루비들이 마감처리가 좋지 않아 단기간에 닳았는데, 특히 핵심 작동기구와 [[탄창]]이 상해서 도중에 총이 분해되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철강 부품들을 강화하는 조치를 했지만 대부분의 루비들은 광범위하게 제조되다보니 부품의 표준화가 미비해져서 유지관리에 악명이 높았다. 그래도 원본 루비는 적절한 품질로 신뢰성과 정확성 면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가빌론도와 우레스티사는 1919년 이후로는 루비를 생산하지 않고 다른 권총들을 생산하기 시작했지만, 여전히 다른 업체에서는 [[대공황]]이 일어나기 전까지 계속 생산하였다. 스페인과 프랑스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마키]]와 같은 [[레지스탕스]]가 [[비시 프랑스]]에 대항하는 데에 사용되었다. 루비는 [[FN M1910|FN M1910/22]]의 디자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스페인과 프랑스 이외에도 [[핀란드]], [[유고슬라비아]], [[네덜란드]], [[그리스]], [[튀르키예]], [[루마니아]], [[덴마크]], [[독일]] 등 여러 국가가 채용했다. ==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youtube(wKi-rfq8Jqg)] * [[배틀필드 V]] * [[베르됭(게임)]] * [[Beyond The Wire]] == 둘러보기 == [include(틀:1차 세계대전/연합군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프랑스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벨기에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그리스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루마니아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폴란드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핀란드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유고슬라비아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리투아니아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독일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자동권총]][[분류:보병 무기/세계 대전]][[분류:1914년 출시]][[분류:1930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