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의 도시]][[분류:우크라이나의 도시]][[분류:루한스크주]] [include(틀: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의 행정구역)] [include(틀:우크라이나의 행정구역)] ||<-6>|| ||<-6>|| ||<-6><:>{{{#ffffff {{{+4 '''Rubizhne'''}}}[br]Рубежное | Рубі́жне[br]루베즈노예 | 루비즈네 }}}|| ||<-5> [[파일:루비즈네.png|width=55%]] || [[파일:루비즈네휘장.png|width=55%]] || ||<-2> '''시기''' ||<-4> '''시장''' || ||<-1><:>{{{#FFFFFF '''국가'''}}}||<-5>[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실효지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시 전체를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산하로 지배하고 있다.][br][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 ||<-1><:>{{{#FFFFFF '''행정구역'''}}}||<-5>[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루베즈노예[br][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루한스크주]] 루비즈네|| ||<-1><:>{{{#FFFFFF '''면적'''}}}||<-5>33.76㎢ || ||<-1><:>{{{#FFFFFF '''인구'''}}}||<-5>56,066명[* 2021년 기준] || ||<-1><:>{{{#FFFFFF '''시간대'''}}}||<-5>UTC+2 {{{-2 ([[서머타임]])}}} || ||<-6>{{{#!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Rubizhne, 너비=100%, 높이=300px)]}}} || [목차] [clearfix] == 개요 == '''루비즈네'''는 [[러시아]]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우크라이나]] [[루한스크주]]의 도시로, [[리시찬스크]]와 [[세베로도네츠크]] 옆에 위치해있다. == 역사 == [[1895년]] 마을이 설립되었고, 1904년 기차역이 들어서면서 성장하기 시작했다. 1934년 도시로 승격되었다. [[돈바스 전쟁]] 당시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이 이곳을 4월에 점령하였다가, 7월 21일에 [[우크라이나군]]이 탈환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 가장 폭격을 많이 당한 도시 중 하나였다. 4월 9일 이곳에 위치한 4톤짜리 질산 탱크가 [[러시아군]]에 의해 폭격을 당해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4월 21일 [[러시아]]가 점령하였음을 발표하였고, 4월 25일 [[체첸 공화국]] 대통령 [[람잔 카디로프]]가 해방 선언을 하였다. 이후 2014년 반마이단 시위를 주도한 세르게이 호르토프(Сергей Хортов)가 시장으로 임명되었다. 9월 들어 [[우크라이나의 가을 공세|우크라이나군의 공세]]로 인해 이곳에 우크라이나군이 진입한 것이 확인되었다는 소식이 있었으나, [[크레민나]]와 [[리시찬스크]]가 11월 중순까지 러시아군의 점령 하에 있어 사실상 가짜뉴스로 판명되었다. == 경제 == 화학, 제약 공장이 이곳에 많이 설립되었으며, [[우크라이나]] 최대의 심장약 제조 공장이 이곳에 들어서 있었다. == 민족 == 민족 구성은 [[우크라이나인]] 66.3%, [[러시아계 우크라이나인]] 31.3%, [[벨라루스인]] 0.7%, 기타 1.7%이다. == 출신 인물 == * [[표도르 예멜리야넨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