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아이깁투스 총독)] [include(틀:역대 로마 30인 참주)] || '''이름''' ||루키우스 무시우스 아이밀리아누스[br](Lucius Mussius Aemilianus)|| || '''출생''' ||미상|| || '''사망''' ||[[262년]]|| || '''직위''' ||이집트 총독|| || '''반란 대상''' ||[[갈리에누스]]|| [목차] [clearfix] == 개요 == [[로마 제국]] [[군인 황제 시대]]의 반란자. [[갈리에누스]] 황제를 상대로 반란을 일으켰으나 곧 진압당했다. == 생애 == 출신성분이 어땠는지는 기록이 미비해 알기 어려우나, 아마도 이탈리아에서 이집트로 이주한 이들의 후손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피우미치노에서 발견된 비문에 따르면, 그는 [[기사계급]]이었고 [[필리푸스 아라부스]] 황제 휘하에서 갈리아 세 속주의 수송 감독관, 알렉산드리아 펠루시 감독관, 그리고 오스티아 항구의 식량운송관을 담당했다고 한다. [[발레리아누스]] 황제는 256년에 그를 이집트 플라에펙투스로 임명했다. 성직자이자 기독교 역사가 [[에우세비우스]]는 알렉산드리아의 주교 디오니시우스의 서신을 자신의 역사서에 그대로 실었는데, 이에 따르면 많은 기독교인이 무시우스 아이밀리아누스에게 탄압당하여 비참한 처지에 내몰렸다고 한다. 260년경, 발레리아누스 황제가 에메사 전투에서 [[사산 왕조]]의 [[샤푸르 1세]]에게 참패하고 포로 신세로 전락했다. 이에 동방의 잔여 로마군은 [[풀비우스 마크리아누스]]의 지휘하에 사산 왕조군을 격퇴한 뒤, 마크리아누스의 두 아들을 황제로 추대했다. 이때 아이밀리아누스도 마크리아누스 일가를 지지했다. 그러다 마크리아누스가 일리리쿰 전투에서 [[갈리에누스]] 황제가 급파한 [[아우레올루스]]에게 패하여 전사하자, 그는 황제를 칭했다. 이에 갈리아누스는 아우렐리우스 테오도투스가 이끄는 군대를 파견하였고, 테오도투스는 262년 3월 30일 테베 근처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고 아이밀리아누스를 생포한 뒤 곧바로 처형했다. 하지만 테오도투스 역시 반란을 꾀하다 병사들에게 살해당했다. 이렇듯 이집트를 다스려야 할 이들이 차례로 살해당하면서 이집트에서 대혼란이 벌어지자, [[팔미라 제국]]을 건국한 [[제노비아]]는 이 틈을 타 이집트를 공략했다. [[분류:아이깁투스 총독(로마 제국)]][[분류:262년 사망]][[분류:30인 참주(로마 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