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로마 공화국 집정관]][[분류:기원전 1세기 집정관]][[분류:로마 출신 인물]] [include(틀:역대 로마 집정관/기원전 1세기)] ||||<#800080> {{{#ffffff {{{+3 '''루키우스 볼카티우스 툴루스''' }}}[br]{{{-1 [[라틴어]]: Lucius Volcatius Tullus }}} }}} || ||<#800080> {{{#ffffff '''생몰년도''' }}} ||미상 ~ 미상 || ||<#800080> {{{#ffffff '''출생지''' }}} ||[[로마 공화국]] [[로마]] || ||<#800080> {{{#ffffff '''사망지''' }}} ||[[로마 공화국]] [[로마]] || ||<#800080> {{{#ffffff '''지위''' }}} ||[[노빌레스]] || ||<#800080> {{{#ffffff '''국가''' }}} ||[[로마 공화국]] || ||<#800080> {{{#ffffff '''가족''' }}} ||[[루키우스 볼카티우스 툴루스(기원전 66년 집정관)|루키우스 볼카티우스 툴루스]](아버지)[br]가이우스 볼카티우스 티우스(형제 또는 사촌) || ||<#800080> {{{#ffffff '''직업''' }}} ||[[로마 공화정]] [[집정관]] || ||||<#800080> {{{#ffffff '''로마 공화정 집정관''' }}} || ||<#800080> {{{#ffffff '''임기''' }}} || 기원전 33년 || ||<#800080> {{{#ffffff '''전임''' }}} || [[파울루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br][[마르쿠스 헤렌니우스 피켄스(기원전 34년 집정관)|마르쿠스 헤렌니우스 피켄스]] || ||<#800080> {{{#ffffff '''동기''' }}} || [[옥타비아누스]]→[[루키우스 아우트로니우스 파이투스]] || ||<#800080> {{{#ffffff '''후임''' }}} || [[루키우스 플라비우스]][br][[가이우스 폰테이우스 카피토(기원전 33년 집정관)|가이우스 폰테이우스 카피토]] || [목차] [clearfix] == 개요 == [[로마 공화국]] [[집정관]]. == 생애 == 기원전 2세기부터 로마 정계에서 활약한 [[노빌레스]] 가문인 볼카티우스 씨족의 일원으로, 아버지 [[루키우스 볼카티우스 툴루스(기원전 66년 집정관)|루키우스 볼카티우스 툴루스]]는 기원전 66년 가문 최초로 집정관에 선임되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 휘하 [[레가투스(로마)|레가투스]](Legatus: 군단장)였던 가이우스 볼카티우스 툴루스가 그의 형제라는 설이 있으나, 많은 학자들은 그의 형제가 아니라 사촌이라고 추정한다. 기원전 46년 도시 [[법무관]]에 선임되어 로마에서 활동하던 그는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라는 인물에게 일정 금액을 빌려줬다가 돈을 떼어버린 루키우스 티투스 스트라보의 고발장을 접수한 뒤 갈리아에 있던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를 로마로 소환했다.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는 스트라보의 친구였기에, 이 일에 관한 내용을 서신에 적었다. 재판 결과가 어찌 되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후 킬리키아 총독에 부임한 그는 [[율리우스 카이사르]]를 상대로 반란을 일으킨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바수스]]와 시리아 총독 가이우스 안틴스티우스 베투스간의 전쟁에 직면했다. 베투스는 바수스를 아파메이아에 포위하고 공세를 퍼부었지만, 아랍 왕자 알칸도니오스와 [[파르티아]] 왕자 [[파코로스 1세]]가 바수스를 구원하는 바람에 큰 피해를 입고 퇴각했다. 베투스는 키케로에게 충분한 지원을 제공하지 않은 그를 비난하는 내용의 서신을 보냈다. 기원전 33년 [[옥타비아누스]]와 함께 집정관에 선임되었다. 하지만 옥타비아누스는 취임 첫날에 [[루키우스 아우트로니우스 파이투스]]에게 직임을 넘겼다. 그 후 그는 그 해 5월 1일에 [[가이우스 폰테이우스 카피토(기원전 33년 집정관)|가이우스 폰테이우스 카피토]]에게 직임을 넘겼고, 파이투스 역시 [[루키우스 플라비우스]]에게 넘겼다. 이후의 행적은 전해지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