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로마 공화국 집정관]][[분류:기원전 3세기 집정관]][[분류:기원전 284년 사망]][[분류:전쟁 사망자]][[분류:로마 출신 인물]] [include(틀:역대 로마 집정관/기원전 3세기)] ||||<#800080> {{{#ffffff {{{+3 '''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덴테르''' }}}[br]{{{-1 [[라틴어]]: Lucius Caecilius Metellus Denter }}} }}} || ||<#800080> {{{#ffffff '''생몰년도''' }}} ||미상 ~ 미상 || ||<#800080> {{{#ffffff '''출생지''' }}} ||이탈리아 로마 || ||<#800080> {{{#ffffff '''사망지''' }}} ||이탈리아 로마 || ||<#800080> {{{#ffffff '''지위''' }}} ||[[노빌레스]] || ||<#800080> {{{#ffffff '''국가''' }}} ||[[로마 공화정]] || ||<#800080> {{{#ffffff '''가족''' }}} ||가이우스 카이킬리우스(아버지)[br][[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기원전 251년 집정관)|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아들) || ||<#800080> {{{#ffffff '''직업''' }}} ||[[로마 공화정]] [[집정관]] || ||||<#800080> {{{#ffffff '''로마 공화정 집정관''' }}} || ||<#800080> {{{#ffffff '''임기''' }}} || 기원전 284년 || ||<#800080> {{{#ffffff '''전임''' }}} || [[가이우스 클라우디우스 카니나]][br][[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기원전 285년 집정관)|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 || ||<#800080> {{{#ffffff '''동기''' }}} || [[가이우스 세르빌리우스 투카]] || ||<#800080> {{{#ffffff '''후임''' }}} || [[가이우스 세르빌리우스 투카]][br][[마니우스 쿠리우스 덴타투스]] || [목차] [clearfix] == 개요 == [[로마 공화국]] [[집정관]]. == 생애 == 고대 로마의 저명한 [[노빌레스]] 가문인 카이킬리우스 씨족의 일원으로, 그는 카이킬리우스 씨족에서 '메텔루스(Metellus)'라는 코그노멘을 처음으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파스티 카피톨리니]]에 따르면, 아버지는 가이우스라는 프라이노멘을 사용했다고 한다. 기원전 284년 [[가이우스 세르빌리우스 투카]]와 함께 집정관에 선임되었다. [[폴리비오스]]에 따르면, 이 해에 [[켈트족]] 계열인 세노네스족이 침입하여 아레티움을 포위하고 그곳을 지키는 로마 총독을 살해했다. 메텔루스는 아레티움을 구원하기 위해 진군했지만 성벽 아래의 평원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7명의 [[트리부누스 밀리툼]] 및 13,000명의 군인과 함께 전사했다. 이후 보결 집정관에 선임된 [[마니우스 쿠리우스 덴타투스]]는 세노네스족에게 사절을 보내 협상을 벌이려 했지만, 그들이 사절을 죽이자 즉시 전투를 벌여 승리한 후 세노네스 족으로부터 많은 땅을 탈취한 뒤 식민도시를 건설했다고 한다. [[파울루스 오로시우스]]에 따르면, 이 사건은 기원전 283년에 일어났고, 마니우스 쿠리우스 덴타투스는 [[법무관]]의 자격으로 메텔루스의 뒤를 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학자들은 법무관이 군사권을 가진 것은 [[제2차 포에니 전쟁]]부터라며 오로시우스의 주장은 사실과 거리가 멀다고 본다. 기원전 251년과 기원전 247년에 집정관을 역임한 [[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기원전 251년 집정관)|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는 그의 아들인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