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기원전 2세기 집정관]][[분류:로마 공화국 집정관]][[분류:로마 공화국 감찰관]][[분류:로마 출신 인물]] [include(틀:역대 로마 집정관/기원전 2세기)] [include(틀:역대 로마 감찰관)] ||||<#800080> {{{#ffffff {{{+3 '''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디아데마투스''' }}}[br]{{{-1 [[라틴어]]: Lucius Caecilius Metellus Diadematus }}} }}} || ||<#800080> {{{#ffffff '''생몰년도''' }}} ||미상 ~ 기원전 89년 이후 || ||<#800080> {{{#ffffff '''출생지''' }}} ||이탈리아 로마 || ||<#800080> {{{#ffffff '''사망지''' }}} ||이탈리아 로마 || ||<#800080> {{{#ffffff '''지위''' }}} ||[[노빌레스]] || ||<#800080> {{{#ffffff '''국가''' }}} ||[[로마 공화정]] || ||<#800080> {{{#ffffff '''가족''' }}} ||[[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기원전 251년 집정관)|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증조부)[br][[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기원전 206년 집정관)|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조부)[br][[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마케도니쿠스]](아버지)[br][[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발레아리쿠스]](형)[br][[마르쿠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남동생)[br][[가이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카프라리우스]](남동생)[br]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켈레르(아들)[br]카이킬리아 메텔라(딸)[br][[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네포스(기원전 57년 집정관)|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네포스]](손자) || ||<#800080> {{{#ffffff '''직업''' }}} ||[[로마 공화정]] [[집정관]] || ||||<#800080> {{{#ffffff '''로마 공화정 집정관''' }}} || ||<#800080> {{{#ffffff '''임기''' }}} || 기원전 117년 || ||<#800080> {{{#ffffff '''전임''' }}} || [[마르쿠스 포르키우스 카토(기원전 118년 집정관)|마르쿠스 포르키우스 카토]][br][[퀸투스 마르키우스 렉스(기원전 118년 집정관)|퀸투스 마르키우스 렉스]] || ||<#800080> {{{#ffffff '''동기''' }}} || [[퀸투스 무키우스 스카이볼라 아우구르]] || ||<#800080> {{{#ffffff '''후임''' }}} || [[가이우스 리키니우스 게타]][br][[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에부르누스]] || [목차] [clearfix] == 개요 == [[로마 공화국]] [[집정관]], [[감찰관]]. == 생애 == 라치오 인근의 팔레스트리나(Palestrina) 시를 건설했다는 전승이 전해지는 불카누스(Volcanus, 불의 신)의 아들 카이쿨루스의 후예로 전해지는 카이킬리우스 가문의 일원이다. 이 가문은 기원전 3세기부터 로마에서 출세가도를 달려 집정관 계급까지 오른 평민 귀족([[노빌레스]]) 집안으로, 증조부 [[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기원전 251년 집정관)|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는 기원전 251년과 기원전 247년에 집정관을 맡았으며, [[파노르무스 전투]]에서 카르타고군을 상대로 대승을 거두었다. 조부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기원전 206년 집정관)|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는 기원전 206년 집정관이었으며, 아버지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마케도니쿠스]]는 기원전 143년 집정관, 기원전 131년 [[감찰관]]을 역임했으며, [[제4차 마케도니아 전쟁]]과 [[아카이아 전쟁]]에서 활약했다. 형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발레아리쿠스]]는 기원전 123년 집정관, 기원전 120년 [[감찰관]]을 역임했고, 첫째 동생 [[마르쿠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는 기원전 115년 집정관을 역임했으며, 둘째 동생 [[가이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카프라리우스]]는 기원전 113년 집정관을 역임했다. 이름이 카이킬리아인 두 여자형제가 있었는데, 각각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나시카, 가이우스 세르빌리우스 바티아와 결혼했다. 이마에 난 궤양을 가리기 위해 평생 머리띠를 했기 때문에 '머리띠를 한 자'라는 의미인 디아데마투스(Diadematus)라는 아그노멘으로 불렸다고 한다. 기원전 129년 메텔루스 마케도니쿠스의 정적이었던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가 사망했다. [[발레리우스 막시무스]]에 따르면, 마케도니쿠스는 아이밀리아누스의 죽음을 공개적으로 애도하고 그를 비롯한 자식들에게 장례식에 참여하도록 지시했다고 한다. 현대 학자들은 기원전 180년 최고 행정관 간의 취임 간격을 규정한 빌리우스 법에 따라 기원전 120년 이전에 [[법무관]]을 역임했으리라 추정한다. 기원전 117년 [[퀸투스 무키우스 스카이볼라 아우구르]]와 함께 집정관에 선임된 뒤 이탈리아에서 임기를 수행했다. 이 시기에 카이킬리아 가도를 건설한 것으로 추정되며, 기원전 116년 갈리아 카실피나 총독을 역임했다. [[티투스 리비우스 파타비누스]]에 따르면, 기원전 115년, '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가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와 함께 [[감찰관]]에 선임되었다고 한다. 이 인물이 디아데마투스라는 설과 기원전 119년 집정관 [[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달마티쿠스]]라는 설이 병립하는데, 어느 쪽이 맞는 지 불분명하다. 두 감찰관은 기원전 116년 집정관 [[가이우스 리키니우스 게타]]를 비롯한 32명을 원로원에서 행실이 좋지 않다는 의유로 제명했다. 기원전 100년 [[호민관]] [[루키우스 아풀레이우스 사투르니누스]]에 대항한 원로원 의원들 중 한 명이었다.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에 따르면, 그는 무기를 챙겨서 동료 귀족들에게 손수 나눠줘서 사투르니누스 일당에 대적하게 했다고 한다. 기원전 99년에는 사투르니누스에게 축출되어 망명 생활을 하고 있는 친척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누미디쿠스]]의 귀환을 추진했다. 이후의 행적은 전해지지 않는다. 아들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켈레르는 기원전 90년 집정관을 역임하고 기원전 89년 이후에 [[조영관]]을 역임해 아버지가 사망한 지 불과 며칠 만에 아버지를 기리기 위한 [[검투사]] 경기를 조직해 '재빠른 자'라는 의미인 켈레르(Celer)라는 아그노멘으로 일컬어졌다. 일부 학자들은 그의 딸 카이킬리아 메텔라가 기원전 79년 집정관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풀케르(기원전 79년 집정관)|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풀케르]]의 아내였다고 주장하지만, 기원전 123년 집정관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발레아리쿠스]]의 딸 카이킬리아 메텔라가 아피우스의 아내라는 설도 있어서 불분명하다. 손자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네포스(기원전 57년 집정관)|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네포스]]는 기원전 57년 집정관을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