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기원전 2세기 집정관]][[분류:로마 공화국 집정관]][[분류:로마 출신 인물]] [include(틀:역대 로마 집정관/기원전 2세기)] ||||<#800080> {{{#ffffff {{{+3 '''루키우스 푸리우스 필루스''' }}}[br]{{{-1 [[라틴어]]: Lucius Furius Philus }}} }}} || ||<#800080> {{{#ffffff '''생몰년도''' }}} ||미상 ~ 미상 || ||<#800080> {{{#ffffff '''출생지''' }}} ||이탈리아 로마 || ||<#800080> {{{#ffffff '''사망지''' }}} ||이탈리아 로마 || ||<#800080> {{{#ffffff '''지위''' }}} ||[[파트리키]] || ||<#800080> {{{#ffffff '''국가''' }}} ||[[로마 공화정]] || ||<#800080> {{{#ffffff '''가족''' }}} ||[[푸블리우스 푸리우스 필루스]](조부)[br]루키우스 푸리우스 필루스(아버지)[br]마르쿠스 푸리우스 필루스(아들) || ||||<#800080> {{{#ffffff '''로마 공화정 집정관''' }}} || ||<#800080> {{{#ffffff '''임기''' }}} || 기원전 136년 || ||<#800080> {{{#ffffff '''전임''' }}} ||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 포르키나]][br][[가이우스 호스틸리우스 만키누스]] || ||<#800080> {{{#ffffff '''동기''' }}} || [[섹스투스 아틸리우스 세라누스]] || ||<#800080> {{{#ffffff '''후임''' }}} || [[세르비우스 풀비우스 플라쿠스]][br][[퀸투스 칼푸르니우스 피소]] || [목차] [clearfix] == 개요 == [[로마 공화국]] [[집정관]]. == 생애 == 고대 로마의 [[파트리키]] 가문인 푸리우스 씨족의 일원으로, 조부 [[푸블리우스 푸리우스 필루스]]는 기원전 223년 집정관, 기원전 214년 [[감찰관]]을 역임했다. 아버지 루키우스 푸리우스 필루스는 기원전 171년 [[법무관]]을 역임했다. 현대 학자들은 고위 행정관의 재임 간격을 설정한 빌리우스 법에 따라 기원전 139년 이전에 법무관을 맡았을 것으로 추정한다. 기원전 136년, [[섹스투스 아틸리우스 세라누스]]와 함께 집정관에 선임되었다. 그는 지난해 집정관이며 [[누만티아 전쟁]]에서 참패한 뒤 누만티아인들과 굴욕적인 협약을 맺은 [[가이우스 호스틸리우스 만키누스]]를 협약을 파기하겠다는 의미로 누만티아인들에게 넘기겠다고 제안했고, 원로원은 이를 받아들였다. 이후 만키누스를 알몸인 채 누만티아인들에게 넘겼지만, 누만티아인들은 로마의 배신을 한 사람에게만 물 수 없다며 만키누스를 되돌려보냈다. 그 후 원로원은 누만티아 전쟁을 이어갈 권한을 그에게 넘겼지만, 현지에 주둔한 군대의 전의와 전투력이 엉망이라는 것을 확인한 그가 공세를 벌이기를 포기하면서 전쟁이 벌어지지 않았다. 이후 기원전 135년도 집정관 퀸투스 칼푸르니우스 피소에게 [[임페리움]]을 넘긴 뒤 로마로 귀환했다. 이후의 행적은 전해지지 않는다. 아들 마르쿠스 푸리우스 필루스는 기원전 119년 화폐 주조관을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