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헤센 대공)] ---- [include(틀:토막글)] ---- ||<-2><#FFF> {{{#E2001A '''헤센 대공국 제2대 대공[br]{{{+1 루트비히 2세}}}[br]Ludwig II., Großherzog von Hesse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Ludwig_II_of_Hessen_Portrait.jpg|width=100%]]}}} || || '''출생''' ||[[1777년]] [[12월 26일]][br]헤센다름슈타트 방백국 [[다름슈타트]]|| || '''사망''' ||[[1848년]] [[6월 16일]] (향년 70세)[br][[독일 연방]] [[헤센 대공국]] [[다름슈타트]]|| ||<|2> '''재위''' ||<#E7E7E7,#2D2F34>[[헤센 대공국]]의 대공|| ||[[1830년]] [[4월 6일]] ~ [[1848년]] [[3월 5일]]|| || '''배우자''' ||[[바덴의 빌헬미네|바덴의 빌헬미네 공녀]] ,,(1804년 결혼 / 1836년 사망),,|| || '''자녀''' ||[[루트비히 3세(헤센)|루트비히 3세]], 카를, 엘리자베트, [[헤센의 알렉산더 공자|알렉산더]], [[헤센의 마리|마리]]|| || '''아버지''' ||[[루트비히 1세(헤센)|루트비히 1세]]|| || '''어머니''' ||헤센다름슈타트의 루이제|| || '''형제''' ||루이제,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에밀, 구스타프|| [목차] [clearfix] == 개요 == [[헤센 대공국]]의 제2대 대공. == 가족관계 == === 자녀 ===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자녀''' || ||<|2> '''1남''' ||<|2> [[루트비히 3세(헤센)|루트비히 3세]][br]{{{-2 (Louis III)}}} ||<|2> [[1806년]] [[6월 9일]] ||<|2> [[1877년]] [[6월 13일]] || 바이에른의 마틸데 카롤리네 공주[* [[루트비히 1세(바이에른)|루트비히 1세]]의 장녀.] || || 아나 막달레나 아펠 || || '''2남''' || 카를 공자[br]{{{-2 (Prince Charles)}}} || [[1809년]] [[4월 23일]] || [[1877년]] [[3월 20일]] || [[프로이센의 엘리자베트|프로이센의 엘리자베트 공주]][*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의 손녀이자 [[프로이센의 마리|바이에른의 마리 왕비]]의 언니.][br] 슬하 3남 1녀[* [[루트비히 4세(헤센)|루트비히 4세]] 등.] || || '''1녀''' || 엘리자베트 공녀[br]{{{-2 (Princess Elizabeth)}}} || [[1821년]] [[5월 20일]] || [[1826년]] [[5월 27일]] || || || '''3남''' || [[헤센의 알렉산더 공자|알렉산더 공자]][br]{{{-2 (Prince Alexander)}}} || [[1823년]] [[7월 15일]] || [[1888년]] [[12월 15일]] || [[율리아 하우케]][br]슬하 4남 1녀[* [[바텐베르크의 루트비히 공자|제1대 밀포드 헤이븐 후작 루이 마운트배튼]] 등.] || || '''2녀''' || [[헤센의 마리|러시아 제국의 마리 황후]][br]{{{-2 (Marie, Empress of Russia)}}} || [[1824년]] [[8월 8일]] || [[1880년]] [[6월 6일]] || [[알렉산드르 2세]][br]슬하 6남 2녀[* [[니콜라이 알렉산드로비치 황태자]], [[알렉산드르 3세]], [[마리야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부인 마리아]] 등.] || [[분류:1777년 출생]][[분류:1848년 사망]][[분류:다름슈타트 출신 인물]][[분류:헤센 대공]][[분류:헤센다름슈타트 가문]][[분류:로젠회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