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external/libarynth.org/luxo_jr.jpg|width=100%]] || || 룩소 주니어(오른쪽)와 어른 룩소의 모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3.bp.blogspot.com/Giant_luxo.png|width=100%]]}}} || || 픽사 본사에 있는 룩소 주니어 || [목차] [clearfix] == 개요 ==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마스코트인 전기 스탠드 캐릭터. == 동명의 단편 영화 == [include(틀:미국 의회도서관 선정 영구 보존 영화, 연도=2014)] [[https://www.youtube.com/watch?v=6G3O60o5U7w|영상 보기]] 픽사가 [[ILM]]의 컴퓨터 그래픽 부서에서 떨어져 나가 정식으로 픽사라는 이름을 얻은 이후 처음으로 제작한 영화다. 감독은 [[존 라세터]]가 맡았으며, 영화의 전체적인 줄거리는 룩소 주니어와 어른 룩소가 공놀이를 하는 내용이다. 사람들은 어떤 기술을 사용했나보다도 어른 룩소가 엄마인지, 아빠인지를 물어봤다고 한다. 이 작품으로 픽사는 [[CG 애니메이션]]이 늘 딱딱하고 질감이 없다는 의견이 잘못되었음을 증명했다. 덤으로 존 라세터는 나중에 룩소는 아빠라고 밝혔다. 1986년 룩소 주니어는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단편 애니메이션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었다. 컴퓨터로 만들어진 애니메이션으로서는 최초로 받은 아카데미 노미네이션이었다. 이것은 픽사가 세상에 널리 알려진 계기가 되었고, [[토이 스토리 시리즈|토이 스토리]] 제작의 기반을 다지게 되었다. 이후 픽사는 컴퓨터 애니메이션 사상 최초로 아기가 등장하는 단편 애니메이션 [[틴 토이]]로 아카데미상을 거머쥐었다. 1990년에는 4편의 30초간의 단편이 [[세서미 스트리트]]를 위해 제작되어 방송 중 짤막하게 방영되었다. 네 편의 영상은 픽사 단편 DVD집 1권에 보너스로 수록되어 있다. 초창기에는 위의 사진에도 나와있듯이 전선이 있었지만 이후 작품에는 전선이 단 한 번도 등장하지 않는다.[* 배경으로서 등장하는 경우는 예외가 존재한다.] ==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마스코트가 되다 == 픽사에게 길을 열어준 단편 애니메이션의 캐릭터라서 픽사의 마스코트로 채택되었다. 그래서 픽사의 영화는 시작 전에 룩소 주니어가 PIXAR의 I를 깔아뭉개고 그 자리에 대신 서 있는다.[* 이 장면이 워낙 상징적이고 유명하다 보니 글자가 뭉개지지 않아서 [[트램펄린|튕겨나가거나]] 룩소 주니어에게 밟혀 죽은 I를 추모하고 룩소 주니어를 살인죄로 사형하는 등 I를 활용한 패러디 합성물이 많다.] ||[youtube(50rAKjuTXbc)]|| ||픽사의 시작 로고[* 참고로 룩소 주니어 인트로는 [[인크레더블 2]]가 '''최초'''로 다른 모습으로 변경되었다.]|| ||[youtube(4Q-qv5eTtUo)]|| ||로고의 바리에이션으로 이런 것도 있다. [[월-E]]의 크레딧이 끝나면 볼 수 있다.--월-R--|| ||[[파일:external/www.pixartalk.com/ts1luxo-300x168.jpg]]||[[파일:external/djbarchs.files.wordpress.com/toy-story-3-luxo-luxo-jr.jpg|width=300]]|| [[토이 스토리 시리즈|토이 스토리]]에서도 카메오로 출연하는데, 여기서는 빨간색이다. 오른쪽은 [[토이 스토리 3]]의 시점이다. [[파일:external/41.media.tumblr.com/tumblr_me4b0chE9c1rcb0d2o1_500.jpg]] 그 밖에도 [[업(애니메이션)|업]]에서 주인공 칼이 챙겨먹는 알약 통에 'luxo drug'라고 새겨져 있다. 이름만 빌려준 셈이다. == 룩소 주니어의 공 == [[파일:pixar_ball_00.png]] 사실 룩소 주니어보다 자주 모습을 비추는 것은 작중 룩소 주니어가 가지고 노는 공이다. [[A113]]과 [[피자 플래닛]] 배달용 차량, 존 라첸버거[* 현재까지 나온 모든 픽사 장편 작품에 성우로 출연했다(단편 작품은 제외).]와 더불어 픽사의 유명한 이스터에그들 중 하나이다. 세간에는 'luxo ball'로 많이 알려져 있다. 룩소 주니어가 픽사에 큰 의미를 갖고 있는 만큼 픽사는 [[https://www.youtube.com/watch?v=VcC2SBqBhc0|이 룩소 주니어의 공을 다양한 영화에 등장시켰다.]] 후속 단편인 레드의 꿈에서는 무대 바닥 그림으로 나온다. 픽사의 유튜브 공식채널 프로필 사진도 이 공이다. === [[토이 스토리]] === === [[토이 스토리 2]] === 영화가 시작되기 전에 인트로로 짤막하게 등장한다. 어른 룩소가 공을 빤히 쳐다보다가 치는데, 갑자기 바로 돌아온다. 다시 쳐보니 이번에는 룩소 옆으로 지나간다. 이에 신난(...) 룩소 주니어가 오더니 공을 가지고 논다. 그런데 공 위에 올라타다가 그만 공에 펑크가 나 그대로 납작해진다. 침울해진 룩소 주니어는 어디론가 가다가 갑자기 비치볼을 가져와 그걸 가지고 논다. 이에 한숨을 쉬는 듯한 모습을 보이는 어른 룩소가 압권이다. === [[몬스터 주식회사]] === === [[인크레더블]] === === [[업(애니메이션)|업]] === === [[토이 스토리 3]] === === [[몬스터 대학교]] === === [[인사이드 아웃]] === === [[굿 다이노]] === === [[카 3: 새로운 도전]] === === [[코코(애니메이션)|코코]] === === [[엘리멘탈(애니메이션)|엘리멘탈]] === * 영화관 씬에서, 웨이드가 들고 있는 팝콘 봉지의 글씨 안에 그려져 있다. == 기타 오마주 및 패러디 == [[파일:external/media.tumblr.com/tumblr_mdnlc7bcaN1qg898o.gif]] 영화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 깡충깡충 뛰는 마법의 가로등이 나오는데, 룩소 주니어를 오마주한 것이라고 한다. 이는 [[스튜디오 지브리]]의 [[미야자키 하야오]]와 픽사의 [[존 라세터]]가 친분이 있던지라 가능한 일이다. 반대로 [[토이 스토리 3]]에서는 [[토토로]]가 등장하기도 했다. [youtube(YgsEmG7x9d8)] 2015년에 개최된 [[포카전]] 개막식 영상에서도 룩소 주니어의 패러디가 나오는데, [[포항공과대학교|포스텍]]을 상징하는 빨간색 전등 캐릭터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K를 마구 짓밟더니, 이에 발끈해하는 나머지 글자들을 불을 뿜어서 태워버려서 POSTECH이라는 글자로 만드는 게 압권이다. ~~카이스트 피꺼솟[* 실제로 [[문제적 남자]]에서 멤버들 대부분이 [[포항공과대학교]] 출신인 [[긱블]]이 출연했을때 이 영상이 나온 바 있는데, [[한국과학기술원|KAIST]] 출신인 고정 출연자인 [[이장원(가수)|이장원]]이 영상을 보고 분노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분류:마스코트]][[분류:영화 캐릭터]][[분류:1986년 영화]][[분류:미국의 단편영화]][[분류:미국의 애니메이션 영화]][[분류: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분류:존 라세터]][[분류:픽사 캐릭터]][[분류: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보존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