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기계족]] [[유희왕/OCG]]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RouletteBarrel-EE1-JP-C.jpg|width=100%]]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RouletteBarrel-LCJW-EN-C-1E.png|width=100%]] || || 내수판 || 수출판 || || 한글판 명칭 ||<-4>'''룰렛 폭탄'''|| || 일어판 명칭 ||<-4>'''ルーレットボマー'''|| || 영어판 명칭 ||<-4>'''Roulette Barrel'''||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속성|빛]] || [[기계족]] || 1000 || 2000 || ||<-5>자신의 메인 페이즈에 주사위를 2회 던질 수 있다. 나온 눈을 1개 선택하여, 필드 위에서 그 수와 같은 레벨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파괴한다.|| [[사이버(유희왕)|빛 속성 기계족]] 하급 몬스터 중 가장 튼튼한 내구력을 자랑하는 카드. 공격력은 1800 이상인 몬스터가 없고 수비력은 이 카드의 2000이 최대치이기 때문이다. 3기에 이 카드가 등장한 이래 7기에 [[세이크리드|세이크리드 아쿠베스]], 8기에 [[오비탈 세븐|오비탈 7]]이 나오기 전까지만 해도 수비력이 2000인 몬스터는 이 카드 뿐이었다. 2000은 객관적으로도 하급 몬스터의 공격은 막을 수 있을 정도로 괜찮은 능력치고 분명 동일 조건의 다른 몬스터보다는 잘 버틴다고는 하지만, [[사이버 드래곤]]이 이런 덱 저런 덱에서 마구 튀어나오던 시절만 해도 버틸 수 없었고 그보다 더한 수준으로 [[파워 인플레]]가 진행되었기에 수비력을 너무 과신할 수는 없다. [[룰렛]]이라는 이름답게 도박성이 있는 파괴효과를 지니고 있는데, 파괴가 발동시 미확정이기에 파괴 효과를 카운터하는 카드로 체인해서 막을 수 없으며, 파괴 여부와 파괴할 대상을 효과 해결시에 지정하기 때문에 대상을 지정하지 않는 파괴효과로 일단 성공하면 꽤 강력하다. 하지만 이 효과로 원하는 몬스터를 파괴할 수 있는 확률은 1/3에 조금 못 미치는 정도로 그리 높다고는 할 수 없다. 상대 필드 위에 서로 다른 레벨을 가진 몬스터가 많으면 얻어 걸려서 이득을 볼 확률은 조금 더 높아지지만 레벨이 없는 [[엑시즈 소환|엑시즈 몬스터]]에는 대처할 수 없고, 레벨이 6을 넘으면 파괴할 수 없기에 6을 넘는 몬스터가 많은 [[싱크로 소환|싱크로 몬스터]]들 앞에서도 약하다. 그나마 [[스나이프 스토커]]처럼 실패해도 손해를 보지는 않는다는 게 위안이다. 수비 표시로 있으라고 설계된 능력치지만 앞면 수비 표시로는 일반 소환할 수 없기에 수비 표시로 내서 바로 효과를 쓰려면 [[스텀블링]]같은 표시 형식 변경 카드를 도입하지 않는 한 어떻게든 특수 소환 수단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도 불편한 점이다. 일단 빛 속성이라 앞면 공격 표시로 내서 효과를 쓰고 [[어니스트(유희왕)|어니스트]]로 낚을 순 있지만 제한 카드에 너무 의존하지 않는 것이 좋다. 주사위를 던져서 그 결과 파괴할 수 있는 몬스터가 있다면 반드시 파괴를 실행해야 한다. 1/36의 상당히 낮은 확률이긴 하지만 만약 재수없어서 똑같은 숫자가 2번 나오고 그 레벨을 가진 몬스터가 자신 필드 위에밖에 없다면 어쩔 수 없이 자기 몬스터를 파괴해야 한다. 그 똑같은 숫자가 4였다면 물론 자기 자신을 파괴해야 한다. 상급 몬스터가 그렇게 빨리 나올 수 없었던 예전의 환경에서는 그럭저럭 쓸만한 몬스터였다. 어지간한 레벨 4 어태커는 전부 방어해낼 수 있었고, 그렇게 레벨 4 어태커와 대치하는 상황이 되면 파괴효과를 실패할 걱정 따위 없이 효과를 쓸 수 있었다. [[샤이닝 엔젤]]의 유용성도 과거에 더 높았기에 샤이닝 엔젤로 이 카드를 불러와서 다음 턴부터 수비 표시로 돌려놓고 효과를 쓰기 좋았다. 일단 빛 속성 기계족이라 [[사이버(유희왕)|사이버]] 서포트를 받으며, 각각의 테마 덱이 아니면 별로 쓸모가 없는 세이크리드 아쿠베스나 오비탈 7보다는 동일 조건에서 좀더 쓸만한 몬스터라고 할 수 있다. 빛 속성 기계족 계열 덱에서 전투에 그나마 잘 버티는 하급 몬스터를 원한다면 채용해볼 여지는 있다. [[No.67 파라다이스매셔]]를 사용하는 경우 레벨 7의 몬스터도 파괴할 수 있다. 미국의 총기류에 대한 규제 때문에 TCG판과 OCG판의 일러스트가 '''완전히''' 다르다. 다른 카드처럼 색을 다르게 칠한다거나 하는 식으로 [[탄압]]을 먹인 게 아니라 아예 디자인까지 다르게 해서 일러스트를 새로 해 버렸다. 한국에는 TCG판을 기준으로 들어왔고, [[닌텐도 DS]]용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에서도 일본판에서마저 TCG판의 일러스트를 기준으로 등장하기에 일본판의 일러스트를 처음 보면 당황할 수도 있다. 딱히 [[죠노우치 카츠야]]가 쓰진 않았지만, 주사위를 굴리는 도박성 효과를 지니고 있기 때문인지 일본과 미국에서 죠노우치 관련 상품에 한번씩 수록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유니온의 강림 || 302-025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스트럭처 덱|STRUCTURE DECK]] -[[죠노우치 카츠야|죠노우치]]편- Volume 2 || SJ2-019 || [[노멀]] || 일본 || 절판 || || [[하이 그레이드 팩|EXPERT EDITION]] Volume 1 || EE1-JP080 || [[노멀]] || 일본 || || || [[매지션의 힘|Magician's Force]] || MFC-025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하이 그레이드 팩|Dark Revelation]] Volume 1 || DR1-EN080 || [[노멀]] || 미국 || || || Legendary Collection 4: Joey's World || LCJW-EN263 || [[노멀]] || 미국 || || || [[매지션의 힘]] || MFC-KR025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하이 그레이드 팩]] Volume 1 || HGP1-KR080 || [[노멀]] || 한국 || || == 관련 카드 == === [[무차별파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