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쓰촨성의 행정구역)] [[파일:룽현 중국 1.jpg|width=920]] 랜드마크인 영현대불 (荣县大佛)에서 내려다 본 시가지 [[파일:중국 영현 대불.jpg|width=920]] 817년에 조성된 영현대불의 모습 [목차] == 개요 == {{{+1 荣县 }}} (영현) [[영어]] Rong County [[쓰촨성]] [[쯔궁시]] 서부의 현급시. 인구는 약 60만명이다. 중세 시기 쯔궁 지역의 중심지였고, [[신해혁명]] 시기 중국에서 최초로 혁명정부가 세워진 고장이었다. 따라서 룽현이 속한 쯔궁은 지금도 혁명의 선봉장이란 의미인 수의실선천하 (首义实先天下)라 불린다. 오랜 역사를 증명하듯 시가지 동북부에는 [[러산대불]]과 함께 사천의 양대 [[당나라]] 시기 불교 유적으로 평가되는 룽현대불이 있어 쯔궁의 대표적인 관광지로 알려져 있다. == 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쯔궁시)] [[파일:중국 쯔궁 6.jpg|width=870]] [[송나라]] 대에 조성된 진남탑 (镇南塔) 지명은 [[당나라]] 시기 쯔궁 일대에 설치된 영주 (荣州)의 치소였던 것에서 유래되었다. 당시 지명은 욱천현 (旭川縣)이었지만 1067년 [[송신종]] 조욱의 피휘를 위해 영덕현 (荣德縣)으로 개칭되었고, 1071년 공정현이 폐지되자 현 쯔궁 시할구 일대도 관장하였다. 당·송대에 영주 일대는 소금 생산, 즉 염업의 중심지로 번영하였다. (세부 사항은 [[쯔궁시]] 문서 참고) 당나라 후반기와 [[남송]] 후반기 두차례에 걸쳐 영주에는 황실의 일원이 영왕 (荣王)으로 분봉되었고, 현 룽현현중학교가 그 왕부였다. 해당 학교 내에는 영왕포정비가 남아있었으나 [[문화대혁명]]으로 파괴되었다. 1224년 [[송이종]]의 동생 [[조여예]]가 영왕에 봉해졌고, 1233년 영주는 한때 [[송광종]]이 자사를 역이했던 것을 기념하며 그의 연호를 따 소희부 (绍熙府)로 승격되었다. 이로써 번영을 구가하던 도시는 1236년 [[몽골 제국]]군에게 파괴되며 쇠퇴하였고, 소희부는 쯔궁 시할구 방면으로 이전되었다가 결국 폐지되었다. 그후 영덕현으로 남았다가 [[원나라]] 말엽인 1340년 재차 영주가 설치되어 현 [[러산]]을 중심으로 한 가정로 가정로 (嘉定路)에 귀속되었다. [[명나라]]의 사천 정복 후 1376년 영주는 영현 (荣縣)으로 격하되었고, 그대로 현재까지 이어졌다. 16세기에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자류정 (현 쯔궁 시할구) 일대가 부순현으로 이관되며 일대의 주도권을 내어준 영현은 소외를 겪었다. 17세기 [[명청교체기]]에 초토화된 부순과 달리 명맥을 유지한 것이 그나마 위안거리였다. 그러다 1729년 현 쯔궁 시할구의 서부인 공정현승서 (公井縣丞署)가 영현 관할에 놓이며 경제, 정치적 중요성이 회복되었다. 청말 근대화의 물결 속에서 염상들이 장악한 자류정과 달리 영현은 우위장 (吴玉章), 단마오신 (但懋辛), 셰펑치 (谢奉琦), 룽밍젠 (龙鸣剑), 왕톈제 (王天杰) 등 걸출한 혁명가들을 배출하였다. 따라서 1911년 9월 25일 중국 동맹회가 영현 관아를 장악하고 중국 최초의 민주 정부인 영현군정부 (荣县军政府)를 수립하며 [[신해혁명]]의 시작을 알렸다. 이후 1914년 공정, 자류정이 합하여 자공시를 설립하려 하자 영현과 부순현은 세수 감소에 반대하여 무산시켰다. 하지만 1939년 결국 자공 (쯔궁)시는 설립되었고, [[국공내전]] 이후 [[네이장]] 관할에 속하던 룽현은 1979년 쯔궁 관할에 놓였다. 여담으로 룽현은 명대부터 같은 지명을 유지하고 있는 몇 안되는 중국 도시들 중 하나이다. == 갤러리 == [[파일:중국 영현 군정부.jpg|width=870]] [[파일:중국 영현 군 정부.jpg|width=870]] [[파일:영현 군정부 중국.jpg|width=870]] [[신해혁명]] 시기에 세워진 룽현군정부 (荣县军政府) [[파일:중국 대불 11.jpg|width=870]] [[파일:중국 대불 20.jpg|width=870]] [[파일:중국 대불 17.jpg|width=870]] [[파일:중국 대불 15.jpg|width=870]] [[파일:중국 대불 23.jpg|width=870]] [[파일:중국 대불사.jpg|width=870]] [[파일:중국 대불 2.jpg|width=870]] ||[[파일:중국 대불 21.jpg|width=361]]||[[파일:쯔궁 중국 1913.jpg|width=466]]|| |||| 룽현대불 (荣县大佛) |||| {{{#!folding [롱현 대불 기타 사진들] [[파일:중국 대불 1.jpg]] [[파일:중국 대불 7.jpg]] [[파일:중국 대불.jpg]] [[파일:중국 대불 10.jpg]] ||[[파일:중국 대불 19.jpg|width=430]]||[[파일:중국 대불 18.jpg|width=470]]|| [[파일:중국 대불 16.jpg]] [[파일:중국 대불 5.jpg]] [[파일:중국 대불 14.jpg]] ||[[파일:중국 대불 3.jpg|width=420]]||[[파일:중국 대불 22.jpg|width=478]]|| [[파일:중국 대불 4.jpg]] [[파일:중국 대불 8.jpg]] [[파일:중국 대불 12.jpg]] [[파일:중국 대불 13.jpg]] [[파일:1913 중국.jpg]]}}} [[분류:쓰촨성의 현]][[분류:중국의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