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류진욱)] [목차] [clearfix] === 개요 === 야구선수 류진욱의 선수 경력을 서술한 문서. === 고교 시절 === 야구선수 출신인 아버지[* 류진욱의 아버지도 부산고등학교 야구부 포수로 뛰다가 큰 부상을 당했고, 당시만 해도 '몸에 칼을 대면 선수 생명은 끝'이라는 인식이 팽배하던 시대여서 결국 수술 대신 프로의 꿈을 접는 쪽을 택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076&aid=0003776353|#]][[https://www.sportsq.co.kr/news/articleView.html?idxno=456965|#]]] 밑에서 자란 류진욱은 초등학교 4학년 시절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NC 1군 투수코치인 [[손민한]]이 에이로드 삼구삼진 잡은 그 대회이다.]를 보면서 야구를 처음 시작했다.[[https://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400&aid=0000000404|#]] 부산고 1학년 때는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으나 2학년 시절부터 자리를 잡기 시작했고, 14경기에 나서 68⅔이닝 5승 3패 53피안타 13볼넷 59K ERA 1.57의 좋은 성적을 남겼다. 3학년 때는 부산고의 에이스 역할을 맡았지만 12경기 63⅔이닝 6승 3패 61피안타 1피안타 23볼넷 49K ERA 3.07을 기록하며 2학년 시절보다는 오히려 떨어진 성적을 기록했다. 2학년 시절의 좋은 성적, 그리고 동의대 [[홍성무]]가 [[kt wiz]]의 특별 지명으로 빠져나가면서 [[롯데 자이언츠]]의 1차 지명 후보에도 이름을 올렸으나 주춤했던 3학년 때의 성적으로 인해 1차 지명은 부경고 [[강태율|강동관]]에게 돌아갔다. 2차 지명으로 내려갔지만 2라운드 21번이라는 상위 순번에서 [[NC 다이노스]]의 선택을 받으며 프로 생활을 시작하게 되었으며, 계약금 1억원에 입단 도장을 찍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PPr3Uy86y0, width=500, height=281)]}}}|| === [[NC 다이노스]] === 입단 첫 해인 2015년, 동기 [[구창모(야구선수)|구창모]]와 함께 1군 스프링캠프에 합류했지만 일정을 마무리하지 못하고 중도 귀국했다.[[http://www.idomin.com/?mod=news&act=articleView&idxno=472932|#]] 2015 시즌이 시작된 후에는 퓨처스리에만 머물렀으며 21경기 66이닝 4승 4패 2홀드 95피안타 5피홈런 42볼넷 43K ERA 8.73의 기록을 남겼다. ==== 두 차례의 수술 및 재활, 군 복무 ==== 이후 2020년까지 등판 기록이 전혀 없었다. 이유 없이 이렇게 공백이 길어진 이유는 지명 동기 [[이호중]]처럼 아마도 '''부상 재활'''일 것으로 추정[* 이호중도 두 차례 팔꿈치 수술과 그 사이에 사회복무요원 복무로 구단과의 계약 후 6년 1개월만에 겨우 1군에 모습을 드러냈다. 그 와중에 첫번째 팔꿈치 수술은 팬들에게 알려지지도 않다가 2020년 본인의 인터뷰를 통해서 직접 전해졌다.]되었으나 그동안 공개된 정보가 전혀 없었는데, 2021년 3월 스포츠동아 최익래 기자의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382&aid=0000896708|인터뷰 기사]]에 의해 2016년, 2018년 두 차례 팔꿈치 수술, 즉 [[토미 존 수술]]을 받은 사실이 알려졌다. 그러니까 재활만 4년 가까이 한 셈. 이후 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복무요원으로 입대해 평일 저녁에는 개인 재활, 주말에는 진해에 마련된 구단 재활군 훈련지를 찾아 팔꿈치 관리에 힘썼다. 2019 시즌을 앞두고 팀으로 복귀했다. 허나 2019 시즌에도 등판기록이 없으며 시즌 종료 후 롯데 2군과 가진 교류전에도, 마무리캠프에도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2021년 9월 [[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396&aid=0000591259|인터뷰]]에서 류진욱은 당시를 회상하며 팀 내 입지가 좁아지는 것을 넘어 당장 정리대상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에 매년 연말마다 초조했다고 말했다. 류진욱은 “아직 내 나이가 어리다고는 하지만 한 살씩 추가될 때마다 입지에 대한 불안감이 정말 컸다. 재활을 너무 길게 하다 보니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일도 쉽지 않았다”며 “입단 동기들은 시간이 흐를수록 잘하고, 신인 선수들은 매년 들어오는데 나는 1군 데뷔도 못 하고 있었다. 정말 화가 나는데 풀 데도 없더라”고 했다. 2019년 12월 한 팬의 목격담에 따르면 내년 시즌 준비를 위해 마산 야구장에 출근하고 있다고 하는데, 향후 행보는 아직도 불투명한 상황으로 2020 시즌 1군 스프링캠프 명단에도 포함되지 않았다. ==== 2020 시즌 ==== 그렇게 행방이 묘연하던 중, 7월 5일 퓨처스리그 롯데전에 무려 '''5년의 공백'''을 깨고 등판했다. 직구구속 최고 145km/h를 몇 차례 찍고, 평균구속도 140km/h 초중반대를 기록하며 호투를 펼쳤는데 다소 볼이 많았던 것은 아쉬웠다. 이날 1이닝 14구(8S) 1K 무실점을 기록하며 정말 오랜만에 홀드를 챙겼다. 이후 퓨처스리그에서 불펜투수로 꾸준히 등판했다. 7월에는 5경기 등판해 4⅔이닝 무실점으로 ERA 0.00이었고, 꾸준히 등판해 13경기 ERA 2.13으로 나쁘지 않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 확장엔트리가 시행되고 있던 9월 13일, [[배재환]]이 연일 맥락 없는 피칭으로 결국 1군에서 말소되자 '''프로 데뷔[* 2015년 4월 2일 퓨처스리그 SK전 첫 등판] 후 5년 5개월 11일만에 처음으로 1군 엔트리에 등록되었다.''' 9월 퓨처스 등판 3경기에서 18타자 상대로 7K를 솎아낼 정도로 제구가 안정화되었기 때문인 듯. [[소이현(야구선수)|소이현]], [[이승헌(1995)|이승헌]], [[이호중]], [[배민서]] 등 퓨처스에서 오랫동안 던져오던 투수들의 콜업에 이어 이번에는 류진욱에게 기회가 왔다. 허나 빡빡한 순위싸움이 이어지는 와중에 1군에서 검증되지 않은 류진욱이 등판할 기회가 없었고,[* 9월 15일 화요일 경기는 [[마이크 라이트]]가 패전했지만 6이닝 까지 채운 후 [[김진성]]-소이현으로 이어졌고, 9월 16~17일은 경기 극후반 2~3점차를 벌리는 추가점을 내면서 어렵게 연승을 가져갈 수 있었다.] 9월 18일 [[이재학]]이 복귀전을 갖기 위해 1군에 등록되면서 아쉽게 말소되었다. 이후에도 퓨처스리그에서 꾸준히 구원투수로 등판했다. 시즌 퓨처스 최종 성적은 16경기 3홀드 16⅔이닝 17피안타 13볼넷 16K 6자책점 ERA 3.24로 나쁘지 않은 성적을 거두었다. 10월 27일 무릎 염증으로 말소된 라이트를 대신하여 1군에 등록되었다. 당일 12대 2로 삼성에 크게 뒤진 8회초에 등판하여 1이닝 무실점 1삼진으로 막아내며 데뷔 첫 등판을 마쳤다. 10월 29일 롯데전에는 10-0으로 크게 앞선 7회말 등판해 [[한동희]]에게 홈런, [[오윤석]]에게 2루타를 맞으며 흔들렸으나, 이후 세 타자를 땅볼-희플-뜬공으로 막아냈다. 10월 31일 시즌 최종전인 KIA전 6회말에도 등판해 6타자를 상대로 1이닝 2피안타 2K 1볼넷으로 기복있는 투구를 했으나 어쨌든 무실점으로 이닝을 틀어막으며 1군 데뷔 시즌을 마쳤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16491486, width=500, height=281)]}}} || || 2020년 10월 31일 경기 류진욱 하이라이트 || ==== [[류진욱/선수 경력/2021년|2021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류진욱210827.jpg|width=100%]]}}}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류진욱/선수 경력/2021년)] || 시즌 최종 성적 44경기 43⅓이닝 31K 2피홈런 15실점(10자책) 7홀드 '''평균자책점 2.08'''로 NC 불펜의 새 얼굴로 떠올랐다. 류진욱은 전반기 이기는 경기, 지는 경기 가릴 거 없이 구원으로 등판해 경험을 쌓았고 후반기에는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불펜진에서 ERA 1.31을 기록하며 빛을 발했다. ==== [[류진욱/선수 경력/2022년|2022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류진욱220911.jpg|width=100%]]}}}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류진욱/선수 경력/2022년)] || 시즌 전체적으로 보면 전반기에는 6점대 ERA와 2점대 WHIP를 기록하며 큰 부진을 겪었으나, 후반기에는 2점대 ERA와 1.02의 WHIP로 좋은 활약을 했다. 5월 이후부터는 WHIP 자체가 계속 떨어졌으며 후반기 직구 평균구속이 더 올라가 148~9km/h를 넘나들었다. ==== [[류진욱/선수 경력/2023년|2023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30607류진욱.jpg|width=10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류진욱/선수 경력/2023년)]''' || 리그에서 손꼽히는 특급 활약으로 좌완 [[김영규(야구선수)|김영규]]와 함께 '''방탄 불펜'''을 구축하며 커리어 하이 시즌을 보냈다.[* 60경기 이상 등판한 불펜투수들 중 ERA가 가장 낮았다.] 시즌 최종 성적 70경기 67이닝 62K 1피홈런 19실점(16자책) 22홀드 '''WHIP 1.09 평균자책점 2.15'''.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류진욱, version=623)] [[분류:류진욱]][[분류:야구선수/커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