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SSG 랜더스/간략(투수))] ||
'''{{{#ffffff 류현곤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SSG 랜더스|{{{#ffffff SSG 랜더스}}}]] 등번호 06번}}}''' || || [[서상준]][br](2022) || {{{+1 →}}} || '''{{{#fff 류현곤[br](2023~)}}}''' || {{{+1 →}}} || 현역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 류현곤 프로필.png|width=100%]]}}} || ||<-2> '''SSG 랜더스 No.06''' || ||<-2> '''{{{#FFF {{{+2 류현곤}}}[br]Ryu Hyungon}}}''' || ||<|2> '''출생''' ||[[2004년]] [[11월 10일]] ([age(2004-11-10)]세) || ||[[충청남도]] [[서산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부춘초([[서산시리틀야구단|서산리틀]]) - 공주중 - [[평택청담고등학교 야구부|청담고]] || || '''신체''' ||177cm, 78kg || || '''포지션''' ||[[투수]]|| || '''투타''' ||[[우사우타]]|| || '''프로입단''' ||[[KBO 리그/2023년/신인드래프트#지명 결과|2023년 8라운드]] (전체 75번, [[SSG 랜더스|SSG]]) || || '''소속팀''' ||[[SSG 랜더스]] (2023~) || || '''연봉''' ||3,000만원 (2023년) || || '''소속사''' ||[[https://instagram.com/growin_sports|[[파일:그로윈.jpg|width=50&theme=dark]]]] || || '''SNS''' ||[[https://instagram.com/hyung.on?igshid=YmMyMTA2M2Y=|[[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SSG 랜더스]] 소속 우완 [[사이드암 스로|사이드암]] 투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청담고 류현곤.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c6MlfTKBh4)]}}}|| || '''황금사자기 결승전 후 뉴스''' || 사이드암 투수이고 청담고의 황금사자기 준우승 과정에서 뛰어난 활약상을 보이면서 확실히 지명권으로 분류되었다. 특히 경남고와의 결승전에서 선발로 나와 6⅓이닝 '''11K''' 3실점[* 7이닝 105구까지 무실점 11K로 완벽한 피칭을 보여줬다. 7회 [[김범석(야구선수)|김범석]]을 몸에 맞는 볼로 내 보내고 1사 2,3루 3볼 1스트라이크에서 교체당한 후 릴리프 이효민이 볼넷과 안타로 두드려 맞아 3실점(타석에 있던 선수도 류현곤의 책임주자)이 된 것, 결과는 3실점이었지만 실질적으로는 완벽하고 압도적인 피칭이었다. 청대 4번타자 김범석 포함 4타자 연속 삼진을 잡는 등 그야말로 kt [[고영표]]의 고교 버전이라고 할만한 춤추는 무브먼트의 대단한 피칭을 보여줬다.][* 심지어 무사 1,2루에서 나온 번트도 프로였다면 3루에서 충분히 아웃시킬 타구였으나 포수의 판단미스로 1사 2,3루가 되었다.]으로 빼어난 피칭을 보여줬다. 팀 타선이 낸 2점을 지키지 못해 패전을 기록했지만 류현곤은 [[김정민(2004)|김정민]]과 [[김범석(야구선수)|김범석]]의 중심타선을 위시한 경남고를 상대로 [[신영우]], 김범석의 청소년대표 배터리에 버금가는 투구를 보여줬고, 7회 류현곤이 내려가자마자 경남고는 불과 3이닝만에 7점을 낼 정도로 타선이 폭발한 점을 보면 류현곤이 얼마나 대단한 피칭을 했는지 알 수 있다. 비록 패했지만 팀 준우승에 기여한 바를 인정받아 황금사자기 감투상을 수상했다. 2023 신인드래프트에 참가하여 8라운드에서 [[SSG 랜더스]]의 지명을 받았다. 체격조건과 구속의 한계는 있지만 워낙에 무브먼트가 좋고 완성도가 높아서 잘 가다듬는다면 제 2의 [[고영표]]나 [[이재학]]이 될 수도 있는 자원. === [[SSG 랜더스]] === 최강야구에 SSG 2군 팀으로 등장했다. 4회에 등판해 인상적인 투구를 보이며 1이닝을 깔끔히 막았다. 140 중반 대까지 구속을 올렸다. 6월 29일 구단 공식 인스타를 통해 그라운드 사정으로 경기 취소를 알리면서 [[https://www.instagram.com/reel/CuEPg5yJwq1/?igshid=MzRlODBiNWFlZA==|1군 메이저 투어]]를 하고 있음이 알려졌다. == 플레이 스타일 == 평균 144km/h 최대 148km/h의 패스트볼에 각 좋은 슬라이더와 커브를 던진다. 스플리터도 던지지만 다른 변화구에 비하면 완성도가 떨어진다. 브레이킹볼이 뛰어난 만큼 탈삼진이 많으며 우타자 상대로 더 좋은 모습을 보이는 선수다. == 여담 == * ㅊ을 쓰는 방법이 조금 독특한데, ㅡ -> ㅈ 순이 아닌 ㅗ -> ㅈ 순으로 쓴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2004년 출생]][[분류:서산시 출신 인물]][[분류:우사우타]][[분류:사이드암 투수]][[분류:우완 투수]][[분류:SSG 랜더스/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