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공개, 대상=자동차, 주제=자동차, 회사=르노코리아자동차)] ||<#fff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로라 프로젝트 티저.png|width=100%]]}}} || || {{{#000000 '''Renault Korea Project Aurora (가칭)'''}}} ||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자동차 제조사인 [[르노코리아자동차]]에서 향후 선보일 예정인 SUV 프로젝트 차량들이다. 오로라 프로젝트는 세 대의 신차를 르노코리아 주도로 개발/생산하는 중-장기 전략을 통칭하는 말이다.[* 르노 R:Xperience와 유사한 개념. 여러 대의 신차가 포함되어 있다.] 오로라 프로젝트에 속한 세 대의 신차는 르노코리아 내부적으로 각각 오로라 1, 오로라 2, 오로라 3으로 분류 중이다. '''오로라 1'''은 [[준대형차|하이브리드 준대형 SUV]]로 [[르노코리아 QM6|QM6]]의 후속 차량이며, '''오로라 2'''는 [[중형차|중형]] [[CUV]]([[쿠페형 SUV]])[[https://car.with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1357|#1]][[https://m.ebn.co.kr/news/view/1609102|#2]]로 [[르노코리아 SM6|SM6]]와 2020년 단종된 [[르노삼성 SM7|SM7]]의 통합 후속으로 예정되어 있다. '''오로라 3'''는 [[준대형차|준대형 SUV]]로 2023년 상반기에 착수한 르노코리아의 전기차 프로젝트이다.[[https://v.daum.net/v/20230525143010365?x_trkm=t|#]] 오로라 1, 오로라 2, 오로라 3는 각각 2024년, 2026년, 2027년에 한국에 출시할 예정이다. == 상세 == === 오로라 1 (2024년 출시 예정) === [[르노삼성자동차]]의 사명 변경 이후 처음 언급되었으며, [[루카 데 메오]] [[르노]] 회장의 방한이 이루어진 [[2022년]] 10월 11일에 언급되었다. [[지리자동차]]와의 협업을 통해 개발되는 프로젝트로, 현재 르노코리아의 최고 주력 차종인 [[르노코리아 QM6|QM6]]의 후속으로 개발되는 차종인 만큼 향후 [[르노코리아자동차]]의 먹거리로 지목할 정도로 중요한 사업인 상황이다. 차명이 아직 밝혀지진 않았는데, 2023년 5월 16일 본사 중앙연구소에서의 컨퍼런스를 통해 기존의 'QM'시리즈 이름을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2024년 4월 3일부터 태풍의 눈 로고를 버리고 본사와 동일한 다이아몬드(로장쥬) 엠블럼으로 통일한 것으로 알려져 기존 르노삼성 시절부터 써온 네이밍을 부여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93/0000049907?sid=101|#]] [[볼보 CMA 플랫폼]]이 적용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지리 싱유에 L]]를 기반으로 할 것이라는 관측들이 쏟아지고 있다. 일단은 하이브리드 준대형 SUV로 알려져 있으며[* 기존 QM6의 판매량을 지탱하던 LPe 파워트레인 역시 출시될 가능성이 있다.] 전장에서 싼타페보다 10cm 가량 길 것으로 추측 및 예상된다. 정확한 것은 정식적으로 공개가 되어야 알 수 있으며, 공개 시점은 2024년에 개최되는 제12회 [[부산모빌리티쇼]]를 통해 공개할 것으로 보인다. 기존 르노코리아 차량들과 기초부터 크게 다른 차량이지만 국산화율은 60%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 오로라 1 생산 일정 중 하나로 4월 29일부터 5월 첫주까지 르노코리아 부산공장 차체라인에 공사가 예정되어 그 기간 동안 부산공장은 휴업에 들어갔다. 또한, 6월에도 조립 라인에 공사가 예정되어 프로젝트가 순차적으로 이뤄지고 있음이 확인됐다. 내수판매 감소와 수출 선적의 어려움으로 부산 공장 생산량이 점차 감소하는 시점이라 르노코리아 입장에선 사활을 걸고 있는 듯 하다. 본격적인 생산 자체는 2024년 중하순부터 개시할 예정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이에 앞서 개최될 부산모빌리티쇼에서 월드 프리미어로 쇼카가 공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 오로라 2 (2026년 출시 예정) === SM6와 2020년 단종된 SM7의 통합 후속인 중형 [[CUV]]([[쿠페형 SUV]])로 예정되어 있다.[[https://m.ebn.co.kr/news/view/1609102|#]] 기본적인 디자인 코드는 [[르노 라팔]]과 동일하지만, 플랫폼의 경우 라팔에서 사용하는 CMF-C/D 플랫폼이 아닌 최근 지리자동차가 공개한 [[https://www.motorgraph.com/news/articleView.html?idxno=32946|지리 싱루이 L]]과 동일한 [[볼보 CMA 플랫폼]] 혹은 [[볼보 SPA 플랫폼]]이나 [[볼보 SPA2 플랫폼|SPA2 플랫폼]]을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파워트레인의 경우 E-TECH 하이브리드와 LPe로 출시되며 후륜 서스펜션은 기존 SM6에서 승차감 문제로 엄청나게 욕을 먹었던 토션빔 서스펜션을 버리고 SM5/SM7과 같은 멀티링크 서스펜션으로 변경될 것으로 보인다.[* 르노코리아가 2024년 상반기에 태풍의 눈 로고를 버리고 본사와 동일한 다이아몬드(로장쥬) 엠블럼으로 통일하는 것을 검토중이라는 이야기가 있어 옛 삼성자동차 시절부터 써온 네이밍인 SM×, QM×, XM× 등을 버리고, 완전히 새로운 네이밍으로 바꿀 가능성 역시 높다[[https://n.news.naver.com/article/293/0000049907?sid=101|#]].] === 오로라 3 (2027년 출시 예정) === [[르노삼성자동차]]의 사명 변경 이후 처음 언급되었으며, 2027년까지 시간이 많이 남은 상황이라 정보가 많이 없다. 파워트레인은 전기 파워트레인이고, 차급은 준대형 SUV로 알려졌다.[[https://v.daum.net/v/20230525143010365?x_trkm=t|#]] 1회 충전 주행거리 600km를 목표로 개발 중에 있으며 만약 출시된다면 [[기아 EV9]], [[현대 아이오닉 9]], [[KGM F100 프로젝트]]를 정조준하는 차량이 될 것이다. 플랫폼의 경우 [[로터스 엘레트라]]와 동일한 EPA(Electric Premium Architecture) 플랫폼 혹은 [[볼보 SPA2 플랫폼]]을 사용할 것이 유력하다. 그러나 2023년 하반기 기준, 지난 2020년과 달리 전기차에 대한 관심이 식었고, 하이브리드로 수요가 몰리는 추세라 만약 출시된다고 하더라도 수요가 있을지가 관건.[* 당장 [[KG모빌리티]]가 렉스턴 풀체인지로 개발중인 [[KGM F100 프로젝트]]를 순수 전기차로만 출시하려 했다가, 전기차의 수요 감소로 인해 가솔린 터보+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도 함께 개발하는 것으로 계획을 변경했다.] 실제로 [[기아 EV9]]도 출시 전에는 인기가 폭발적이였다가 막상 출시되니 출시 초기에만 반짝이고 이후 지속적으로 판매량이 하락하고 있다. 재고차 할인까지 들어갈 정도.[* 차량이 출시된지 6개월만에 재고차 할인이 들어간 건 최근 출시된 기아차 중에서 이례적이다. 당장 2024년에 출시하는 형제차인 [[현대 아이오닉 9|아이오닉 9]]의 경우 가격책정에 대한 부담이 커진 상황.] == 여담 == 2024년 출시되는 오로라 1 부터 T맵 모빌리티와 협약을 맺고 T맵 인포테인먼트를 탑재하여 출시할 예정이다. 이는 단순히 201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르노삼성차에 탑재된 순정 내비만 T맵이 아닌 [[볼보]]와 같은 T맵 인포테인먼트를 탑재하는 것이다.[[https://naver.me/FoHlbpQ2|#]][[https://youtu.be/veIzLlxyjU0?si=gEaxg0JwqfV6sLM7|#]] == 둘러보기 == [include(틀:르노코리아자동차의 차량)] [[분류:르노코리아/생산차량]][[분류:2024년 출시]] [[분류:출시 예정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