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fffff,#1f2023> [[르노삼성자동차|[[파일:르노삼성자동차 로고.svg|width=1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르노 조에 대한민국 사양.jpg|width=100%]]}}} || ||<#fdb515> {{{#000000 '''ZOE'''}}} || [목차] '''RENAULT-SAMSUNG ZOE'''[* 한국에선 '조에'로 출시했지만 프랑스에선 '조이'라고 읽는다.] '''[[르노 조에|RENAULT ZOE]]''' == 개요 == [[르노]]에서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생산한 [[르노 조에]] 페이스리프트 모델을 [[르노삼성자동차]]에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수입한 [[소형차|소형]] [[전기자동차|전기]] [[해치백]]이다. == 모델별 설명 == === 초기형 ~ 페이스리프트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르노 조에)] ==== 대한민국 출시 ==== [[르노삼성자동차]]에서 2020년 8월 18일에 출시했다. [[르노삼성 SM3 Z.E.|SM3 Z.E.]]의 포지션을 대체할 것으로 보이며, AC 3상을 이용했던 [[르노삼성 SM3 Z.E.|SM3 Z.E.]]와 달리 DC콤보-1 규격으로 나온다고 한다.[* 2016년에 대한민국에서 DC콤보-1이 급속충전용 표준 규격으로 정해졌다. 거기에 [[르노삼성 SM3 Z.E.|SM3 Z.E.]]가 생산이 중지됐고, [[닛산 리프]]가 [[한국닛산]]의 철수로 더 이상 수입되지 않음에 따라 [[대한민국]]에서는 AC 3상과 차데모 잭으로 나오는 [[전기자동차]] 모델들을 더 이상 구할 수 없게 됐다. 이에 따라 급속충전 규격은 DC콤보-1으로 사실상 통일됐으며, [[테슬라]]같은 경우가 아닌 이상 별 말 없으면 DC콤보-1으로 나온다. 1톤트럭 포터/봉고 전기차도 DC콤보-1 규격이다.] 가격은 젠(ZEN)은 3,995만원, 인텐스 에코(INTENS ECO)는 4,245만원, 인텐스(INTENS)는 4,395만원이다. 푸조 e-208 및 [[현대 아이오닉]] 일렉트릭보다는 100만원 가량, [[현대 코나 일렉트릭]]보다는 600만원 가량 더 저렴한 가격이다. 그러나 유럽 판매가보다 시작가가 1000만원이나 높은데다 사실상 경차로 취급될정도로 작은 차량 크기로 인해 가격 책정이 잘못 됐다는 의견이 많다.[* 대한민국 네티즌들은 이 가격에서 500만원만 더 저렴했으면 대성했을 것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보조금으로 인한 전기차 비수기인 연말에는 2020년 12월 4대, 2021년 1월엔 단 1대만이 팔렸고, 2월부터는 월 100대 정도로 소소하게 팔렸다. 2022년형으로 조용히 연식변경하면서 인카페이먼트[* 근처 카페나 식당, CU편의점에서 페이로 결제하고 비대면 픽업도 받을 수 있다. 인프라가 적지만 차근차근 늘려나가고 있다.]와 OTA (Over The Air)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무선으로 통신망을 이용해 내비를 상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기존 차량도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받으면 적용 가능하다.][[https://youtu.be/vGPDWisqruE|#]]기능이 추가되었다. [[소형차|소형]] [[해치백]]임에도 불구하고 높이와 시트 포지션이 상당히 높다고 하며, 앉았을때의 느껴지는 높이가 소형 크로스오버 SUV와 비슷하거나 더 높다고 한다. 시승회는 [[DDP]]에서 진행하였다. 2022년 4월경에 21년형 재고를 모두 소진[[https://economist.co.kr/2022/04/29/industry/normal/20220429190004002.html|#]]하면서 실질적인 수입 중단 수순에 들어갔고, 2022년 7월에는 르노 전용 홈페이지와 SNS 계정을 [[르노코리아자동차]]로 통합하면서 [[르노 마스터/3세대|마스터]]를 제외한 기타 르노의 다이아몬드 로고가 적용된 모델들은 대한민국 시장에서 단종되었다.[[http://www.carguy.kr/news/articleView.html?idxno=43778|#]] == 제원 == 대한민국 사양 기준으로 정리하였다. ||<-2><#fff> {{{#000 {{{+1 '''ZOE'''}}}(F/L)}}} || || '''생산지''' ||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일드프랑스]] [[이블린]] 플린쉬르센 || || '''차량형태''' || 5도어 [[소형차|소형]] [[해치백]] || || '''승차인원''' || 5명 || || '''전장''' || 4,090mm || || '''전폭''' || 1,730mm || || '''전고''' || 1,560mm || || '''축거''' || 2,590mm || || '''윤거(전)''' || 1,510mm || || '''윤거(후)''' || 1,510mm || || '''공차중량''' || 1,545kg || || '''배터리 용량''' || 54.5kW || || '''타이어 규격''' || 195/55R16 88W || || '''플랫폼''' || [[르노-닛산 B 플랫폼]] || || '''구동방식''' || [[FF(자동차)|앞엔진-앞바퀴굴림(FF)]] || || '''전륜 현가장치''' ||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 || '''후륜 현가장치''' || [[토션빔 서스펜션]] || || '''전륜 제동장치''' ||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 || '''후륜 제동장치''' || 솔리드 [[디스크 브레이크]] || ||<-8><#ffffff> {{{#000 '''파워트레인'''}}} || || '''전동기 형식''' || '''축전지 전압''' || '''축전지 용량''' || '''최고 출력''' || '''최대 토크''' || '''충전시간 (완속)''' || '''충전시간 (급속)''' || '''항속 거리''' || || [[PMSM]] || 400V || - || 100kW (136ps) || 245Nm(25kgf·m) || 9시간 25분 || 1시간 15분 || 309km || == 안전성 == 2021년 [[NCAP|EuroNCAP]] 충돌시험에서 다소 충격적인 모습을 보여줬는데, 무려 별 '''0점'''을 받았다.(...)[[https://www.youtube.com/watch?v=HiOs1mCMH4Q&ab_channel=EuroNCAP|#]][* 요즘 시대에 기본으로 적용되는 '''커튼 에어백이 탑재되어 있지 않다.''' 에어백이라곤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드가 전부.] 당장 타사와의 비교를 하지 않아도 자사의 차종인 [[르노 아르카나]], [[르노 캡처]], [[르노 콜레오스]], [[르노 메간]], [[르노 탈리스만#s-4.1]], [[르노 카자르]]도 별 5개를 얻었으며, 심지어 상용차인 [[르노 캉구]]나 [[르노 트래픽]]도 별 4개와 3개를 얻었고 전기형 조에도 별 5개를 받았다. 조에의 안전이 얼마나 열약한지를 보여주는 부분.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자면, 출시 1년 뒤인 2013년에 진행된 유로 ncap을 보면[[https://youtu.be/LpIEiG5a3yM|#]] 사이드 에어백이 닭다리 모양으로 [[QM3]] (르노 캡처)[[https://youtu.be/jiweRmsd6A4|#]]처럼 운전석 조수석 탑승자의 머리 상해를 보호하는 역할을 했는데 이것이 기존의 사이드 에어백 모양으로 회귀하며 안전에 취약한 차가 되었다. 이마저도 연식변경 모델에서 제거해버렸다. 이렇다면 같은 소형 전기 해치백이면서 6 에어백이 기본으로 장착된 푸조 e-208을 사는 것이 훨씬 더 나은 선택이다.[* 예전 2000년대 중반에 현대도 해외 수출 차량에선 국내 시장에서 선택도 할 수 없는 커튼 에어백을 달아 논란이 되었지만, 2010년대 초반부턴 국내 판매 차종에도 커튼 에어백을 기본으로 선택할 수 있게 했다. 반면 르노는 조에의 기존 사이드 에어백이 커튼 에어백을 대체하던 원가절감으로 커튼에어백 역할을 하는 부분을 삭제했다.. 르노는 한국에서 집적 진출했다가 철수해서 잘 알려지지 않을 뿐이지 예전부터 원가절감으로 악명 높은 브랜드였다.][* 아직도 개체수가 많고 도로에서 심심치 않게 보이는 [[아반떼 XD]]와 에어백 개수만 놓고 봐도 사이드 에어백 2개를 제외하곤 동일한 개수다.. 그 당시만 해도 운전석 에어백만 기본이였고, 조수석과 사이드 에어백은 옵션이였다. 심지어 낮은 트림은 [[ABS]]도 옵션.. 지금은 상황이 많이 나아져서 6개 에어백은 기본이지만 르노 조에는 제조사의 원가절감으로 시대를 역행하는 차가 되어버렸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르노의 차량)] [include(틀:르노코리아의 차량)] [include(틀:르노삼성자동차의 차량)]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르노 조에, version=186)] [[분류:르노/생산차량]][[분류:르노삼성자동차/수입차량]][[분류:2020년 출시]][[분류:2022년 단종]][[분류:소형 해치백]][[분류:전기자동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