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음이의어, rd1=리그 1(동음이의어))] [include(틀:유럽의 주요 축구리그(남유럽))] [include(틀:리가 I)] ||<-2> '''{{{+1 {{{#f7ef0e Casa {{{#fff Liga I}}}}}}}}}[br]{{{#f7ef0e 카사 {{{#fff 리가 I}}}}}}'''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62428 34.2%, #fff 34.2%)" [[파일:Liga I casa.png|width=200]]}}} || || {{{#fff '''정식 명칭'''}}} ||리가 I[br](Liga I) || || {{{#fff '''창설'''}}} ||[[1909년]] || || {{{#fff '''참가 구단 수'''}}} ||[[틀:리가 I|16개 팀]] || || {{{#fff '''하위 리그'''}}} ||리가 II[* 2022-23시즌 우승팀: FC 폴리테흐니카 이아시] || || {{{#fff '''최근 우승 구단'''}}} ||[[파일:FCV 파룰 콘스탄차 로고.svg|width=20]] [[FCV 파룰 콘스탄차]]^^(2022-23)^^ || || {{{#fff '''최다 우승 구단'''}}} ||[[파일:FCSB 로고.svg|width=20]] [[FCSB]]^^(26회)^^ || || {{{#fff '''UEFA 랭킹'''}}} ||'''23위''' [[https://www.uefa.com/nationalassociations/uefarankings/country/#/yr/2024|#]] || || {{{#fff '''웹 사이트 및 소셜 미디어'''}}} ||[[http://lpf.ro| [[파일:Liga I casa.png|width=20]]]] | [[https://youtube.com/@ligaprofesionistadefotbal6667|[[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lpf_ro, 크기=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lpfromaniaen, 크기=20)][* 영어 계정] | [[https://www.facebook.com/lpf.ro/|[[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linkedin.com/company/liga-profesionista-de-fotbal/|[[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루마니아]]의 최상위 축구 리그. 정식 명칭은 리가 I이며, 아라비아 숫자를 넣어 리가 1이라고도 한다. 혹은 LPF라고도 불리거나 리그의 메인 스폰서 이름인 베팅업체 베타노의 이름을 따서 리가 1 베타노라고도 부른다. 현재 14개의 클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위 리그인 리가 II과 승강제를 실시하고 있다. 팀당 서로 두 경기씩을 치러서 총 26라운드까지 진행되며 정규리그 종료 후 [[K리그 1]]처럼 스플릿 라운드를 진행한다. 상위 6팀이 상위스플릿에서 [[UEFA 챔피언스리그]] 및 [[UEFA 유로파 리그]] 티켓을 놓고 경쟁하고, 하위 8팀은 하위스플릿에서 자동강등 및 강등플레이오프 자리를 놓고 싸운다. 상위스플릿에서 1등을 한팀에게만 챔피언스리그 티켓이 주어지는데, 리그 랭킹이 낮은 탓에 2차 예선으로 진출한다. 2위 팀에게는 유로파리그 2차 예선, 3위 팀에게는 1차 예선 티켓이 주어진다. 컵 대회인 쿠파 로므니에이 우승팀에게도 역시 유로파리그 3차 예선 티켓이 주어진다. 하위스플릿에서는 8팀이 강등을 피하기 위해 경쟁하고 하위 2팀은 다음 시즌 2부 리그로 자동 강등, 3번째로 순위가 낮은 팀은 2부 리그인 리가 II의 3위팀과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플레이오프를 진행하여 이기면 잔류, 지면 강등이다. 플레이오프로 진입할 때는 정규리그의 승점에서 절반을 나눈 후 (홀수일경우 절반을 한 후 반올림, 승점 외 사항들은 정규리그에서 가져오지 않는다.) 플레이오프에서 얻는 승점을 더하여 순위를 가린다. 여기서 순위를 매길 때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사항들이 몇 개 있다. 1. 승점 2. 승점 동일 시 두 클럽 전적 비교 3. 승점, 전적 동일시 전적 득실차(전적에서의 득실차) 비교 4. 승점, 전적, 전적 득실차 동일시 득점 수 비교 5. 총 득실차 비교 6. 총 득점 수 비교 7. 위의 것들이 모두 동일시 플레이오프 추가경기 최다 우승 구단은 챔피언스리그나 유로파리그에도 종종 나와서 몇몇 사람에게 익숙한 팀인 [[FCSB]]로, 26회 우승하였다. 그 뒤를 [[FC 디나모 부쿠레슈티]]가 18회로 추격 중이다. 하지만, 재정적 어려움이 많아 급여 미지급이 벌어지는 게 많다. 2022년 7월 들어 국제축구선수협회(FIFpro)가 [[중국 슈퍼리그]]와 알제리, 그리스(수페르리가 엘라다 2), 리비아, [[사우디 프로페셔널 리그]], [[쉬페르리그]]와 같이 루마니아 리가 I도 프로축구 선수들을 상대로 조직적이고 광범위한 계약 위반 등 불공정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며 해당 국가 이적을 조심하라고 경고했다. 이중에서 루마니아와 튀르키예는 여러 구단에서 급여 미지급 등 계약 위반이 장기적, 반복적으로 발생했다는 것이다. === 리그 방식의 변화 === 2019-20 시즌, [[COVID-19]]의 전 지구적 범유행으로 인해 리가 I 또한 도중 중단되면서 시즌을 파행운영할 수 밖에 없었다. 리가 I에서 다이렉트 강등을 없애고, 2부리그인 리가 II의 상위 2팀이 자동 승격했으며, 리가 I 14위팀과 리가 II 3위팀의 승강 플레이오프 승자가 차기 시즌 리가 I에 합류하게끔 했다. 이를 계기로, 리가 I이 14팀에서 16팀으로 확장 운영되게 되어 2020-21 시즌부터는 리그 운영 방식이 소폭 달라졌다. * 기존 14팀 체제처럼 16팀이 홈 앤드 어웨이로 팀당 30경기의 정규리그를 치른다. * 정규리그 1~6위가 '''플레이오프 라운드''', 정규리그 7~16위가 '''플레이아웃 라운드'''로 향한다. 두 라운드로 향하는 팀들은 모두 정규리그의 승점을 절반으로 나눈 승점'''만''' 가지고 다음 라운드에 임하게 된다.[* 소수점이 나오면 반올림한다.] 즉, 정규리그의 골득실, 상대전적은 플레이오프 라운드와 플레이아웃 라운드에서 유효하지 않는다. * __플레이오프 라운드__ 6팀은 서로 2번씩 경기를 치러 10경기를 더 소화한다. 정규리그에서 얻은 승점의 절반과 이 10경기에서 얻은 승점을 합쳐 최종 순위를 가린다. 만약 컨퍼런스리그 플레이오프 라운드 진출권을 확보한 팀이 UEFA 라이센스를 발급받지 못한다면 차순위 팀에게 진출권이 양도된다. * 1위 : 우승 및 [[UEFA 챔피언스 리그]] 1차 예선 진출 * 2위, 3위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 예선 진출 * 4위 : __리가 I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진출권 플레이오프 라운드__ 진출 * __플레이아웃 라운드__ 10팀은 서로 '''1번씩''' 맞붙어 팀당 9경기를 추가로 치른다. 플레이오프 라운드와 마찬가지로 플레이아웃 라운드도 정규리그의 승점 중 절반만 가지고 플레이아웃 라운드를 치르게 되며, 역시 소수점 승점은 반올림한다. 또한 정규리그의 골득실, 상대전적도 플레이아웃 라운드에선 리셋된다. 만약 컨퍼런스리그 플레이오프 라운드 진출권을 확보한 팀이 UEFA 라이센스를 발급받지 못한다면 차순위 팀에게 진출권이 양도된다. * 7위, 8위 : __리가 I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진출권 플레이오프 라운드__ 진출 * 8위 ~ 12위 : 차기시즌 리가 I 잔류 * 13위, 14위 : 리가 I 승강 플레이오프 진출 * 15위, 16위 : 차기시즌 리가 II 강등 * '''승강 플레이오프'''는 리가 I의 13위와 리가 II의 4위가, 리가 I의 14위는 리가 II의 3위와 홈 앤드 어웨이로 맞붙어 승강 여부를 가린다. * '''컨퍼런스 리그 플레이오프 라운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최종 승자가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예선 진출권 나머지 1장을 가져간다. * 준플레이오프 : 플레이아웃 라운드 7위 vs 8위 - 7위팀의 홈구장에서 단판 개최 * 플레이오프 : 플레이오프 라운드 4위 vs 준플레이오프 승자 - 4위팀의 홈구장에서 단판 개최 == 2023-24 시즌 참가 구단 == [include(틀:리가 I)] || 참가 구단 || 전 시즌 순위 || 특이 사항 || 리가 I 첫 참가 || 최근 승격 시즌 || || [[FCV 파룰 콘스탄차]] || 우승 || [[UEFA 챔피언스 리그]] 1차예선 진출 || 1955 || 2021-2022 || || [[FCSB]] || 준우승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예선 진출 ||<-2> 1947-1948 || || [[CFR 1907 클루지]] || 3위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예선 진출 || 1947-1948 || 2004-2005 || || [[CS 우니베르시타타 크라이오바]] || 4위 || - || 1964-1965 || 2014-2015 || || [[FC 라피드 부쿠레슈티]] || 5위 || - || 1932-1933 || 2021-2022 || || [[세프시 OSK 스픈투게오르게]] || 6위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예선 진출[* 쿠파 로므니에이 우승] ||<-2> 2017-2018 || || [[FC U 크라이오바 1948]] || 7위 || - || 1991-1992 || 2021-2022 || || [[FC 페트롤룰 플로이에슈티]] || 8위 || - || 1933-1934 || 2022-2023 || || [[FC 볼룬타리]] || 9위 || - ||<-2> 2015-2016 || || [[FC 우니베르시타테아 클루지]] || 10위 || - || 1933-1934 || 2022-2023 || || [[FC 헤르만슈타트]] || 11위 || - || 2018-2019 || 2022-2023 || || [[FC 보토샤니]] || 12위 || - ||<-2> 2013-2014 || || [[FC UTA 아라드]] || 13위 || 승강 플레이오프 승자 || 1946-1947 || 2020-2021 || || [[FC 폴리테흐니카 이아시]] || - || 리가 II 1위[* 2년만의 승격] || 1960-1961 || 2023-2024 || || [[ASC 오첼룰 갈라치]] || - || 리가 II 3위[* CSA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가 2위를 기록했지만 공공구단인 관계로 승격이 불가능하다.][* 8년만의 승격] || 1986-1987 || 2023-2024 || || [[FC 디나모 부쿠레슈티]] || - || 리가 II 4위, 승강 플레이오프 승자[* 1년만의 승격] || 1948-1949 || 2023-2024 || == 루마니아 리가 I와 대한민국 == ||<:>순서 ||<:>이름 ||<:> 구단 ||<:>기간 || ||<:>1 ||<:>[[김길식]] ||<:> [[ASC 오첼룰 갈라치|FC 오첼룰 갈라치]] ||<:>(2007) || ||<:>2 ||<:>[[박재홍(축구)|박재홍]] ||<:> [[FC 우니베르시타테아 클루지]] ||<:> (2008) || ||<:>3 ||<:>[[김병오(축구선수)|김병오]] || [[CFR 1907 클루지]] ||<:> (2012) || 세 명의 한국 선수가 루마니아 리가 I에서 뛴 적이 있다. 최근은 아니고, 10여 년도 더 전인 2007년에 전남 드래곤즈와 부천 SK[* 연고이전 후 제주 유나이티드에서도 뛰었다.]에서 뛰었던 [[김길식]]이 오첼룰 갈라치에서 19경기 출전, 2골을 기록하였다. 김길식이 지금은 사라진 주간 스포츠지인 스포츠 2.0에서 루마니아에서 뛸 당시에 팀 동료들이 한국에서 왔다는 것과 한국에서 받은 돈을 이야기하자, 팀 동료들이 뭐하러 여기에 왔냐고 아리송해하던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실제로 루마니아 리그에서 뛰면서 돈도 제대로 받지못해 법적 공방까지 벌어야 했다. 그만큼 루마니아 리그도 재정적 문제가 심각하다. 물론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같은 전국구 인기팀은 예외이다. 우습게도 갈라치는 2010~11 시즌에 루마니아 리가 1에서 사상 처음이자 마지막 우승을 차지했다. 50년 가까이 2~4부리그 우승컵이 전부이던 팀이..... 거기에 [[슈퍼컵]]도 우승하며 더블 우승을 기록하는 아주 짧은 [[리즈 시절]]을 가지고, 5년도 안가 2부리그로 강등하더니만 재정문제로 팀이 해산되어버렸다. 지금은 열혈팬들이 돈모아서 재창단하여 3부리그 팀이다. 좀 더 유명한 선수로, 2000년부터 2005년까지 국가대표로도 31경기를 출전했던 [[박재홍(축구)|박재홍]]이 2006-2007 시즌 당시 2부리그 팀이었던 우니베르시타테아 클루지에 겨울에 합류해 14경기 출전 2골을 기록하며 팀의 승격을 이끌고 2007-08 시즌 한국인으로는 2번째로 루마니아 리가 I에 진출했다.[* 2부리그에 있을 당시에는 김종천이라는 한국선수가 팀에 한명 더 있었다. 그러나 그는 시즌을 마치고 다른 팀으로 이적했다.] 이후 박재홍은 07-08 시즌 전반기 14경기에 출전하며 주전급 수비수로 활약했으나 앞선 김길식과 같은 임금 체불 문제등이 겹쳐 결국 시즌 중반 [[경남 FC]]로 이적하며 루마니아를 떠났다. 박재홍 소속팀이던 우니베르시타테아 클루지는 한 시즌만에 2부리그로 강등당하고 2010년대 중순에 4부리그까지 강등당할 정도로 엉망이었다. 그나마, 2020~21 시즌은 2부리그 팀이다. 현재까지 마지막 한국인 루마니아 1부리거는 現 [[부산 아이파크]] 소속인 [[김병오(축구선수)|김병오]]로 2012년에 [[CFR 1907 클루지]]에 소속되었으나 한 경기도 뛰지 못하고 결국 [[한국 내셔널리그|내셔널리그]]의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로 이적하며 국내로 돌아왔다. 김길식과 박재홍을 힘들게 했던 '''임금 체불''' 등의 취약한 리그 재정으로 루마니아 선수들의 몸값이 자국 명문팀 소속 선수라도 그리 비싸지 않다. 이 때문에 최근 '''저비용 고효율'''이 대세가 된 국제축구계 이적시장에서, 특히 K리그에서 루마니아 리그 수준급 선수들에 대한 수요가 꽤 높은 편이다. 때문에 국내 선수는 아니지만 꽤 많은 루마니아 선수들이 리가 I에서 K리그로 온 사례가 많다. 가장 잘 알려진 인물은 [[아드리안 네아가]]. 그 외에도 수원에서 뛰었던 [[미하이 드러구슈]][* K리그 등록명 '''미하이'''. 어린 나이에 국가대표에 승선한 [[데니스 드러구슈]]의 아버지이다.]나 [[가브리엘 포페스쿠]][* K리그 등록명 '''가비'''. 1998 프랑스 월드컵 본선 22인에 포함되었던 스타 플레이어 출신이다.] 등이 있다. 이후에도 [[아우렐리안 키추]], [[장클로드 보즈가]] 등의 루마니아 국적의 선수들이 리가 I을 경험하고 K리그에 진출했었으며 2021년 수원 삼성의 [[니콜라오 두미트루]]와 성남 FC의 [[세르지우 부쉬]]가 최근 리가 I에서 K리그로 진출했다. 루마니아 국적이 아닌 선수들 중에서도 [[고르단 부노자]] 같은 사례가 있다. 최근에는 아쉽게도 키추를 제외하먼 루마니아 선수들이 환경이 잘 안맞는지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세르지우 부쉬도 실패하였고 최근에 대전에 합류한 다니엘 포파도 실패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아무래도 동유럽권 국가들이 EU에 가입하게 되면 보스만 룰로 인해 EU내 자유 이적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전처럼 준척급 선수들을 데려오기가 힘들어진다. 거기다 루마니아 축구 자체가 침체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크로아티아 역시 EU에 가입하면서 준척급 선수들을 데리고 오기 어려워졌지만, 이쪽은 그래도 루마니아처럼 위상이 추락한 쪽은 아닌데다 [[미슬라브 오르시치]]가 K리그를 거쳐 포텐을 터뜨리며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에까지 발탁되고 있는 상황이라 다소 주목도가 높아졌다.] 이보다 좀 더 실력이 있지만, 대형 유망주급 선수는 스페인, 잉글랜드, 이탈리아 등으로도 진출하며, 그 보다 한 단계 낮게 평가되는 선수는 러시아 리그로도 많이 이적한다. 최근에는 루마니아 선수들을 선호하는 터키 슈퍼리그로도 많이 진출한다. == 우승 구단 목록 == (현재의 리가 I로 바뀐 2006-07 시즌부터) || 연도 || 우승 || || 2006-07 || [[FC 디나모 부쿠레슈티]] || || 2007-08 || [[CFR 1907 클루지]] || || 2008-09 || FC 우니레아 우르지체니 || || 2009-10 || [[CFR 1907 클루지]] || || 2010-11 || [[ASC 오첼룰 갈라치]] || || 2011-12 || [[CFR 1907 클루지]] || || 2012-13 || [[FCSB]] || || 2013-14 || [[FCSB]] || || 2014-15 || [[FCSB]] || || 2015-16 || [[FC 아스트라 지우르지우]] || || 2016-17 || [[FC 비토룰 콘스탄차]] || || 2017-18 || [[CFR 1907 클루지]] || || 2018-19 || [[CFR 1907 클루지]] || || 2019-20 || [[CFR 1907 클루지]] || || 2020-21 || [[CFR 1907 클루지]] || || 2021-22 || [[CFR 1907 클루지]] || || 2022-23 || [[FCV 파룰 콘스탄차]] || == 구단별 우승 횟수 == || 구단 || 우승 || || [[FCSB]][* 이 중에서 20회는 [[CSA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와 공유] || 26회 || || [[FC 디나모 부쿠레슈티]] || 18회 || || [[CFR 1907 클루지]] || 8회 || || 베누스 부쿠레슈티 || 7회 || || [[FC UTA 아라드]] || 6회 || || ''키네줄 티미쇼아라'' || 6회 || || [[CS 우니베르시타테아 크라이오바]] || 4회 || || [[FC 페트롤룰 플로이에슈티]] || 4회 || || 리펜시아 티미쇼아라 || 4회 || || [[FC 라피드 부쿠레슈티]] || 3회 || || [[FC 아르제슈 피테슈티]] || 2회 || || ''콜렌티나 부쿠레슈티'' || 2회 || || ''올림피아 부쿠레슈티'' || 2회 || || ''우니레아 트리콜로 부쿠레슈티'' || 1회 || || CA 오라데아 || 1회 || || ''프라호바 플로이에슈티'' || 1회 || || ''유나이티드 플로이에슈티'' || 1회 || || 콜체아 브라쇼프 || 1회 || || CSM 레시차 || 1회 || || ''우니레아 우르지체니'' || 1회 || || [[FC 아스트라 지우르지우]] || 1회 || || ''로마노-아메리카나 부쿠레슈티'' || 1회 || || [[ASC 오첼룰 갈라치]] || 1회 || || ''[[FC 비토룰 콘스탄차]]'' || 1회 || || [[FCV 파룰 콘스탄차]] || 1회 || * ''기울어져 있는 구단''은 해체한 구단 == 참고 == * 쿠파 로므니에이 * 수페르쿠파 로므니에이 * 쿠파 리기 [[분류:리가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