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등장인물|{{{#ffffff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등장인물}}}]]'''[br]'''{{{#fff {{{+1 리더}}}[br]Leader}}}''' || ||<-2><#fff,#191919>{{{#!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Samuel_Sterns.jpg|width=100%]]}}} || || '''본명''' ||새뮤얼 스턴스[br]Samuel Sterns || || '''이명''' ||미스터 블루[br]Mr.Blue[br]'''[[리더(마블 코믹스)|리더[br]Leader]][* 아직 이 배역으로 출연한 작품은 없으며 개봉 예정인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에서 출연할 예정이다.]'''|| || '''종족''' ||[[인간(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인간]] {{{-2 (강화인간)}}} || || '''국적''' ||[[미국]] || || '''성별''' ||[[남성]] || || '''소속''' ||그레이번 대학교 {{{-2 (이전)}}} 서펀트 소사이어티 || || '''직책''' ||그레이번 대학교 세포생물학 교수 {{{-2 (이전)}}} || || '''등장 영화''' ||〈[[인크레더블 헐크]]〉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 || '''등장 게임''' ||〈인크레더블 헐크〉 || || '''등장 코믹스''' ||《어벤져스 서막: 퓨리의 숨가쁜 일주일》 || || '''담당 배우''' ||[[팀 블레이크 넬슨]] || || '''더빙판 성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곽윤상]][* 까메오로 등장하는 토니 스타크도 맡아서 [[행크 핌(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행크 핌]]과 동일 성우다.]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모리카와 토시유키]] {{{-2 (인크레더블 헐크)}}}[* 중복의 제왕답게 이 세계관에서는 [[욘-로그]], [[저스틴 해머(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저스틴 해머]], [[에버렛 로스]]를 모두 맡고 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리더(마블 코믹스)|리더]]. == 작중 행적 == [include(틀:스포일러)] === [[인크레더블 헐크]] === 초반에 [[브루스 배너(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배너 박사]]의 협력자로 나온 '미스터 블루'가 바로 스턴스다. 설정이 변경되어서 [[학자]]로 등장. 그러나 배너와 의견 차이가 생기고 그가 잡혀간 후에는 힘을 요구하는 [[에밀 블론스키(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블론스키]]를 [[어보미네이션(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어보미네이션]]으로 만들었다. 이후 [[어보미네이션(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어보미네이션]]에게 밀쳐져 쓰러지면서 머리에 상처가 났는데 그 상처에 배너 박사의 혈액이 떨어진다. 결국 머리가 커지며 변이가 일어나는 모습을 보이며,[* 본인의 변이를 느끼며 씨익 웃는다.] 차후 [[리더(마블 코믹스)|빌런]]으로 복귀할 것임이 암시된다. === 퓨리의 숨가쁜 일주일 코믹스 === 이후 [[블랙 위도우(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블랙 위도우]]가 발견하고 [[S.H.I.E.L.D.(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쉴드]]에게 회수된다. 그리고 프로젝트 MR.BLUE가 진행된다고 한다. ===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 === [include(틀: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빌런)] 인크레더블 헐크 당시 머리가 커지며 변이가 일어나는 모습을 보였었는데, 무려 '''16년''' 만에 [[메인 빌런]]으로 스크린에 복귀할 예정이다. == 기타 == * 10년이 넘도록 MR.BLUE 프로젝트 근황은 커녕 본인의 출연과 언급도 없었다. 그러나 [[로스 장군]]과 [[어보미네이션(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어보미네이션]]이 다른 영화에서 오랜만에 출연했기 때문에 이쪽도 배우 변경이 없는 한 재등장할 가능성이 존재했다.[* 때문에 한때 〈[[썬더볼츠(영화)|썬더볼츠]]〉의 메인 빌런으로 등장한다는 루머가 있었다.] 그러던 중 헐크 관련 영화의 빌런이 아닌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의 메인 빌런으로 확정되었다.''' 무려 '''16년'''만에 리더로 복귀하는 것이다.[* 이 캐릭터마저 재출연이 확정되면서 이제 인크레더블 헐크 이후 실사 작품에서 재출연하지 못한 캐릭터는 [[베티 로스(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베티 로스]](실사 작품이 아닌 〈[[왓 이프...?]]〉에서 출연한 적이 있으나 기존의 배우 [[리브 타일러]]가 아닌 성우 [[스테파니 파니셀로]]가 배역을 맡았다.)와 [[레너드 샘슨(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레너드 샘슨]] 정도만 남았으나, 이후 2023년 3월에 리브 타일러가 베티 로스 역으로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에 출연한다는 보도가 이어지면서 최종적으로는 닥 샘슨만이 남게 되었다.] * 뜬금없이 리더가 캡틴 아메리카 영화의 빌런으로 나오지만 아예 연관성이 없는 건 아니다. 여러 차례 미국 정부를 압박하기도 했고,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선 캡틴 아메리카 같은 슈퍼 솔져 관련 혈청을 만든 걸로 각색되었으며, 외적으로는 원래 이 역할을 하려던 썬더볼트 로스 장군[* 〈[[팔콘과 윈터 솔져]]〉에서도 암시된다.]의 [[윌리엄 허트|배우]]의 별세로 떡밥만 있었던 리더로 바꾼 것으로 보인다. * [[로난(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로난]][* 원작에서의 주 적은 [[판타스틱 포]]나 [[노바(마블 코믹스)|노바]] 등이다. 다만 가모라와 적대관계였던 적은 있다.], [[에고(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고 더 리빙 플래닛]][* 원작에서의 주 적은 [[판타스틱 포]], [[토르(마블 코믹스)|토르]] 등이다.], [[고스트(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고스트]][* 본래 적은 아이언맨. 다만 원작에선 스타크 인더스트리의 직원이였던 스콧과도 충돌한 적이 있다.], [[어둠의 드웰러]][* 본래 적은 [[닥터 스트레인지]]. 정확히는 샹치 영화 스토리를 따온 아이언맨 드래곤 시드 사가에서 핀 팽 품이 해당 역할을 했는데 인종차별 문제로 이름을 쓸 수 없어서 닥터 스트레인지 빌런인 드웰러 인 다크니스를 가져다 쓴 것이다.], [[웬우]][* 웬우라는 이름은 새로 창작된 것이고, 만다린의 원작에서의 주적은 [[아이언맨]]이다. 다만 시크릿 워즈에서는 본인이 샹치의 아버지로 나와서 관련없는건 아니다.]에 이은, [[헐크|원래 얽히는 히어로]]가 아닌 다른 히어로의 솔로 영화에서 메인 빌런이 된 케이스다. * 다른 악역들과 마찬가지로 [[리더(마블 코믹스)|빌런 이름]]이 불리지 않았다. 다만 등장한 빈도가 너무 적다는 점 또한 감안해야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리더(마블 코믹스), version=2, paragraph=2)] [[분류: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등장인물|리더]][[분류:인크레더블 헐크/등장인물|리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