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금지 제한]]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 [목차] [include(틀:유희왕/러시 듀얼 금지제한/역대 목록)] == 개요 == 2023년 4월부터 적용되는 [[유희왕 러시 듀얼]]의 리미트 레귤레이션 개정 변경 리스트. 2023년 3월 19일 21시에 공개되었다. == 변경점 == == 금제 이후 == === 전망 === === 총평 === 이전 금제 이후로 환경을 석권한 [[엑스큐티]]를 저격하는 형태의 금제가 이루어졌다. [[엑스큐티 릴리우스]]와 [[엑스큐티 스크램블!]]의 경우 엑스큐티의 고화력을 담당하던 카드들로 사실상 디메리트 없는 2500의 어태커로 필드를 치우고, 치워지면 스크램블로 다시 살려서 공격하는 형태의 플레이가 상당히 강력해서 해당 플레이를 막기 위한 제한으로 추정된다. [[업화의 결계상 #s-2.2|업화의 결계상]]의 경우 메인 페이즈2가 없는 러시 환경상 너무 강력한 위력을 보여주고 있고, 엑스큐티는 먼저 세워둔 뒤 본인은 결계상을 어드밴스 소재로 치운뒤 전개하는 등의 게임을 너무 일방적으로 가지고 올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어서 제한으로 간것으로 추정된다. 결계상의 경우 23년 1월 금제 이전에 이미 오더게이트에서 미러전 대비용으로도 사용하는 등 상당히 사용 빈도가 높은 카드이긴 했었다. [[프로그레스 폿터]]와 [[초밥천사 드래곤롤]]의 경우 폿터 루프를 막기위해 적용된 금제로 추정된다. 폿터의 경우 본인 자신의 효과로 드로우 하는 효과를 위해서 준제한이 적용된 것으로 추정되고, 만약 묘지의 폿터의 수를 참조하는 효과가 아니었으면 바로 제한을 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마법돌의 채굴(유희왕 러시 듀얼)|마법돌의 채굴]]의 경우 이전 23년 1월 룰 변경으로 덱에 레전드 카드를 몬스터/마법/함정을 1장씩 넣을 수 있다보니 마법돌의 채굴로 마법 레전드를 상당히 돌려 쓸 수 있는 상황이 있었고, 당시 채용 하던 덱들도 오더게이트를 제외하면 1~2장 정도 였지만, 향후 카드들을 고려해서 인지 제한으로 올라가게 된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의 환경적으로는 금제 직후에는 엑스큐티의 1강 체제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이미 엑스큐티는 릴리우스뿐만 아닌 [[엑스큐티 플라메|플라메]]를 이미 받은 상황인지라 어태커는 부족하지 않았고, 오히려 순간 화력은 이전과 큰 차이가 없었었다. 금제 직후에 [[VS팩 맥시멈 포스]]가 나오면서 [[심연해룡 어비스 크라켄]]등의 해룡맥시멈등이 등장했지만, 맥시멈 특유의 말림등에 의해서 엑스큐티 1강 체제를 확실히 흔들기는 힘든 상황이었다. 그러나 [[그랜드 익스트림]]을 이용한 상급 해룡족의 특수소환 및 묘지견제, [[어비스(유희왕 러시 듀얼) #s-2.1.4|어비스슬레이어 아프사라스]]와 맥시멈 L 파츠들의 단독 성능을 이용한 아프사라스L덱의 가능성은 남아있었다. 이와 별개로 [[딥씨 헌터]]와 [[연체룡 오우무가이라스]]의 콤보를 준비한 사이드로 엑스큐티의 저격이 존재하는 상황이었다. [[섬광의 오블리비언]]의 발매를 기점으로 엑스큐티는 완전히 내리막을 걷기 시작했었다. 우선 직접적으로 저격을 위해 등장한 [[매드레어 아쿠에라]]와 [[라이스테라스 크라이시스]]로 인해서 거의 움직이는게 불가능한 수준으로 타격을 받았다. 묘지에서 퓨전 소재를 덱으로 돌려 퓨전을 하는[[세븐즈 원더 퓨전]]이 나옴으로서 효과들은 강력하지만 소재들이 까다로웠던 [[세븐즈로드 매지션]]을 소재로하는 퓨전 몬스터들이 꺼내기가 쉬워졌고, 소재를 필드에 꺼내기 힘들어서 사용하기도 힘들었던 [[마도 용기사-세븐즈기아스]]조차 투입되는 상황이 나왔었다. 일단 소재를 묻어두면 언제든 퓨전 몬스터를 꺼낼 수 있게 되고, 퓨전 몬스터들의 레벨이 9인 관계로 엑스큐티는 거의 힘을 쓰지 못하는 상황이 되어 버렸다. 해룡의 경우 그랜드 익스트림을 이용해 원더 퓨전의 소재를 돌리는 것으로 퓨전을 방해하고 [[풀그라스 스피어스]]라는 고성능 어태커를 받긴 했지만, 원더 퓨전의 발동 성공 난이도, 그랜드 익스트림으로 소재를 돌려도 덤핑하는것으로 원더 퓨전의 발동각을 만들어 버리기 때문에 패 상황에 따라서는 해룡이 큰 위력을 발휘하지는 못했었다. 그래도 원더 퓨전을 방해할 수 있는 성능과 착지 이후의 고성능 맥시멈의 힘을 믿고, 해룡 맥시멈덱은 환경에 안착하였다. 사이버의 경우 [[사이버(유희왕 러시 듀얼) #s-2.9|사이버 프로세서]]를 받음으로서 전개의 안정성, 퓨전의 난이도가 낮아짐으로서 전반적인 안정성이 높아진 상황이 되었다. 일본의 환경은 섬광의 오블리비언의 발매 전후로 환경이 격변하여 원더 퓨전, 해룡, 사이버의 3파전이었지만, 얼마 안 돼서는 거의 원더 퓨전 원탑의 환경으로 안착되었다. 국내의 경우 발매풀의 차이 문제로 사실상 엑스큐티 1탑의 환경이 지속적으로 이루어 졌고, 해당 기간 동안 스텔라컵이 진행되었다. 해당 기간의 절반 쯤이었던 서울 홀 대회 직전에 [[레전드 각성 팩]]이 발매 되었지만, [[F·G·D(유희왕 러시 듀얼)|F·G·D]]기반의 드래곤 덱은 거의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전체적인 입상은 거의 엑스큐티가 차지하였다. 스탤라컵 최종전에서도 엑스큐티의 비중이 상당히 높았다. 특히나 국내는 [[오버러시 팩]] 직후로 신규 유입들이 많아졌던 상황이고, 스텔라컵에서는 미러 매치가 상당히 지겨운 엑스큐티 환경이 오랫동안 지속되다보니 오히려 해당 유입 유저들조차 엑스큐티 환경에 질려서 나가 떨어지는 경우도 발생 했었다. == 목록 == === 제한 카드 === ||'''{{{#fff 종류}}}'''||'''{{{#fff 유희왕 러시 듀얼}}}'''||'''{{{#fff 변경점}}}'''|| ||효과 몬스터||[[엑스큐티 릴리우스]]||{{{#red 무제한→제한(2023년 4월)}}}|| ||효과 몬스터||[[업화의 결계상]]||{{{#red 무제한→제한(2023년 4월)}}}|| ||효과 몬스터||[[초밥천사 드래곤롤]]||{{{#red 무제한→제한(2023년 4월)}}}|| ||일반 마법||[[엑스큐티 스크램블!]]||{{{#red 무제한→제한(2023년 4월)}}}|| ||일반 마법||[[마법돌의 채굴(유희왕 러시 듀얼)|마법돌의 채굴]]||{{{#red 무제한→제한(2023년 4월)}}}|| ||효과 몬스터||[[네크메이드 나나]]|| || ||효과 몬스터||[[화뢰신 썬더볼드]]|| || ||일반 마법||[[시크릿오더]]|| || === 준제한 카드 === ||
'''{{{#fff 종류}}}'''||'''{{{#fff 유희왕 러시 듀얼}}}'''||'''{{{#fff 변경점}}}'''|| ||효과 몬스터||[[프로그레스 폿터]]||{{{#red 무제한→준제한(2023년 4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