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속공 마법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액셀 싱크로 소환)]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062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리미트오버 드라이브, 일어판 명칭=リミットオーバー・ドライブ, 영어판 명칭=Limit Overdrive, 효과외1="리미트오버 드라이브"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싱크로 몬스터의 튜너 1장과 튜너 이외의 싱크로 몬스터 1장을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 2장의 레벨의 합계와 같은 레벨의 싱크로 몬스터 1장을\,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상대 턴에 싱크로 소환하는 [[액셀 싱크로 소환]] 능력을 구현했고, 싱크로 덱의 엑스트라 덱 부담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다만 필드 코스트가 상당히 애매하다. 싱크로 튜너와 싱크로 몬스터가 필드에 있으면 그냥 자기 턴에 싱크로 소환하고 말지, 굳이 이 카드로 액셀 싱크로를 재현할 필요가 없다. 여기에 더해 '''싱크로 소환 취급이 아니므로''' [[소생 제한 룰]]에 걸려서 부활할 수도 없으며, 싱크로 소환시에만 발동되는 싱크로 몬스터들의 효과를 못 쓰게 된다. 그렇다고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 용도로 쓰거나 배틀 페이즈 추격의 용도로 쓰기엔 너무 부담이 크며, 상대 메인 페이즈엔 액셀 싱크로 소환이 구현된 싱크로 튜너가 우위를 먹으며, 배틀 페이즈 도중엔 [[긴급동조]]가 보통 우위를 먹는다. 그러나 소생 제한 룰과 상관 없는[* 애초에 소생이 불가능한] [[슈팅 퀘이사 드래곤]]이나 [[성광신룡 스타더스트 쉬프르]], [[TG 할 버드 캐논]], [[레드 데몬즈 드래곤 타이란트]], [[성태룡]], [[코즈믹 블레이저 드래곤]] 같은 경우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일단 슈팅 퀘이사, 쉬프르, 코즈믹 블레이저와 TG 할 버드 캐논은 그 특성상 정규 싱크로 소환하려면 싱크로 몬스터가 3장 필요하나, 이 카드를 쓰면 그 제약을 뚫고 싱크로 몬스터와 싱크로 튜너 1장씩만으로 소환할 수 있으므로 소환 코스트가 가벼워진다. 물론 레벨을 맞춰야 하니 의미 없어 보일 수도 있지만, 같이 발매된 [[액셀 싱크론]]의 효과를 쓰면 액셀 싱크론의 레벨을 7로 올리고 레벨 5 몬스터가 있는 상황에서 이 카드를 발동하면 레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저 카드들 중 특히 호궁합인 것은 '''코즈믹 블레이저 드래곤'''. 코즈믹 블레이저의 경우 스타더스트 드래곤, 슈팅 퀘이사 드래곤처럼 퍼미션 효과를 위해 릴리스/제외 후 다른 효과를 발동하여 다시 특수 소환하는 것이 아닌, '''엔드 페이즈까지 제외'''하는 것이 조건이므로 효과를 사용 후 안정적으로 필드로 돌아올 수 있다. 여기에 소재 몬스터를 '''코스트'''로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리게 되므로 [[신의 경고]] 같은 카드가 아닌 이상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와 동시에 이뤄지는 리미트 오버 액셀 싱크로를 막기 어려워졌다. 또한 소재를 묘지로 보내지 않고 덱으로 되돌려 싱크로 소환하는 건 전반적인 게임 지속력에 있어서 플러스다. 다만 이러면 슈팅 퀘이사 드래곤의 싱크로 소재 정보가 없으므로 연속 공격은 불가능하다. 그래도 [[달의 서]] 등으로 소재 정보가 삭제된 정규 소환 퀘이사도 기본 공격을 할 수 있으므로, 당연히 이 카드로 소환되어 처음부터 소재 정보가 없는 상태라도 기본 공격이 가능하다. 또한 강력한 무효화 효과와 필드를 벗어났을 때 엑스트라 덱에서 [[슈팅 스타 드래곤]]을 특수 소환하는 효과는 쓸 수 있으므로 소환 코스트가 가벼워짐을 고려하면 감수할 만한 디메리트이며, 이 디메리트도 감당하기 싫다면 그냥 [[코즈믹 블레이저 드래곤]]을 소환하면 끝이다. 카드 3장으로 간단하게 요격불능의 카드를 꺼낼수 있어 주가가 잠깐 올랐던 적도 있다. 그렇다고 꼭 저들만을 싱크로 소환해야 하는 건 아니고, 퀘이사에서 눈을 돌려 보면 소재 제한을 건너뛰고 특수 소환하기에 소재가 갖추기 어려웠던 [[세이비어 데먼 드래곤]] 같은 강력한 한방이나, 광역 몬스터 효과 무효화를 시전하는 [[극신황 토르]] 같은 경우도 생각해 볼 순 있다. 튜너와 비튜너를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만 특수 소환 가능한 [[얼티마야 촐킨]]과 [[궁극환신 얼티메틀 비시바르킨]]도 레벨 12를 맞추기만 하면 이 카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https://blog.naver.com/xezenan/220233807237|재정]] 참고. 일러스트는 [[후도 유세이]]가 슈팅 퀘이사 드래곤을 리미트 오버 액셀 싱크로 소환하는 장면.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싱크론 익스트림]]- || SD28-KR025 || [[노멀]] [[패러렐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싱크론 익스트림|シンクロン・エクストリーム]]- || SD28-JP025 || [[노멀]] [[패러렐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싱크론 익스트림|Synchron Extreme]] || SDSE-EN025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분류:유희왕/OCG/속공 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