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external/i4.liverpoolecho.co.uk/JS64953986.jpg]] || || 성공회의 리버풀 대성당(사진 상단부 가운데)과 가톨릭의 리버풀 대성당(사진 하단부 가운데) || [목차] == 개요 == [[이탈리아]] [[피렌체]]에 있는 [[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 대성당]]을 [[피렌체 대성당]]이라고 부르거나 [[밀라노]]에 있는 산타 마리아 나센테 대성당을 [[밀라노 대성당]]이라고 부르는 것처럼, 보통의 대성당은 정식 명칭 이외에 해당 건물이 위치한 도시명을 따서 지칭하기도 한다. 그러나 [[영국]] [[리버풀]] 시내에는 [[성공회]]와 [[가톨릭]]의 주교좌([[카테드랄|cathedral]])가 설치된 [[대성당]]이 각각 존재한다. 그러므로 이 문서에서는 '리버풀 대성당'으로 불리는 각각의 성당을 항목별로 나누어 서술한다. == 리버풀 대성당(성공회) == || '''[[성공회 리버풀교구|{{{#fff {{{#!html 성공회 리버풀교구의 주교좌}}}}}}]]''' '''{{{+3 {{{#!html 리버풀 그리스도 대성당}}}}}}'''[br]'''{{{#!html Ecclesia Cathedralis Christi in Liverpool | Cathedral Church of Christ in Liverpool }}}''' || |||| '''기본 정보''' || ||위치 ||[[영국]] [[리버풀]] || ||종교 ||[[성공회]] || ||교구 ||[[성공회 리버풀교구|리버풀교구]] || ||지위 ||주교좌성당(Cathedral) || ||홈페이지 ||[[http://www.liverpoolcathedral.org.uk/|공식 홈페이지]] || |||| '''건축 정보''' || ||축성 ||[[1978년]] [[10월 25일]] || ||건축가 ||자일스 길버트 스콧 || ||양식 ||[[고딕]] 리바이벌 || ||착공 ||[[1904년]] [[7월 19일]] || ||완공 ||[[1978년]] [[10월 25일]] || |||| '''건축 내역''' || ||길이 ||188.7m || ||신랑 높이||36.5m || ||종탑 높이 ||100.8m || [[파일:external/www.liverpoolexpress.co.uk/Anglican-Cathedral-e1349099305418-770x390.jpg|width=600]] 정식 명칭은 '''리버풀 그리스도 대성당(Cathedral Church of Christ in Liverpool)'''이다. [clearfix] === 배경 === 1880년 새로 설정된 [[성공회 리버풀교구|리버풀교구]]의 초대 교구장 주교로 존 찰스 라일(John Charles Ryle, 1816-1900) 주교가 승좌하였는데, 그는 라일 주교는 자신의 교구에 주교좌를 설치할 제대로 된 성당이 없음을 안타까워했다. 그리하여 1885년 설계안을 공모한 결과 윌리엄 에머슨(William Emerson, 1843-1924)의 설계가 당선되었지만, 설계대로 건축을 진행하기에는 공사 부지가 적합하지 않음이 판명나 계획은 중단되었다. 그렇게 15년이 지난 [[1900년]], 라일 주교의 후임 교구장으로 승좌한 프랜시스 제임스 채바스(Francis James Chavasse, 1846-1928) 주교는 곧바로 주교좌 성당 건설 계획을 재개했다. 일부에서는 굳이 장엄한 대성당이 필요하느냐면서 성당 신축에 반대했지만 채바스 주교는 아랑곳하지 않고 부지를 물색하는 한편 공사기금을 마련하고자 자금을 조달했다. === 설계 === [[1903년]] 채바스 주교는 대성당의 설계안을 공모했는데, 공모전에서 당선된 사람은 당시 나이 22세였던 자일스 길버트 스콧(Sir Giles Gilbert Scott OM, 1880-1960)이었다. 스콧을 당선자로 선택한 사람은 스콧의 할아버지 조지 길버트 스콧 경(Sir George Gilbert Scott, 1811-1878)의 제자였던 조지 프레더릭 보들리(George Frederick Bodley, 1827-1907)이었다. 고딕 리바이벌 양식 [[건축가]]로 활동했던 보들리는 성당 위원회의 방침에 따라 스콧과 함께 작업했으나 [[1907년]] [[10월 21일]] 80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이에 성당 위원회는 스콧에게 설계에 관한 전권을 부여했다. === 공사 === [[1904년]] [[7월 19일]], [[에드워드 7세]]가 정초식을 거행하면서 공사가 시작되었다. 초기 설계안에서는 서쪽 현관에 종탑 2기를 세우고 교차랑 하나를 두었지만, 보들리가 사망한 후 [[1909년]] 스콧은 설계를 바꾸어 중앙에 종탑을 세우고 교차랑 2개를 측면에 두었다. 설계를 급작스레 바꾸었으나 [[1910년]] 성당 위원회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같은 해, 성모 마리아 경당(The Lady Chapel)이 가장 먼저 완성되어 [[6월 29일]] [[축성]]되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제1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 인력 수급 및 자재 조달 등 공사에 지장이 있었다. [[1960년]] [[2월 8일]], 스콧 경이 79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 완성 === [[1978년]] [[10월 25일]], [[엘리자베스 2세]]가 참석한 가운데 성당 낙성을 축하하는 행사가 거행되었다. 설계자 스콧 경이 세상을 떠난 지 18년 후였다. 대성당의 길이는 약 189 m로, 전 세계의 주교좌 성당 중 길이가 가장 길다. == 리버풀 대성당(가톨릭) == ||||
'''기본 정보''' || ||위치 ||[[영국]] [[리버풀]] || ||종교 ||[[가톨릭]] || ||홈페이지 ||[[http://www.liverpoolmetrocathedral.org.uk/|공식 홈페이지]] || |||| '''건축 정보''' || ||축성 ||[[1967년]] [[5월 14일]] || ||건축가 ||에드워드 웰비 퍼긴[br]에드윈 러티언스[br]에이드리언 길버트 스콧[br]프레더릭 기버드 || ||양식 ||[[모더니즘]] || ||착공 ||[[1962년]] [[10월]] || ||완공 ||[[1967년]] [[5월 14일]] || |||| '''건축 내역''' || ||높이||84.86m || ||지름 ||59.43m || [[파일:external/acetrust.org/liverpool_metropolitan_cathedral.jpg|width=600]] 정식 명칭은 '''그리스도 왕 관구 대성당(Metropolitan Cathedral of Christ the King)'''이다. === 퍼긴의 설계 === === 러티언스의 설계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odel_of_Lutyens'_design_for_the_Liverpool_Metropolitan_Cathedral_3.jpg|width=505]] || [[파일:external/www.liverpoolmuseums.org.uk/lutyens_high_altar.jpg|width=340]] || || 러티언스의 설계도에 따라 제작한 목조 모형 || 모형의 내부 || 성공회의 리버풀 대성당이 건설될 무렵, 가톨릭 [[리버풀]] [[교구]] [[대주교]] 리처드 다우니(Richard Downey, 1881–1953)는 같은 시기 성공회가 짓는 성당보다 더 장엄한 성당을 건축하길 바랐다. 당시 리버풀에는 열렬한 가톨릭 국가인 [[아일랜드]] 출신 이민자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는데, 다우니 대주교는 대다수가 가난한 아일랜드 출신 신자들에게 영국에서 가장 거대한 성당을 선사하고자 했다. 다우니 대주교는 건축가 에드윈 러티언스 경(Sir Edwin Landseer Lutyens, 1869–1944)[* [[뉴델리]]의 대통령궁과 인디아 게이트 등이 이 사람의 작품이다. 뉴델리 주요 관공서의 대부분을 담당했기 때문에 지금도 뉴델리의 관공서 지역은 러티언스의 델리(Lutyens' Dehli)라고 부른다.]에게 설계를 의뢰했고, 러티언스는 다우니 대주교의 소망에 어긋나지 않는 도면을 작성했다. [[갈색]] [[벽돌]]과 [[회색]] [[화강암]]을 쌓아올려 육중한 벽체를 구성했는데, 크리스토퍼 렌 경을 높게 평가한 러티언스는 [[세인트 폴 대성당]]의 [[돔]]에 바탕을 둔 돔을 성당 중앙부에 얹었다. 돔의 지름은 51 m로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당]] 돔의 지름 42 m보다 9 m나 더 컸고, 성당의 전체 높이는 155 m로 성 베드로 대성당보다 약 20 m 가까이 더 높았다. 전체적인 건축 양식은 [[로마]], [[비잔티움]], [[로마네스크]], [[르네상스]], [[영국]] [[바로크]]를 융합시킨 전례 없는 시도의 결과물이었다. 워낙 거대한 규모이고 공사 부지도 언덕 위에 있었기 때문에, 설계대로 완성되었다면 ~~다우니 대주교가 바란대로~~ 가톨릭의 리버풀 대성당이 성공회의 리버풀 대성당을 압도했을 것이다. ||
[[파일:external/i0.wp.com/7-How-the-Cathedral-would-look-today.jpg|width=750]] || || 러티언스의 설계도대로 완성되었을 때의 상상도 || [[1933년]] [[6월 3일]], 정초식이 거행되면서 러티언스의 설계도에 따라 공사가 시작되었다. 공사 비용은 리버풀의 노동계층 가톨릭 신자들이 낸 [[헌금]]으로 충당했다. 대성당의 지하 성당은 어느 정도 완성되었으나 [[1941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건축이 중단되었다. 종전 후 공사가 다시 진행되었으나 [[1944년]] 러티언스가 세상을 떠난 데다가 300만 파운드로 예상했던 공사 비용이 9배에 달하는 2700만 파운드까지 치솟으면서 러티언스의 원안을 유지하기가 불가능해졌다. === 스콧의 설계 === === 기버드의 설계 === [[분류:가톨릭 성당]][[분류:성공회 성당]][[분류:성공회 리버풀교구]][[분류:주교좌성당]][[분류:높이 100m 이상의 마천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