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문서가 존재하는 V1엔진 아이템 카트바디)] [include(틀:인펙터 계열)] {{{}}} [목차] || [[파일:리벤저 V1 설명.png]] || || 카트바디 설명 || || [[파일:리벤저 V1 트랜스폼.gif]] || || 트랜스폼 || [[파일:어벤저 리벤저 시상.jpg]] > '''반격은 리벤저 V1의 힘의 원천!''' == 개요 == [youtube(xScl-71qpbQ)] 1월 20일에 [[어벤저 V1]]과 함께 출시된 V1 엔진 첫 레전드 아이템 카트바디. 한국에서는 캐시 빙고 폐지로 인해 시간의 상점으로 출시되었다. == 국가별 획득 경로 == === 한국 === || '''카트 명칭''' ||<(>리벤저 V1 || || '''획득 방법''' ||<(> PC방 프리미엄 혜택, '''전설의 카트 박스''' || 시간의 상점 골드 슬롯으로 출시되었다. 대부분은 [[어벤저 V1]]을 노리는 과정에서 리벤저 V1 꿀패가 떠서 덤으로 챙겨가게 되는 카트바디로, 같이 나온 어벤저 V1이 [[시간의 상점]]으로 출시되어 온갖 욕을 다 먹으면서[* 출시 당시 성능 자체에는 문제가 없었으나 출시 방식 때문에 욕을 들어먹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어벤저 V1/비판 및 논란]] 문서 참고.] 상대적으로 비판을 덜 받은 카트바디이다. 리벤저는 당장 [[히드라 X]]라는 대체재가 있는데다가 스피드 카트바디에 비해 재보급 주기가 상대적으로 짧고 아이템전은 JIU 엔진 카트바디([[암흑 골머리 9]], [[크리스마스 캔디 9]])가 아직도 현역으로 뛰고 있고, 심지어 뉴 엔진 카트바디도 가끔씩 보일 정도로 세대 교체가 느리기 때문이다. 어벤저 V1에 비하면 체감상 꿀패 확률이 훨씬 높았다. 7월 21일 패치로 메이플 테마가 추가되면서 PC방 프리미엄 혜택이 리뉴얼되면서 PC방에서 탈 수 있게 되었다. 18주년 선물 상자에서 '''18대 한정 수량'''으로 등장했다. 8월 31일까지이며 시간은 오후 9시. 근데 문제는 수량이 너무 적은 탓인지 또 매크로 돌리는 사람들이 수두룩해서인지 '''단 1초만에''' 매진되는 어이없는 광경이 벌어졌었다. 2022년 1월 19일 업데이트로 행운의 업그레이드 기어 1등급 보상으로 복각되었다가 2월 2일 패치로 다시 단종되었다. 같이 출시되었던 어벤저 V1도 마찬가지. 2023년 2월 16일 패치로 전설의 카트 박스가 추가되면서 구성품[* 구성품은 [[어벤저 V1]], [[스펙터 V1]], [[흑기사 V1]], [[백기사 V1]], '''리벤저 V1''', [[골머리 V1]], [[웨이브 V1]].]에 들어가게 되었다. 일일 퀘스트만 해도 1개씩은 얻을 수 있으니 이번 기회에 얻어보고 섭종 전까지 마음껏 타보자. === 중국 === || '''카트 명칭''' ||<(>光明裁決者 V1 (광명재결자 V1) || || '''획득 방법''' ||<(> 행운의 브로디 보석 || 행운의 빙고 최종 보상인 [[어벤저 V1]]과 달리, 빙고 보석을 사용하다보면 일정 확률로 무제한이 등장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 대만 === || '''카트 명칭''' ||<(>報復者 V1 (보구자 V1)|| || '''획득 방법''' ||<(> || == 성능 및 기능 == ||<-4> '''성능 수치''' || || {{{#000,#fff '''서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6]] ||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6]] || [[파일:대만 국기.svg|height=16]] || || '''드리프트''' ||<-3> 1015 || || '''가속력''' ||<-3> 1024 || || '''코너링''' ||<-3> 1015 || || '''부스터 시간''' ||<-3> 910 || || '''부스터 충전량''' ||<-3> 300 || ||<-4> '''주행 물리''' || || '''안정성''' ||<-3> 상 || || '''접지력''' ||<-3> 중 || || '''몸싸움''' ||<-3> 하 || || '''무게중심''' ||<-3> 앞 || * '''{{{#6495ED [물파리]}}}를 {{{#228B22 [독성 물파리]}}}로 변경''' * '''{{{#00008B [물폭탄]}}}을 {{{#006400 [독성 물폭탄]}}}으로 변경''' * '''[물폭탄/물파리] 재빨리 탈출''' * '''아이템 슬롯 3개 (아이템전)''' * [물폭탄/물파리] 탈출 시 순간 부스터 가능 * 스타트 부스터 강화 (아이템전) * 배틀/챔스에서 필살기 슬롯 2개 * S 타입 익시드 장착 == 강점 == [[파일:독성 물폭탄 획득.png|width=70%]] [[파일:카트라이더 독성 물파리 사용.1.jpg|width=40%]] [[파일:카트라이더 독성 물파리 사용.2.jpg|width=40%]] [[히드라 X]]의 기능을 그대로 이식해 왔기에, V1 최초로 '''독성 물폭탄'''을 사용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독성 물파리와 시너지를 일으키게 되면 재빨리 탈출 카트를 완벽히 카운터 칠 수 있으며 탈출 후 순간부스터도 사용할 수 없다.[* V1 아이템 카트들은 '''물폭탄/물파리 계열''' 이므로 탈출 후 순간 부스터를 사용할 수 있다.] 독성 계열 아이템은 갇혀 있는 시간은 일반 물파리와 물폭탄과 동일하지만[* 그렇더라도 재탈이 적용되지 않는데다 X엔진 이하라면 순부까지 발동하지 않아 일반 물폭탄과 물파리보다 회복이 훨씬 느리므로, 더 오래 잡아두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아이템 슬롯이 잠겨 아이템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는 점을 장점으로 내세운다.[* 얼음 계열 아이템과 비교할 경우 아이템 슬롯 잠금 기능은 없지만 재탈과 순부가 적용되지 않는 건 물론이고, 정지 시간이 압도적으로 길어서 발을 오래 묶는데는 제일 좋은 성능을 보이기 때문에 굳이 따지자면 상호호환이지 상위호환이라고 보긴 어렵다.] 게다가 독성 물파리/물폭탄은 특수 물파리/물폭탄으로 취급되어 물파리/물폭탄 방어 펫으로 방어가 불가능하다. 현재 미사일 방어 펫의 너프로 인해 아이템 유저 대부분이 높은 확률 물파리 방어 펫 혹은 물폭탄 방어 펫을 착용하는 추세다. 따라서 독성 계열 아이템은 고유 효과인 템잠금 기능을 빼고 본다 해도, 펫의 방어 기능을 씹는다는 것만으로도 사기성을 드러낸다. 만약 상대나 상대팀에 리벤저가 많다면 물파리/물폭탄 방어 펫은 무용지물이 되므로 차라리 대마왕 방어나 미사일 방어 펫을 끼는 게 좋다. 특수 부스터는 없지만, 드리프트 탈출력이 좋고 익시드가 있기 때문에 부스터 사용에 어느 정도 메리트를 가져간다. 완만한 코너에서 익시드와 함께 [[톡톡이]]를 사용하여 코너 감속을 씹고 선두주자에게 바짝 붙을 수 있다. 히드라와 비교해 감속과 접지력이 개선되었다. 스피드 카트인 어벤저보다 조금 더 안 좋은 정도. 더군다나 히드라와 달리 특수 물폭탄과 특수 물파리에 피격당해도 순간부스터 사용이 가능하기에 이점에 있어선 훨씬 우위를 점한다. 최근 공방에 얼음 물파리([[웨이브 X]], [[케라우노스 V1]])와 독성 물파리([[히드라 X]], [[도깨비불 V1]])를 사용하는 카트바디들이 많이 보이는 특성상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장점이다. == 약점 == 물폭탄 [[팀킬]] 발생 시 다른 카트바디에 비해 데미지가 큰 슬롯 잠금이라 팀전에서 함부로 사용할 수 없다. 결국 [[크리스마스 캔디 9]]나 [[웨이브 X]], [[히드라 X]]처럼 물거리를 잘 재야 하며 물거리를 잘 잴 자신이 없다면 전방에 팀이 없을 때만 사용하거나, 얼음폭탄을 쓸 때처럼 천사를 같이 사용하거나, 그조차도 자신이 없다면 이 카트를 사용하는 걸 포기해야 할 정도로 아이템 초보 유저들이 함부로 쓸 수 있는 카트바디는 아니다. 때문에 2022년 4월 28일 마술 모자 이벤트로 처음 등장한 [[골머리 V1]]으로 옮겨갈 것으로 보인다. 리벤저에 비해 팀킬 걱정이 없어 초보 유저들이 무난하게 사용 가능한 카트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개인전으로 가자니 8명 모두 리벤저 V1을 탑승하고 플레이한다면 그야말로 총체적 난국, 난장판이 벌어진다(...)[* 8명 모두 리벤저를 타게 되면 재빨리 탈출 옵션은 그림의 떡인 무용지물일 뿐이다. 하지만 공방에선 8인이 모두 히드라 + 리벤저를 타는 경우는 거의 보기 힘들어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 탑승 선수 == || [[넥슨 2022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2]] 기준 || * DFI BLADES: 유창현(SPEED ACE) * KWANGDONG FREECS: 이은택(ITEM ACE) * Liiv SANDBOX: 김승태(HYBRID) * Sinkhole: 권순우(ITEM ACE) * FINALE e-sports: * APEX: 석주엽(ITEM ACE) * Savage: * WISH: 윤태웅(ITEM ACE) 어벤저 V1은 스피드전 밸런스 붕괴 문제로 탑승 카트에서 제외되었지만, 반면 이 카트는 히드라 X가 빠지고 리그 탑승 카트바디에 지정되었다. == 여담 == * 레전드 등급 아이템 카트바디지만 '''익시드를 충전량 30%부터 발동할 수 있다.''' 다만 아이템전에서는 그립주행이 대부분이라 익시드가 빨리 차고, 익시드 게이지를 끝까지 모아놨다가 발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라 치명적인 단점까지는 아니다. 또한 자동 변신도 일반 등급처럼 160km/h 이상이 되어야 발동된다. * V1 레어급 아이템 카트바디는 레어 핸들만 덜렁 달고 나왔는데 이번 카트바디는 그래도 레전드 등급이라고 파츠를 전부 레어급으로 올려줬으며, 레전드 핸들을 장착했다. 부스터를 제외하고 모두 1000을 넘겼다는 점이 볼 만한 점. 현재는 V1 레어 파츠조차도 보급이 더디게 되고 있는 만큼 혹시 다량의 리벤저 V1을 얻을 수 있다면 쏠쏠하게 레어 파츠를 수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이번에도 역시 부스터 도중에는 익시드가 차지 않는다. 그래도 부스터가 910으로 무난한 편이기에 아예 스피드전에서 활용 시도조차도 불가능한 다른 아이템 V1에 비하면 그나마 스피드전에서 탑승할 여지는 있다. * 첫 레전드 등급 아이템 카트바디로써 재빨리 탈출 기능이 들어갔는데, 2022년 4월 28일 이전까지는 [[루루 V1]]과 [[엘레강스 루루 V1]]에 이어 재빨리 탈출 기능을 보유한 셋 뿐인 V1 아이템 카트바디였다. X 엔진 때부터 러너보다는 디펜스 메타로 가면서 운영진들도 재탈 기능을 경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후 2022년 4월 28일 마술 모자 이벤트로 출시한 '''[[골머리 V1]]''' 역시 골머리의 특성(재탈+황미+사이렌)을 반영하여 재빨리 탈출이 들어가 있다. == 관련 문서 == * [[어벤저 V1]] * [[히드라 X]] [[분류: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분류:2022년 출시된 카트바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