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이란의 대외관계)] [include(틀:리비아의 대외관계)] || [[파일:리비아 국기.svg|width=100%]] || [[파일:이란 국기.svg|width=100%]] || || [[리비아|{{{#fff '''리비아'''}}}]] || [[이란|{{{#fff '''이란'''}}}]] || [목차] == 개요 == [[이란]], [[리비아]]의 대외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 역사적 관계 == === 고대 === 고대 [[아케메네스 페르시아]], [[사산 왕조 페르시아]]는 리비아 북동부 일부를 점령한 적이 있었다. === 현대 === ==== 20세기 ==== 본격적인 관계는 1960년대 [[리비아 왕국]]과 이란 [[팔레비 왕조]]와의 관계부터 시작되었다. 다만 [[무아마르 카다피]]가 집권한 이후 긴장과 갈등이 있기도 했는데, 친서방과 친미 중심의 팔레비 왕조와는 달리 카다피는 반서방, 반미 중심의 정책을 펼쳤기 때문이었다. 1979년 [[이란 혁명]] 이후 이란 역시 반서방, 반미 중심의 정책을 펼치면서 이란은 카다피 통치 시기 리비아의 지원을 받기도 했었다. 다만 시아파 중심의 이란과는 달리 리비아는 수니파가 다수를 차지했던 국가였던데다 세속주의적 정책으로 서로 거리를 두기도 했다. ==== 21세기 ==== 2001년 이후 미국은 당시 미국, 서방 국가들과 외교적으로 갈등이 컸던 나라들을 [[악의 축]]이라며 비난을 했는데 이란과 리비아도 여기에 포함되기도 했었다. 2002년 4월, 이란과 리비아는 이라크의 석유수출 중단 조치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152099?sid=104|#]] 2011년 리비아에서 반정부 시위, 봉기가 일어나자 이란은 처음에 카다피를 비판하지 않았다가 나중에 카다피를 비판하면서 리비아 과도정부를 인정하여 훗날 새로운 정부와 수교를 맺었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제2차 리비아 내전]] 때는 리비아 서부 지역 정권을 지원하기도 했었다. == 교통 교류 == 두 나라들을 잇는 항공 노선이 없다 보니 [[튀르키예]]를 경유해서 지나간다. == 관련 문서 == * [[이란/외교]] * [[리비아/외교]] * [[이슬람 협력기구]] * [[이란/역사]] * [[리비아/역사]] * [[이란/경제]] * [[리비아#경제|리비아/경제]] * [[이란인]] / [[마그레브 아랍인]] * [[이슬람교]] / [[쉬아파]] / [[순니파]]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서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프리카 국가/북아프리카 국가]] [[분류:이란의 대국관계]][[분류:리비아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분류:나무위키 아프리카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