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포켓몬스터: 리코와 로드의 모험)] [include(틀: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주인공)] ||<-3> '''{{{#white '''{{{+1 리코}}}'''[br]''' リコ | Liko'''}}}''' || ||<-3> [[파일:리코(포켓몬스터 2023).jpg|width=80%]] || || {{{#white ''' 인물 유형'''}}} ||<-2> [[주연]], [[주인공]] || || {{{#white ''' 성별'''}}} ||<-2> 여성 || || {{{#white ''' 트레이너 계급'''}}} ||<-2> [[포켓몬 트레이너]] || || {{{#white ''' 눈 색깔'''}}} ||<-2> 하늘색 || || {{{#white '''머리 색깔'''}}} ||<-2> 검은색, 파란색[* 바깥쪽은 검은색, 안쪽은 파란색인 [[시크릿 투톤]]이다.] || || {{{#white '''지방'''}}} ||<-2> [[팔데아지방]] || || {{{#white '''출신지'''}}} ||<-2> [[티스푼마을]] || || {{{#white '''가족'''}}} ||<-2> 알렉스^^父^^, 루카^^母^^, 다이애나^^祖母^^[* 리코에게 펜던트를 준 당사자이다.] || ||<|3> {{{#white '''성우'''}}} || [[스즈키 미노리]][* 전작 W 87화에서 글레이시아와 같이 있던 레지나를 맡았던 성우이다.]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 [[알레한드라 레이노소]]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dNlMvJ-S4ts4HfQLzSbka5zqeamaD2hJ2JyYNticQYwc2sqzqU4ZEQBPddM17lQgpYi6LHTiWYOJBH5YoAOsNBlbIINiTxKdoYQ.png|width=100%]]}}} || || '''{{{#WHITE 프로필}}}[[포켓몬스터: 리코와 로드의 모험|{{{#WHITE (2023)}}}]]''' || >'''내딛지 않으면, 찾아낼 수 없어.''' >'''(踏み出さなきゃ、見つからない。)''' [[포켓몬스터: 리코와 로드의 모험]]의 여주인공. 초대 주인공인 [[한지우]] 이후 '''26년 만에 등장한 새로운 2대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의 주인공들 중의 하나'''다.[* 공식적으론 더블 주인공이지만 예고편과 포스터에서 로드보다 리코가 좀 더 부각되는 것으로 보아 아마도 리코가 메인 주인공이고 로드는 서브 주인공일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초반 이야기는 리코를 메인으로 진행된다.] [[팔데아지방]] 출신의 트레이너로 특별한 펜던트를 지니고 있다. 1인칭은 와타시(私). == 특징 == 내성적이고 소극적인 성격의 소유자[* 전작의 한지우와는 정반대.]로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는 것에 익숙하지 않은 편이다. 타인과 친해지고자 하는 의지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실제로 안 같이 붙임성 좋은 친구가 먼저 살갑게 다가오자 금방 친해지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자신의 행동이 끼칠 결과에 대한 걱정이 많은 나머지 결단력이 부족해 앞으로 내딛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자신도 모르는 또 다른 자신을 찾기 위해[* 이것과 관련한 언급으로, 리코는 주변 사람들에게 자신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모르겠다는 얘기를 자주 들었다고 한다.] 관동지방의 석영학원에 입학하게 된다. 다만 3화에서부터 [[라이징 볼트태클즈]]와 여행을 시작하게 되면서 수업은 필요할 때 [[온라인 학습|온라인으로 듣는다.]]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등장인물답게 1화부터 건물 위에서 추락하거나[* 다만 첫번째는 잠만보 위로 떨어져서 사고는 나지 않았고 두번째는 프리드박사의 리자몽에 의해 구조된다.] 건물 건너편으로 뛰어내리는 등 지우와 마찬가지로 무모하지만 결단력 있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한 포켓몬을 매우 좋아하는 점도 지우와의 공통점이다. 새로운 포켓몬을 만날 때마다 깊은 관심을 보이며, 포켓몬들이 곤경에 처하면 그들을 진심으로 걱정한다. 첫 스타팅 포켓몬을 만날 때나 라이징 볼트태클즈의 포켓몬들을 보고 두근거리기도 하고 자신 때문에 관련 없는 포켓몬들이 휘말린 것에 미안함을 느끼며 그들을 구하기 위해 싸우거나 나오하가 자신의 말을 듣지 않아도 천천히 다가가며 친해지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인다. 배틀 경험은 초보자라서 당연히 적은 편이지만 질의 코뿌리가 레벨 차가 너무 커서 정면 승부로는 쓰러트릴 수 없다고 판단해[* 상성적으론 나오하가 그것도 풀 4배로 유리하지만 리코는 스타팅 포켓몬을 받은지 얼마 안된 시점이라 실질적인 레벨 차는 매우 클 것이다. 게임에서 코뿌리의 진화 레벨은 42이고 스타팅으로 받는 포켓몬은 무조건 레벨 5 고정이기 때문.] 나뭇잎으로 시야를 가리며 빠져나가거나 나뭇잎을 [[리프스톰]]급의 큰 규모로 날려 화력을 높이는 등 배틀 감각 자체는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었다. 5화에서는 아무 도움 없이 코니아의 골덕을 일대일로 승리하는 등 이제 겨우 트레이너가 된 초보임에도 상당한 재능을 보여며 앞으로가 기대되는 트레이너라고 할 수 있다. 다만 경험의 부족으로 인해 처음에는 그저 기술의 위력에만 의존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7화에서 배틀 훈련을 할 때 프리드박사의 피카츄(캡)가 그림자분신을 통해 눈속임을 하자 진짜 캡의 움직임을 간파하여 전법을 내는 등 관찰력과 상황 판단력이 두드러지는 모습을 보였다. === 성격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찐따 리코.gif|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여주인공 리코.gif|width=100%]]}}} || >전에도 무슨 생각을 하는지 모르겠다는 말을 들었지. >잠깐만, 이런 전개... 펜던트를 둘러싸고 휘둘려지다니... [[제4의 벽|'''제가... 이야기 속의 히로인인가요?!''']] >어? 잠깐 기다려봐 뭐지, 이 전개는 대체?[* 뜨아거를 만나러 왔다는 로드의 말을 끝까지 듣지 않아서 자신에게 고백한다고 착각했다. 이후 로드가 뜨아거 이야기를 꺼내자 오해가 풀렸다.] 기본적인 성격은 짐을 운반하는 알통몬에게도 존댓말을 사용할 정도로 예의 바르지만 소심하다. 옆에서 열매를 먹던 꼬렛에게 시비가 걸릴 수준.[* [[파일:꼬렛한테 시비털리는 리코.gif|width=100%]]] 더불어 자신이 무엇을 하고 싶은지 자기 자신도 모르기 때문에 항상 혼자 속으로 고민해서 독백 비중이 높으며 독백을 할 때 존댓말을 한다는 특징이 있다. 다만 이런 소심한 성격은 나오하와 여행을 하면서 조금씩 극복하고 있으나 여전히 소극적이고 혼자 고민하는 부분이 두드러진다. 다만 이런 독백이나 소심함이 리코의 캐릭터성이기 때문에 주로 리코의 매력을 부각시키는 장치로 사용되며 오히려 개성적이고 귀엽다는 평을 받고있다.[* 이야기 속 히로인 대사나 로드에게 고백받는단 착각 모두 독백으로 이루어졌다.]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주역들이 모두 그렇듯 포켓몬도 매우 좋아한다. 펜던트를 물려준 할머니의 조언 그대로 포켓몬과 함께하면 괜찮다는 마음가짐을 가지고 있으며 뜨아거가 야생 포켓몬의 열매를 모두 먹어치운 걸 걱정해 직접 따 모아서 화해하기도 했고 배의 포켓몬들이 다치는 걸 걱정해 아메지오에게 순순히 끌려가기도 했다. 리코가 관동지방에 온 이유는 자신이 알지 못하는 것을 알기 위해서였고 라이징 볼테커즈와 모험을 떠난 이유도 펜던트와 자신이 노려지는 이유를 알고 싶기 때문이기에 좀 더 주체적이고 궁금한 걸 스스로 해결하는 모습을 보여줄 것으로 예상된다. 리코가 지닌 펜던트의 비밀을 밝히는 것과 리코의 소심함에 변화가 찾아오는 것이 이 작품 스토리의 큰 줄기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본격적으로 여행을 결심한 이후로는 소중한 이들을 지키기 위해 포켓몬 배틀을 배우거나 자신을 걱정하는 아버지에게 당당히 여행을 하고 싶다는 포부를 말하는 등 점차적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 펜던트 === || [[파일:20230403_170718.jpg|width=100%]] || || 리코의 펜던트 설정화 || 리코의 키 아이템은 할머니에게 받은 펜던트로[* 석영학교에 입학한다고 결심한 리코에게 부적의 의미로 할머니에게 펜던트를 받았다.] [[테라파고스]]의 등껍질이나 테라스탈오브의 결정체를 연상시키는 디자인을 하고 있으며 밑부분은 [[오거폰]]의 가면 이마 가운데에 있는 수리검 모양 보석 부분을 연상시킨다. 이 펜던트가 지닌 비밀을 풀기 위해 여행하는 것이 스토리의 중심이고, [[익스플로러즈]]가 이를 노리고 있다. 리코가 위험한 상황에 빠졌을 때 펜던트가 테라스탈 텍스쳐로 된 방어막으로 변하며 [[테라파고스]][* 다만 게임에서 공개된 모습과는 달리 훨씬 더 작고 등껍질에 문양이 없다. 추가 공개된 정보에서 해당 모습은 진화 전 모습이 아닌 테라파고스의 노멀폼으로 드러났다.]가 나타났다. 아메지오는 펜던트의 비밀에 리코가 관계되어있을 거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실제로 리코가 위험할 때 테라파고스가 모습을 드러낸 것을 보면 리코도 모르는 비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4화에서 로드가 가진 고대 몬스터볼이 빛을 내자 공명하듯이 빛을 내었고 6화에선 리코의 펜던트와 로드의 몬스터볼이 동시에 빛을 내더니 로드의 몬스터볼이 열려 검은 [[레쿠쟈]]가 등장했다. 12화에서는 갑자기 빛을 내더니 테라파고스의 새끼가 다시 등장하여[* 지금까지와는 달리 이번에는 실체를 드러내는 식이다.] 리코와 로드를 어느 공간에 소환했고 고대의 모험가인 [[루시아스(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루시아스]]가 무언가를 찾아달라고 부탁한다. 여전히 정체는 불명이지만 고대의 모험가와 관련된 것임은 확실해졌다. == [[/작중 행적|작중 행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리코(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작중 행적)] == 소유 포켓몬 == ||<-6> '''{{{#white 리코의 포켓몬}}}''' || || [[파일:icon0906_f00_s0.png|width=40]] || [[파일:external/dic.nicovideo.jp/244815.png]] || [[파일:external/dic.nicovideo.jp/244815.png]] || [[파일:external/dic.nicovideo.jp/244815.png]] || [[파일:external/dic.nicovideo.jp/244815.png]] || [[파일:external/dic.nicovideo.jp/244815.png]] || ||<#66a945> [[나오하|{{{#white 나오하}}}]] || || || || || || 일단 현재는 포획 포켓몬이 아직 없는 상태. 전작의 지우는 각 시리즈에서 10화가 지나기 전에 포켓몬을 포획 한 것을 생각하면 리코는 상당히 스타트가 늦은 편에 속한다. 17화에서 나오하 이외의 포켓몬은 생각해본적 없었다곤 하지만 마지막엔 로드와 뜨아거, 찌리비를 보며 두번째 포켓몬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그리고 선 공개된 줄거리와 차회 예고편을 봤을때 높은 확률로 [[몸지브림]]을 포획할것으로 예상된다. === [[나오하]] === [[파일:[YE]_Pocket_Monsters_(2023)_-_001+002_(TVO_1280x720_x265_10bit_AAC).mkv_000832353.png]] 리코의 첫 포켓몬으로 석영학원에서 받게 된다. 성우는 [[하야시바라 메구미]][* 전작에서 [[로사(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로사]]를 맡았으며, [[이상해씨]], [[주리비안]], [[나몰빼미(한지우)|나몰빼미]]에 이어 주인공의 풀타입 스타팅 포켓몬을 맡게 되었다. [[한지우]]-[[피카츄(한지우)|피카츄]] 시리즈의 원년 멤버들 중에서는 [[오오타니 이쿠에]]와 함께 유이하게 후속작에서도 비중있는 역할로 출연하게 됐다.] / / [[키라 버클랜드]]. 리코는 나오하와 친해지고 싶어하나 나오하는 제멋대로인 성격으로 인해 리코의 지시를 잘 따르지 않는다. 처음 만났을 땐 리코의 곁을 떠나 고양이형 포켓몬 답게 높은 곳에 자유자재로 올라다니는 모습을 보였지만 리코가 나오하를 관찰하며[* 나오하가 좋아하는 장소들을 태블릿 지도에 표시해두기도 했다.] 친해지려고 노력하고 어느새 마음을 열어 둘도 없는 친구가 된다. 리코가 자신의 진정한 마음을 깨닫고 싸우도록 북돋아주는 등 소극적인 리코가 나아가도록 이끌어주는 역할도 맡고 있다. 고양이를 모티브로 한 포켓몬답게 도도하면서도 [[마이페이스]]인 고양이 특유의 성격을 잘 보여주는 편.[* 리코가 나오하를 껴안아 들자 앞발로 정확히는 육구가 있는 부위로 리코의 눈을 밟아버리는 일명 냥냥 펀치를 날리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또한 꾹꾹이나 스크래칭, 낮잠을 많이 자는 등 고양이의 행동들을 반영했다. [[식빵자세]]도 자주한다.] 마이페이스력이 워낙 강해서 익스플로러즈에 납치당한 상황 속에서도 코니아가 준 음식을 먹으며 잘 지내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그래도 리코와의 우정을 잊은건 아니라서 리코와 재회하고 난 후 코니아가 다시 접근하려 하자 냅다 차버렸고 이후 5화에서 다시 마주쳤을 때는 적대하는 태도를 보였다.] 그래도 포켓몬과는 친화력이 좋은지 처음 보는 라이징 볼테커즈나 섬의 포켓몬들과도 잘 어울리는 모습을 보인다. 익스플로러즈로부터 탈출하는 과정에서 기술을 써서 헤쳐나간 과정은 여러 차례 있었지만 배틀을 해서 승리한 건 5화에서 코니아의 [[골덕]]을 상대로 이긴 것이 최초이다. 이후 15화에서 엑스트라 트레이너의 보송송을 상대로 승리한다.[* 다만 제대로 된 배틀이 아니라 전광석화로 빠르게 움직여 트레이너와 보송송을 어지럽게 만들어서 이겼다.] 풀 타입임에도 물을 싫어하는지 1화에서 수댕이의 물대포를 맞고 그대로 뻗어버렸고, 8화에서 리코가 청소하던 중 몸에 물이 닿자 깜짝 놀란다. 물을 싫어하는 고양이의 성격을 반영한 듯. 여담으로 애니메이션의 여성 주역 캐릭터가 풀타입 [[스타팅 포켓몬]]을 파트너로 가지는 것은 리코가 최초다. 기존에 풀타입 스타팅은 주로 지우가 소지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상해씨(한지우)|이상해씨]], [[한지우/포켓몬/오리지널#s-3.2|베이리프]], [[나무킹(한지우)|나무킹]], [[토대부기(한지우)|토대부기]], [[주리비얀(한지우)|주리비얀]], [[나몰빼미(한지우)|나몰빼미]] 등. 사실상 6, 8세대(X·Y, 소드·실드)를 제외하면 풀타입 스타팅은 지우의 전담이었다.] 그가 아니더라도 시트론의 [[도치마론]]이나 고우의 [[흥나숭]] 등 남성 주역이 소지하였다. 봄이가 호연지방에서 [[이상해씨]][* 추후 DP 재등장 시 [[이상해꽃]]으로 진화해있음이 드러났다.], 관동지방에서 [[꼬부기]]를 소유하긴 했으나 파트너 포켓몬은 어디까지나 불꽃타입 스타팅인 [[아차모]](現 번치코)다. 다만 주역 캐릭터의 성별로만 보자면 그렇지만 지금까지 여성 주역 캐릭터는 지우의 친구 및 히로인인 경우가 많았지만, 이번작의 리코는 기존의 지우와 같은 메인 주인공 포지션이라는 차이가 있다. 기술배치 - [[나뭇잎(포켓몬스터)|나뭇잎]][* 게임 상에서는 흔한 스타팅 기술에 불과하지만 리코의 나오하는 대량의 나뭇잎을 소환하여 상대의 시야를 가려버리거나 나뭇잎 자체를 거대화시켜 화력을 높인다.~~이모습이 지우의피카츄의 100만볼트와 닮았다~~] / [[할퀴기]] / [[전광석화]]. 특성은 심록. == 여담 == ||[[파일:20230210_203858.jpg|width=100%]] ||[[파일:포켓몬리코와로이설정화23년3월.jpg|width=100%]] || * 캐릭터 디자인은 로드와 마찬가지로 [[스기모리 켄]]이 했다. * 캐릭터 생김새가 로드와 함께 굉장히 귀엽게 잘 뽑혔다는 반응이 많다. 설정화에 따르면 뒷머리의 뾰족하게 삐져나온 부분은 [[바보털|감정에 따라 움직이는 듯하다.]] * 생김새 및 디자인이 [[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의 [[니카 나나우라]]와 비슷하다는 의견이 있다. 마침 같은 주인공 포지션인 [[로드(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로드]]도 수성의 마녀에 나오는 [[구엘 제타크]]와 닮았다는 평이 많다. * 디자인 공개 후 머리핀이 지우의 무인편 시절 모자의 L자 로고와 비슷해서 지우와 연관이 있는 인물이 아니냐는 추측이 있었으나 본편이 방영되고 나서도 전작과의 연계점은 드러나지 않아 가능성은 상당히 낮아졌으며 9화에서 명백히 지우가 아닌 인물이 아버지로 나오면서[* 이름은 '''알렉스(アレックス)'''로 [[팔데아지방]] 출신의 화가이다.] 무관한 인물임이 확정되었다. 지우의 모자는 어디까지나 리그 공인 상품이라 지우만의 독자적인 모자는 아니며, 리코의 머리핀은 단순히 애니메이션 주인공 계승의 오마주 요소일 가능성이 높다. * 포켓몬스터 애니 역사상 최초로 [[투톤헤어]]인 주인공이다. 게임 주인공과 애니 여성 주역을 포함해도 최초이다. * [[포켓몬스터W]]의 주역들과 마찬가지로 [[스마트로토무]]를 소지하고 있는데, 디자인은 9세대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스칼렛/바이올렛]]의 사양이다. 게임과 마찬가지로 [[포켓몬 도감]]의 역할도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같은 형태지만 태블릿 같은 사이즈로 변하기도 한다. * 2화에선 펜던트를 통해 [[테라파고스]]와 만났고, 6화에서 이로치 [[레쿠쟈]]와도 만나면서 초기부터 2마리의 전설의 포켓몬과 인연이 생겼다. * 줄곧 팔데아지방에서 살아와서 다른 지방에 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한다. 부모님은 과거 리코처럼 석영 학원에 다녔으며 다른 친구들이 본가로 돌아갈 때 리코는 부모님이 바쁘다며 본가로 돌아가지 않은 것으로 보아 부모님은 일로 매우 바쁜 듯하다. 팔데아편에서 아버지는 화가임이 밝혀졌고 어머니는 학교의 교사다. * 일기를 쓸 때나 나오하를 관찰할 때 태블릿으로 그림을 그리는 모습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그림을 그리는 것이 특기인 듯하다. 추후 아버지가 화가임이 밝혀지면서 리코의 그림 실력은 아버지의 영향인 것으로 드러났다. * 포켓몬 주인공들 중 2화부터 눈물을 보이면서 가장 빠르게 눈물을 보였다. 사실 리코가 눈물을 흘린 1, 2화 분위기 자체부터가 어두운 편이고 '''단 2화만에''' 죽을 위기를 연속적으로 겪었다. 전작 주인공인 [[한지우|지우]]도 죽을 뻔한 적이 상당히 많았고 실제로 죽었다 살아난 경우도 있었으나, 지우는 평범한 생활을 지루해하고 매사에 모험심이 강한데다 작중에서 위기에 부딪치는 일에도 긍정적인 사고를 통해 극복하는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시청자들이 받는 정신적 충격이 덜하다. 무엇보다 지우는 트레이너로써의 경험을 쌓고 싶어하였기 때문에 모험을 했고 지우의 모험은 모험의 즐거움과 자연의 아름다움이 강조되었다. 그러나 리코는 단지 자신을 납치하려는 적들로부터 '''살아남기 위한''' 목적이며 리코는 지우와 달리 성격이 소극적이고 겁이 많아서 작중 일어나는 위험에 대한 공포와 절망감이 강조되는 상황이 많다. 게다가 지우와 달리 신체능력이 딸리며[* 지우가 너무 초인인지라 비교되는 것도 크다. 45kg이 넘는 히포포타스나 72kg의 애버라스 정도는 가볍게 들고 다니며 '''999.9kg'''의 코스모움도 어렵지 않게 드는 괴력의 소유자에 포켓몬 구하겠다고 마스터타워에서 뛰어내리는 등 지우의 전적이 워낙 화려하기 때문. 물론 어디까지나 '''지우에 비해서 딸린다는 거고''' 현실에서의 또래 여자 아이들과 비교하면 리코의 운동 신경도 굉장히 높다.] 지우를 쫓아다니는 [[로켓단 삼인방]]이 어딘가 부족한 모습을 보이는 개그성이 강하고 [[피카츄(한지우)|피카츄]]만이 목적인 것과 달리 앞으로 리코를 추격할 익스플로러즈는 개그성 따윈 전무한 수준이고 포켓몬 배틀 실력과 기술력도 훨씬 뛰어난데다, 리코가 빼앗긴 [[나오하]]를 되찾기 위해 펜던트를 주는 거래를 하려고 했지만 [[아메시오]]가 거절하며 [[납치|리코까지도 데려가려고 했다.]] * [[로드(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로드]]와 달리 이전 애니메이션에서 주역과 겹치는 이름이 아닌데다[* 로드의 경우, 원판 이름이 로이인데, 로켓단의 로이와 이름이 겹치게 된다.] 아이리스나 세레나, 릴리에, 마오처럼 서구권 국가에도 흔히 있을법한 이름이어서 그런지 더빙에서는 로컬라이징 없이 원판 이름 그대로 유지되었다. [각주] [[분류:포켓몬스터: 리코와 로드의 모험/등장인물]][[분류:라이징 볼트태클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