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Ricky Starks.jpg|width=100%]] || || '''{{{+5 {{{#ffffff RICKY}}}''' '''{{{#FF7F00 '''STARKS'''}}} }}}''' || [목차] == 프로필 == ||<-2>
{{{#!wiki style="margin: -5.3px -6px" [br][[파일:리키스탁스프로필.png|height=400]]}}} || ||<-2> [[올 엘리트 레슬링|{{{#9e862d '''AEW'''}}}]] || || '''링네임''' || '''Ricky Starks''' || || '''본명''' || Richard Starks || || '''별칭''' || '''Absolute''' || || '''생년월일''' || [[1990년]] [[2월 21일]] || || '''신장''' || 183cm || || '''체중''' || 88kg || || '''출생지''' || [[미국]] [[루이지아나]] [[뉴올리언스]] || || '''유형'''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브롤러|브롤러]]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쇼맨|쇼맨]] || || [[피니시 무브|{{{#9e862d '''피니시 무브'''}}}]] || '''[[스피어(프로레슬링)|스피어]]''' [br] '''[[도미네이터|로샴보]]''' || || '''주요 경력''' || NWA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 1회 [br] NWA 론 스타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ACW 하드코어 챔피언 1회 [br] ACW 텔레비시드 챔피언 1회 [br] ACW 유니파이드 챔피언 1회 [br] Dojo Pro 화이트 벨트 챔피언 1회 [br] IWR 레볼루셔너리 챔피언 1회[br] WC 빅 탑 태그팀 챔피언 1회 [br] Inspire Pro 챔피언 1회 [br] Inspire Pro 주니어 챔피언 1회 [br] Inspire Pro 프레스티지 챔피언 1회 [br] XCW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AEW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AEW 월드 태그팀 챔피언]] 1회 [br] [[FTW 헤비웨이트 챔피언십|FTW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올 엘리트 레슬링|AEW]] 다이너마이트 다이아몬드 배틀 로얄 우승 (2022) [br] AEW 남성부 오웬 하트 컵 토너먼트 우승(2023년) || || '''테마곡''' || [[https://www.youtube.com/watch?v=EnqPenndsa8|It's Live]] || == 커리어 == === 초창기 및 WWE에 단발성 출연 === 어린시절 WWE를 보고 레슬러로써 꿈을 키운 리키 스타크스는 2012년 8월 7일 스맥다운에서 [[랍 번즈]]와 같이 [[진더 마할]]을 상대로 핸디캡 매치를 가지나 패하고, 이후로는 [[NWA(프로레슬링)|NWA]]에서 활동하며 여러 단체에서 커리어를 늘리기 시작한다. WWE의 2번째 출연은 2013년에 백스테이지에서 [[라이백]]이 등장할 때 나온 엑스트라였고 거기선 테이블쪽으로 파워 밤에 당한다. 2016년 2월 3일에 방영된 NXT에 모습을 보이며, 잭 헐리와 팀을 이뤄 [[콜린 캐시디]] & [[엔조 아모레]]를 상대하나 패하고, 8월 18일에 방영된 메인이벤트에선 [[케인(프로레슬러)|케인]]에게 패하고, 2018년 1월 15일에 방영된 RAW에서 [[애런 솔로]]와 같이 팀을 이뤄 [[리바이벌(프로레슬링)|리바이벌]]을 상대하는 자버로 등장해 패한다. WWE에서 자버 및 엑스트라[* [[애덤 로즈]]의 로즈버드로도 몇차례 나온적이 있다.] 출연한것 밖엔 없지만 타단체에서는 커리어를 늘려가며 주목을 받았다. NWA에서 계약 만료로 방출된 이후로 [[AEW(프로레슬링)|AEW]]와 계약을 맺게된다. === [[올 엘리트 레슬링|AEW]] === 2020년 6월 17일에 [[코디 로즈]]의 TNT 챔피언십 매치에 도전하면서 AEW에 모습을 드러내지만 AEW 데뷔전에서 패한다. 이후로는 AEW 다크에 출연하며 승률을 꾸준히 올리고 있고, [[태즈]]와 연합을 맺어 팀 태즈의 일원으로 활동하게 된다. 이후 [[파워하우스 홉스]]와 함께 악역 미들카더로 정착했다. 사실상 2021년 4분기부터 쇼에 꼭 필요한 감초로 활동 중... 파이트 포 더 폴른 2022에서 [[훅(프로레슬러)|훅]]에게 챔피언 벨트를 뺏기고 홉스에게 공격을 받으며 대립을 예고하며 [[올 아웃 2022]]에서 경기가 확정되지만 패한다. 팀 태즈 해체 후 파워하우스 홉스와 대립하며 분열되고, 싱글로 활동하며 선역으로 전환한다. [[크리스 제리코]]와 대립이 형성되면서 [[레볼루션 2023]]에서 승리를 거둔다. 오웬 하트 컵 토너먼트에 참가하면서 [[쥬스 로빈슨]]을 꺾고 준결승전에서 파워하우스 홉스를 꺾고 결승전에서 [[CM 펑크]]와 치열하게 맞붙은 끝에 심판 몰래 로프를 잡는 반칙성 롤업으로 승리를 거둬 토너먼트에서 우승한다. 7월 22일에는 [[AEW 콜리전]]에서 [[크리스찬 케이지]]와 팀을 맺어 [[CM 펑크]] & [[다비 알린]]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는데 이번에도 반칙성 핀폴로 승리를 챙겨먹으면서 다시 악역으로 활동한다. 8월 5일에 CM 펑크와의 경기에 특별심판으로 [[리키 스팀보트]]가 맡게되면서 리키 스탁스가 패하고 경기 후 리키 스탁스는 리키 스팀보트를 공격하고는 리키 스톰보트의 허리띠를 빼서는 마구 공격하자 CM 펑크가 링안으로 들어오자 도망간다. CM 펑크 관련 문제가 다시 생기면서 CM 펑크가 AEW에서 해고되자 대립이 다른방향으로 흘러가면서 리키 스팀보트를 대신해 리키 스타크스를 상대하는 선수로 [[브라이언 대니얼슨]]이 등장해 올 아웃에서 No DQ 스트랩 매치가 확정되지만 리키 스타크스가 패한다. [[AEW 레슬드림]]에서는 [[휠러 유타]]와의 경기가 확정되면서 승리를 거둔다. 매일같이 [[빅 빌]]과 팀으로 다니는 리키 스타크스는 10월 7일 콜리전에서 [[FTR(프로레슬링)|FTR]]을 상대로 AEW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를 벌여 승리를 거둬 새로운 태그팀 챔피언에 오른다. [[풀 기어 2023]]에서 빅 빌과 같이 FTR, [[루슈(프로레슬러)|루슈]] & [[드라리스티코]], 하우스 오브 블랙([[맬러카이 블랙]] & [[브로디 킹]])을 상대로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를 벌여 승리를 거둔다. == 기타 == * [[언더테이커(프로레슬러)|언더테이커]] & [[더 락]] & [[믹 폴리|맨카인드]]의 팬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팀 태즈)] ||||||||||
<:><#000000> [[파일:pn-white-png-logo-18.png|width=100]] {{{#FFFFFF '''ESPN 어워드 선정 올해의 획기적인 레슬러'''}}} || ||<:>{{{#000000 창설}}}||<:> {{{+1 → }}} ||<:>'''{{{#000000 리키 스탁스 [br](2022)}}}'''||<:> {{{+1 → }}} ||<:>{{{#000000 미정}}}|| ||<-5>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width=200]]{{{#ffffff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5성 경기'''}}} [*★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 || || '''2023년'''[br]9월 3일 || [[올 엘리트 레슬링|AEW]][br][[AEW 올 아웃 2023|올 아웃]] || NO DQ 스트랩 매치[br]___[[브라이언 대니얼슨]]___ vs '''리키 스탁스''' || [[분류: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뉴올리언스 출신 인물]][[분류:1990년 출생]][[분류:2011년 데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