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크래프트2]]의 빌드 오더. 전투수리함 이라고 하기도 한다. [[기사도 연승전]]에서 [[5병영 사신]]과 같이 공개된 테란의 대[[프로토스]]전 전략. 어원은 [[짐 레이너]]의 [[기함]] [[히페리온(스타크래프트 시리즈)|히페리온]]과 리페어(수리)의 합성어. 개발자는 playxp의 August(스타테일어거스트, [[김샘]]). 그는 이 전략으로 playxp에서 [[전투순양함]]과 [[건설로봇]]이 같이있는 리페리온 아이콘을 선물로 받았다. 처음 보면 거의 100% 경악하게 되는 엽기적이면서도 강력한 빌드. [[1/1/1체제]]에서 빠르게 전투순양함 테크를 타고 [[전투순양함]]이 생산되자마자 건설로봇 5~10기를 붙여주고 그때까지 모아놓은 [[해병]]이나 [[불곰]], [[화염차]] 등을 이끌고 공격나가는 타이밍 러시이다. 혹은 전투순양함 바로 다음에 찍어주는 [[밤까마귀]]가 나오면 밤까마귀도 같이 데리고 간다. 리페리온 2라고 하여 다수의 해불+의료선을 대동하여 약간 느린 타이밍에 배틀을 끌고 나가는 전략도 파생되었다. 그 타이밍에 프로토스가 예측하지 못했으면 대공유닛이 추적자밖에 없는지라 계속해서 수리를 받는 전투순양함과 불곰 등에 속절없이 밀려버리게 된다. 밤까마귀와 같이 갔을 경우 국지방어기 2대를 설치하면 방어용 광자포+추적자를 몽땅 고자로 만들어 버릴 수 있으며, 파수기는 높은 방어력의 전투순양함과는 영 상성이 좋지 않아 답이 나오지 않는다. 융합로만 잘 숨겨지으면 통상의 1/1/1빌드와 전혀 구분이 가지않기 때문에 토스가 알아채기 꽤 어렵다. 대응책으로 패스트 거신으로 건설로봇 우선제거라든가 패스트 공허, 빠른 점멸추적자 난입, 패스트 고위기사 등이 있으나 이거다 싶은 확실한 타개책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 5병영 사신과는 달리 꽤 연습이 필요한 빌드. 아무 생각없이 따라하다가 토스의 1승 제물이 될 뿐이다. 저그 상대로는 안쓰인다. 자원이나 병력 중 하나를 반드시 포기해야하는데다가 발각되면 저그가 평범한 운영을 한다 해도 여유롭게 막거나 오히려 테란을 쉽게 밀어버리기 때문이다. 2010년 9월 6일, AugustWeRRa(김샘)가 [[GSL]]에서 두번 시전해서 두번 다 승리. 국내에 비해 거의 알려져 있지 않던 해외 시청자들의 반응은 경악 그 자체. [[http://www.ruliweb.com/ruliboard/read.htm?num=32308&table=guild_star|#]] 1.1패치로 전투순양함의 공대지 공격력이 10에서 8로 너프되어 위력은 처음만 못하다. 파생 [[날빌]]로 [[리페토르]]가 있으며 건설로봇의 공격 우선순위 패치가 있은후에는 완전히 묻혔다고 봐도 된다. 자매품으로 수혈울트라, 수혈무리군주가 있으며 이쪽은 점막이 깔려있다는 전제 하에 매우 강력하다. 1.3 패치에서 전투순양함의 이동속도가 1.4에서 1.8로 상향되었다. [[2013 WCS Korea Season 3, JOGUNSHOP GSL]]에서 정우용이 김성한을 상대로 저그전에서 꺼내들었으나 실패. 하지만 정찰이 안 되었으면 분명히 뚫릴 빌드였다. 참고로 두 유닛 모두 [[스타크래프트|스타 1]]에서 나왔던 유닛이라 스타 1에서도 '''쓸 수는 있다'''. 다만 [[융합로]]와 [[우주공항]]용 [[기술실]]만 달면 장땡인 스타 2와는 달리, 스타 1에서는 테크트리가 좀 더 빡빡해서(...)[* 배럭 - 팩토리 - 스타포트 - [[과학 시설|사이언스 퍼실리티]] - [[물리 연구실|피직스 랩]]. 거기다 융합로와 기술실은 동시에 세울 수 있고 병영/군수공장 기술실을 우주공항에 끼우는 꼼수도 가능하지만 사이언스 퍼실리티와 피직스 랩은 이전 테크트리 건물이 없으면 못 세운다!] 쓰는 사람이 별로 없었다. 물론 아직까지 쓰는 사람들도 간혹 있으나 '''패치로 히드라리스크의 체력과 추적자의 한방 공격력이 올라간 덕에''' 이제 진짜로 못 써먹을 전술이 되었다. 특히 쉴드 배터리의 추가로 쐐기를 박아버린 것은 덤. 2019년 기준 3차 대격변 패치로 전순이 무빙샷이 가능해지면서 [[530 전순]]이란 이름으로 부활했다. [[분류:스타크래프트 2/전략전술]][[분류:테란 빌드오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