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리플렉 비트 콜레트)] [목차] == 개요 == * [[리플렉 비트 콜레트]]의 해금요소들을 소개하는 페이지 == 리플렉 스탬프 == * [[비트매니아 IIDX 19 Lincle]] 이벤트에 사용된 1일 1스탬프 이벤트의 확장형태 이벤트 * 매일 첫 플레이 때 스탬프를 찍을 수 있고[* 다음날 0시에 바뀌지 않고, 점검 시간 후에 초기화된다.], 이 스탬프의 개수에 따라 커스터마이즈가 점차 해금되는 형태이다. 그러니깐 음식점같은데에 쿠폰 마일리지. * 스탬프로 주로 하는 것은 '''장비 강화'''(PASTEL ADVENTURE에 반영된다. 해금에 중요). '''커스터마이즈 해금'''이다. * 스탬프의 경우는 처음 3장은 5개를 찍으면 끝나지만 4번째부터는 10개를 찍어야 된다. * 매일 첫 플레이 때 찍는 스탬프 외에 '스탬프 티켓'이라고 하여 플레이 횟수나 형태에 따라 추가로 티켓을 주어 10개가 모이면 스탬프를 1개 더 찍을 수 있다. 밑에 표를 참고하도록 하자. 티켓 조건에 걸려있는 '~회'는 무조건 코인수에 비례하며, 이는 [[http://p.eagate.573.jp/|이어뮤즈먼트 게이트]]에 카드 데이터를 등록했다면 [[리플렉 비트 콜레트]] - [[프로필]]에서 확인가능하다. * 참고로 THANKS TICKET과 THANKS A LOT TICKET은 같이 받을 수 없다. 즉 *39회의 경우는 무조건 THANKS A LOT TICKET로 획득. * 리플렉 스탬프는 코나미에서 분류하는 지역설정에서 각기 다른 곳에서 스탬프를 찍을때 색상이 다르다. 국내는 전부 지역이 한국으로 통일되어 있으므로, 서울에서 찍고 부산에서 찍는다고 다른 스탬프 색상을 찍을 수 있는건 아니다. 참고로 티켓을 통해 획득한 스탬프는 흑색 도장이다. [[파일:external/p.eagate.573.jp/sche_map.png]] [br]일본 내 지역별 스탬프 색상표. 해외 지역에는 한국, 홍콩, 대만 등이 포함되는데 이쪽은 국가 단위로 일본의 일개 현과 동급이 된다. * Spring 이후부터는 Winter에서 얻었던 커스텀은 전부 인계되지만 스탬프 및 도장은 리셋된다. Winter때 획득하지 못한 커스터마이즈 아이템은 플레이어 아이콘항목에서 Winter에서 획득되는 순서대로 커스터마이즈 아이템을 획득. * 2013년 6월 2일, 누적 스탬프의 개수가 [[http://pic.twitter.com/d0Exi5kvR2|999개]]로 [[카운터 스톱]]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2> 스탬프 티켓 ||<|2> 획득 조건 || || 이름 || 스탬프 티켓 개수 || || FIRST TICKET || 8개 || [[리플렉 비트 콜레트]] 시즌별 첫 플레이시 획득, 추가 획득 불가능 || || DAILY 2 TICKET || 5개 || 하루 2회 플레이시 획득. 윈터에서는 2개 획득 || || DAILY 3 TICKET || 4개 || 하루 3회 플레이시 획득. 윈터에서는 1개 획득 || || DAILY 4 TICKET || 3개 || 스프링부터 추가, 하루 4회 플레이시 획득 || || DAILY 5 TICKET || 5개 || 하루 5회 플레이시 획득. 윈터에서는 1개 획득~~그러니 돈 잔뜩 쓰지말고 하루 5판만~~ || || DAILY 10 TICKET || 1개 || 하루 10회 플레이시 획득. || || DAILY 20 TICKET || 1개 || 하루 20회 플레이시 획득. || || THANKS TICKET[* 일본판에선 サンキュー(Thanks You)로 뜬다.] || 3개 || 플레이 횟수 뒷자리가 3,9회[* 예)13회, 29회, 33회, 159회 등]일시 획득. 윈터에서는 1개 획득, 스프링 버전으로 시작할 시 카운트는 초기화 된다. || || THANKS A LOT TICKET[* 일본판에선 ベリーサンキュー(Very Thanks You)로 뜬다.] || 10개[* 즉, 스탬프 1장이 자동으로 획득된다.] || 플레이 횟수 뒷자리가 39회일시[* 예) 39회, 139회, 239회.../ Thanks you를 [[고로아와세#s-2|일본어를 숫자형태로 읽으면]] 39로 읽을 수 있기 때문에 39회로 배정된것.] 획득. || || WELCOME TICKET || XX개 || 일정 기간(X)을 두고 플레이하는 것으로 획득.[* 윈터때는 하루면 1개, 2일이면 2개 등으로 날짜만큼 얻었으나 스프링으로 넘어오면서 날짜에다가 일부가 더 들어온다. 특별히 상한선 자체가 없기 때문에 부카드나 사정이 있어서 오랜기간 못하다 하게 되면 티켓이 93장 획득되었다는 이야기도 들려온다. 시즌 교체 후 첫 플레이 시에는 이전 시즌의 공백기간은 체크되지 않는다.] || || RUNNING TICKET || X개 || 윈터에서는 7일연속 플레이시 7일째 7장 획득, 스프링에서는 2일이상 매일 플레이시 짝수일(2,4,6일차) 2장, 홀수일(3,5,7일차) 3장 획득 || || NEW YEAR TICKET || 13개/14개 || 2013년/2014년 첫 플레이시 획득. 2013년은 13장, 2014년은 14장. 추가획득 불가능 || || COLORFUL STAMP || 10개 || 한페이지에서 스탬프 도장 색이 흑색 제외하고 각기 다른 2개이상을 찍었을때 획득.(4개까지 10장으로 보고됨.) 윈터시즌때는 흑색을 제외한 도장 색깔수(2개 이상)만큼 도장이 들어왔다. [* 스탬프의 색상은 플레이한 지역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이 미션은 거의 타 지역 원정을 갔을 경우에만 획득이 가능한 셈] || || RESERVE TICKET || 각각다름 || 바로 전 플레이에서 특정 조건[* Spring에서 추가된 '[[오더샵]]'에서 오더 완성, 콜레트 피싱의 환경보호 보너스, 콜레트 하베스트에서 티켓을 주운 경우]을 만족해 티켓을 받아야 되는 경우에 출현. 즉 전 플레이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 === 윈터 스탬프 획득 아이템 === ||<-2> 스탬프 ||<|2> 해금 아이템 || || 도장 개수 || 스탬프 개수 || || 2개 ||<|3> 1번째 || 장비 강화 || || 3개 ||<-2> 장비 강화 || || 5개 ||<-2> 오브젝트 샷음 "BELL" || || 7개 ||<|3> 2번째 || 스테이지 배경 "GREEN" || || 8개 ||<-2> 장비 강화 || || 10개 ||<-2> 폭발 이펙트 "SNOW" || || 12개 ||<|2> 3번째 || 장비 강화 || || 15개 ||<-2> 스테이지 프레임 "GREEN" || || 18개 ||<|4> 4번째 || 장비 강화 || || 20개 ||<-2> 오브젝트 샷음 "ELECTRO 2"[* [[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에서 Sota로 쓰였던 샷음이다.] || || 22개 ||<-2> 장비 강화 || || 25개 ||<-2> 스테이지 배경 "YELLOW" || || 27개 ||<|4> 5번째 || 장비 강화 || || 29개 ||<-2> 장비 강화 || || 33개 ||<-2> 장비 강화 || || 35개 ||<-2> 폭발 이펙트 "FIREWORKS" || || 38개 ||<|4> 6번째 || 장비 강화 || || 41개 ||<-2> 장비 강화 || || 43개 ||<-2> 장비 강화 || || 45개 ||<-2> 스테이지 프레임 "YELLOW" || || 48개 ||<|4> 7번째 || 장비 강화 || || 50개 ||<-2> 장비 강화 || || 52개 ||<-2> 장비 강화 || || 55개 ||<-2> 오브젝트 샷음 "JAPAN 2" || || 57개 ||<|5> 8번째 || 장비 강화 || || 60개 ||<-2> 장비 강화 || || 61개 ||<-2> 스테이지 배경 "BLUE" || || 63개 ||<-2> 장비 강화 || || 65개 ||<-2> 폭발 이펙트 "QUAVER" || || 67개 ||<|4> 9번째 || 장비 강화 || || 70개 ||<-2> 장비 강화 || || 73개 ||<-2> 장비 강화 || || 75개 ||<-2> 스테이지 프레임 "BLUE" || || 77개 ||<|7> 10번째 || 장비 강화 || || 79개 ||<-2> 장비 강화 || || 81개 ||<-2> 오브젝트 샷음 "VOLLEYBALL" || || 83개 ||<-2> 장비 강화 || || 85개 ||<-2> 장비 강화 || || 87개 ||<-2> 장비 강화 || || 90개 ||<-2> 스테이지 배경 "RED" || || 93개 ||<|6> 11번째 || 장비 강화 || || 95개 ||<-2> 장비 강화 || || 97개 ||<-2> 장비 강화 || || 100개 ||<-2> 장비 강화 || || 103개 ||<-2> 장비 강화 || || 105개 ||<-2> 오브젝트 샷음 "ELECTRO 3" || || 107개 ||<|6> 12번째 || 장비 강화 || || 109개 ||<-2> 장비 강화 || || 112개 ||<-2> 장비 강화 || || 115개 ||<-2> 장비 강화 || || 118개 ||<-2> 장비 강화 || || 120개 ||<-2> 스테이지 프레임 "RED" || === 스프링 스탬프 획득 아이템 === ||<-2> 스탬프 ||<|2> 해금 아이템 || || 도장 개수 || 스탬프 개수 || || 3개 ||<|2> 1번째 || 장비 강화 || || 5개 ||<-2> 아이콘 채팅 이미지 추가 || || 10개 || 2번째 || 장비 강화 || || 15개 ||<|2> 3번째 || 장비 강화 || || 20개 ||<-2> 폭발 이펙트 "FLOWER" || || 25개 ||<|2> 4번째 || 장비 강화 || || 30개 ||<-2> 플레이어 아이콘 (or 미획득 커스터마이즈) || || 37개 ||<|2> 5번째 || 장비 강화 || || 45개 ||<-2> 플레이어 아이콘 (or 미획득 커스터마이즈) || || 53개 ||<|2> 6번째 || 장비 강화 || || 60개 ||<-2> 플레이어 아이콘 (or 미획득 커스터마이즈) || || 67개 ||<|2> 7번째 || 장비 강화 || || 75개 ||<-2> 플레이어 아이콘 (or 미획득 커스터마이즈) || || 83개 ||<|2> 8번째 || 장비 강화 || || 90개 ||<-2> 플레이어 아이콘 (or 미획득 커스터마이즈) || || 97개 ||<|2> 9번째 || 장비 강화 || || 105개 ||<-2> 플레이어 아이콘 (or 미획득 커스터마이즈) || || 113개 ||<|2> 10번째 || 장비 강화 || || 120개 ||<-2> 플레이어 아이콘 (or 미획득 커스터마이즈) || || 127개 ||<|2> 11번째 || 장비 강화 || || 135개 ||<-2> 플레이어 아이콘 (or 미획득 커스터마이즈) || || 143개 ||<|2> 12번째 || 장비 강화 || || 150개 ||<-2> 플레이어 아이콘 (or 미획득 커스터마이즈) || || 157개 ||<|2> 13번째 || 장비 강화 || || 165개 ||<-2> 플레이어 아이콘 (or 미획득 커스터마이즈) || || 173개 ||<|2> 14번째 || 장비 강화 || || 180개 ||<-2> 플레이어 아이콘 (or 미획득 커스터마이즈) || || 187개 ||<|2> 15번째 || 장비 강화 || || 195개 ||<-2> 플레이어 아이콘 (or 미획득 커스터마이즈) || || 203개 ||<|2> 16번째 || 장비 강화 || || 210개 ||<-2> 장비 강화 || || 217개 ||<|2> 17번째 || 장비 강화 || || 225개 ||<-2> 플레이어 아이콘 (or 미획득 커스터마이즈) || || 233개 ||<|2> 18번째 || 장비 강화 || || 240개 ||<-2> 플레이어 아이콘 (or 미획득 커스터마이즈) || || 247개 ||<|2> 19번째 || 장비 강화 || || 255개 ||<-2> 플레이어 아이콘 (or 미획득 커스터마이즈) || || 263개 ||<|2> 20번째 || 장비 강화 || || 270개 ||<-2> 플레이어 아이콘 (or 미획득 커스터마이즈) || || 277개 ||<|2> 21번째 || 장비 강화 || || 285개 ||<-2> 플레이어 아이콘 (or 미획득 커스터마이즈) || || 293개 ||<|2> 22번째 || 플레이어 아이콘 (or 미획득 커스터마이즈) || || 300개 ||<-2> 장비 강화 || || 307개 ||<|2> 23번째 || 장비 강화 || || 315개 ||<-2> 플레이어 아이콘 (or 미획득 커스터마이즈) || === 섬머 스탬프 획득 아이템 === ||<-2> 스탬프 ||<|2> 해금 아이템 || || 도장 개수 || 스탬프 개수 || || 3개 ||<|2> 1번째 || 장비 강화 || || 5개 ||<-2> 아이콘 채팅 이미지 추가 || == 커스터마이즈 해금 == * 기본 틀은 전작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게임 시스템이 많이 추가되어 4가지 커스터마이즈로 세분화가 되었다. === GAME CUSTOMIZE === * 전작의 '스타일'에 대응되는 커스터마이즈, 게임 내 프레임/샷음/선곡BGM의 교체가 가능하다 * 발매 이후엔 잠겨져있는걸 풀 수 조차 없었지만 12월 17일 츠기도카 대응으로 BGM 나머지 4종이 공개되고, 20일 업데이트로 폭발 이펙트가 추가되었다. 결국 업데이트로 계속 커스터마이즈가 추가될 심산인듯 * Spring 업데이트 이후 종전의 기본 테마는 Winter로 변경되고 새로 Spring 테마가 기본으로 추가되었다. 이러면서 스테이지 프레임/스테이지 배경이 Spring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다른 커스터마이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커스터마이즈에서 확인이 필요하다. 획득하지 못한 스탬프 해금 커스터마이즈(폭발 이펙트 FLOWER 제외)는 스탬프 페이지 4 부터 플레이어 아이콘 대신 해금하지 못한 스탬프 해금 커스터마이즈 중 하나를 획득 할 수 있게된다. ||<-3> '''스테이지''' || ||<-3> '''오브젝트 샷 사운드''' || || 샷 사운드 || 해금 조건 || 비고 || || ELECTRO2 || 윈터 리플렉 스탬프 20개 획득 || 전작의 Sota 샷음 || || JAPAN2 || 윈터 리플렉 스탬프 55개 획득 || || || BELL || 윈터 리플렉 스탬프 5개 획득 || || || VOLLEYBALL || 윈터 리플렉 스탬프 81개 획득 || || || ELECTRO3 || 윈터 리플렉 스탬프 105개 획득 || || || [[파워프로|パワプロ]] || [[START]]를 3회 플레이 || ||<-3> '''선곡 BGM''' || || BGM 명 || 해금 조건 || 비고 || || [[Qrispy Joybox]] || [[snow prism]]을 3회 플레이 || [[http://www.youtube.com/watch?v=tpInMJyKxZc|듣기]] || || [[TAG(작곡가)|TAG]] || [[Cosmic Hurricane]]을 3회 플레이 || [[http://www.youtube.com/watch?v=jkcX_GxIg6s|듣기]] || || [[PON]] || [[紅焔]]을 3회 플레이 || [[http://www.youtube.com/watch?v=gw1HnzuhTOI|듣기]] || || [[96|2B-Waves]] || [[恋閃繚乱]]을 3회 플레이 || [[http://www.youtube.com/watch?v=qdzfSbVOReg|듣기]] || || [[L.E.D.|진홍 장미의 기사 Prim]] || [[愛は不死鳥の様に]]을 3회 플레이 || [[http://www.youtube.com/watch?v=nerYC0LqgkE|듣기]] || || [[dj TAKA|dj silverberg]] || [[December Breeze]]를 3회 플레이 || [[http://www.youtube.com/watch?v=F2o_b9tkY7E|듣기]] || || [[猫叉Master]] || [[Following Flow]]를 3회 플레이 || [[http://www.youtube.com/watch?v=WGxYxgQ3dQE|듣기]] || || [[VENUS]] || [[Wow Wow VENUS]]를 3회 플레이 || [[http://www.youtube.com/watch?v=wkkDHOnLpYA|듣기]] || || [[Qrispy Joybox|MAX MAXIMIZER]] || [[ARACHNE]]를 3회 플레이 || [[http://www.youtube.com/watch?v=jxyt64G0IoQ|듣기]] || || [[VENUS]] -[[ZEUS(음반)|ZEUS]]- || VENUS DIGITAL LIVE TOUR 2013 ZEUS에서 티켓 추첨[* 아레나, 1등석, 2등석의 3가지 티켓이 있는데, 이 BGM은 2등석 특전이고 각 티켓의 특전은 상위호환 관계가 되므로(아레나가 1등석 위) 어떤 티켓을 뽑더라도 BGM을 획득하게 된다.] || [[http://www.youtube.com/watch?v=qf2SC49FYWU|듣기]][* 추출된 음원은 아니고 디지털 라이브를 녹화한 것이다. 이 영상에서는 32초부터.] || || SPADE || CECIL SPADE 2레벨 격파 || [[http://www.youtube.com/watch?v=4JLzAp7yOHQ|듣기]] || || HEART || ROSE HEART 2레벨 격파 || [[http://www.youtube.com/watch?v=sgICiflVzWQ|듣기]] || || CLUB || FRANCIS CLUB 2레벨 격파 || [[http://www.youtube.com/watch?v=v2_JcJ1j928|듣기]] || || DIA || LILY DIA 2레벨 격파 || [[http://www.youtube.com/watch?v=WFY7CsEzgu4|듣기]] || || JOKER || JOKER 2레벨 격파 || [[http://www.youtube.com/watch?v=QGQz9AL7d9g|듣기]] || || Akhuta || [[Lapis Philosophorum]]를 3회 플레이 || [[http://www.youtube.com/watch?v=lU80mtAAa8E|듣기]] || ||<-3> '''스테이지 프레임''' || || 프레임 명 || 해금 조건 || 비고 || || GREEN || 윈터 리플렉 스탬프 15개 획득 || || || YELLOW || 윈터 리플렉 스탬프 45개 획득 || || || BLUE || 윈터 리플렉 스탬프 75개 획득 || || || RED || 윈터 리플렉 스탬프 120개 획득 || || || [[天庭]] || [[つばめ]] 3회 플레이 || || || [[IIDX]] || [[beatmania IIDX]] 3회 플레이 || [* 다른 연동이벤트들처럼 1스테이지를 폭사해도 카운트가 된다. 팝픈도 마찬가지.] || || [[팝픈뮤직|pop'n]] || [[pop'n music]] 3회 플레이 || || || [[리플렉 비트|CLASSIC]] || All Seasons 스탬프 15개 획득 || || || [[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limelight]] || All Seasons 스탬프 35개 획득 || || || SPADE || CECIL SPADE 1레벨 격파 || || || HEART || ROSE HEART 1레벨 격파 || || || CLUB || FRANCIS CLUB 1레벨 격파 || || || DIA || LILY DIA 1레벨 격파 || || || JOKER || JOKER 1레벨 격파 || || ||<-3> '''폭발 이펙트''' || || 이펙트 명 || 해금 조건 || 비고 || || SNOW || 윈터 리플렉 스탬프 10개 획득 || || || FIREWORKS || 윈터 리플렉 스탬프 35개 획득 || || || QUAVER || 리플렉 스탬프 65개 획득 || || || HEART || 90보면 플레이 || 전작의 이펙트와 동일 || || ROSE || 150보면 플레이 || 전작의 이펙트와 동일 || || [[天庭]] || [[まほろば教]] 6회 플레이 || || || [[IIDX]] || [[beatmania IIDX]]] 1회 플레이 || || || [[팝픈뮤직|pop'n]] || [[pop'n music]] 1회 플레이 || || || FLOWER || '''스프링''' 리플렉 스탬프 20개 획득 || || ||<-3> '''스테이지 배경''' || || 배경 명 || 해금 조건 || 비고 || || GREEN || 윈터 리플렉 스탬프 7개 획득 || || || YELLOW || 윈터 리플렉 스탬프 25개 획득 || || || BLUE || 윈터 리플렉 스탬프 61개 획득 || || || RED || 윈터 리플렉 스탬프 90개 획득 || || || [[天庭]] || [[まほろば教]] 3회 플레이 || [* 리플렉비트 역사상 최초의 홀드 이미지 배경. 플레이중 BPM에 따른 움직임이 없다.] || || [[리플렉 비트|CLASSIC]] || All Seasons 스탬프 15개 획득 || || || [[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limelight]] || All Seasons 스탬프 35개 획득 || || || SPADE || CECIL SPADE 1레벨 격파 || || || HEART || ROSE HEART 1레벨 격파 || || || CLUB || FRANCIS CLUB 1레벨 격파 || || || DIA || LILY DIA 1레벨 격파 || || || JOKER || JOKER 1레벨 격파 || [* [[CLAMARE]] 자켓의 일부분이다.] || ||<-3> '''오브젝트 사이즈''' || ||<-3> -3~+1까지 수치 중 변경 가능(기본 수치는 0)[br][[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에 숨겨진 기능이 정식 커스터마이즈 화 || === 아이콘 === 자기 프로필 옆쪽의 이미지를 바꾼다. 윈터시즌에선 [[파스텔군]] 기본 이미지와 산타옷 이미지, 스키옷 이미지가 기본으로 제공된다. 스프링에서도 3종의 디자인이 기본적으로 제공. 다만, 스프링 시즌으로 넘어오면서 윈터시즌 기본 3종의 아이콘은 삭제되었다. 아이콘의 해금 방법은 전작과 마찬가지로 난이도에 상관 없이 해당 곡을 특정 횟수 플레이를 해주면 된다. 구작인 [[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와 [[리플렉 비트]]의 경우는 3회, [[리플렉 비트 콜레트]]는 5회가 필요. 숫자가 여러개 있는것은 2의 배수로 곱해줘 계산해준다는것까지 완전히 동일. 특별히 해금 조건이 다른 경우(등산복을 입은 [[파스텔군]])나 아이콘에 실제 아티스트가 나오는 경우([[Survival Games]], [[Far Away]]), 해금 조건이 특이한 경우(스탬프 해금)의 경우는 항목에 조건이 명시. 커스터마이즈가 전부 해금된 경우 커스터마이즈를 획득할 수 있는 란에서 획득하지 못한 아이콘의 획득이 가능해졌다. 이것마저 전부 획득했을 경우는 그냥 공란으로 처리된다는듯. ==== [[리플렉 비트 콜레트]] ==== ===== Autumn 시즌 아이콘 ===== * [[Zirkfied]] * [[ロボット☆ライフ]] 1 - 재킷 중앙 * [[ロボット☆ライフ]] 2 - 재킷 좌측 * [[Candy Drop]] * [[RAGNAROK]] * [[双璧のVANESSA]] * [[VENUS]] - ZEUS 홍보 페이지에서 아무거나 티켓 획득 * [[파스텔군]] 하베스트복 (LV.2) - 아우텀 시즌 장비를 모두 레벨2로 업그레이드 * [[파스텔군]] 하베스트복 (LV.3) - 아우텀 시즌 장비를 모두 레벨3로 업그레이드 * [[파스텔군]] 하베스트복 (LV.4) - 아우텀 시즌 장비를 모두 레벨4로 업그레이드 * [[파스텔군]] 하베스트복 (LV.5) - 아우텀 시즌 장비를 모두 레벨5로 업그레이드 * [[파스텔군]] 하베스트복 (LV.6) - 아우텀 시즌 장비를 모두 레벨6로 업그레이드 * [[DJ YOSHITAKA]] - ZEUS 홍보 페이지에서 아리나 티켓 획득 * [[Sota Fujimori]] - ZEUS 홍보 페이지에서 1등석 혹은 아리나 티켓 획득 * [[파워프로군]] - [[START]]를 1회 플레이하면 해금 * [[야베 아키오]] - [[START]]를 2회 플레이하면 해금 * [[하야카와 아오이]], [[타치바나 미즈키]], [[로쿠도 히지리]] - [[START]]를 5회 플레이하면 해금 ===== Summer 시즌 아이콘 ===== * 미라링 - [[阿波おどり -Awaodori-]]를 5회 플레이 하면 해금 * [[恋とキングコング]] 1 - 야마가타 마리카 자켓버젼 * [[恋とキングコング]] 2 - 야마가타 마리카 홈페이지버젼 * [[とってもとっても、ありがとう。]] 1 - 카스가 사키코 자켓버젼 * [[とってもとっても、ありがとう。]] 2 - 카스가 사키코 홈페이지버젼 * [[ひなビタ♪]] - 총 5개. [[凛として咲く花の如く ~ひなビタ♪edition~]]을 2번씩 플레이때마다 해금. * [[Knell]] * [[EMPEROR OF THE AVALON]] * [[リリーゼと炎龍レーヴァテイン]] 1 (릴리제(여캐)) * [[リリーゼと炎龍レーヴァテイン]] 2 (레바틴(용)) * [[examination leave]] * [[Screaming Your Faith!!!]] * [[Legendary Dragon]] * [[ÆTHER]] * [[7 Colors]] * [[太陽の子]] * [[海神]] * [[쿠프로]]-노랑의 라피카 제 1형태 격추시 아이콘 해금 * [[미미(팝픈뮤직)]]-텐트 칸트 격추시 아이콘 해금 * [[냐미]] * [[파스텔군]]-검은 메카 파스텔군 격추시 아이콘 해금 * [[Devilz Staircase]] * [[Proof of the existence]] * [[perditus†paradisus]] * [[キャトられ❤恋はモ~モク]] * [[ZETA ~素数の世界と超越者~]] * [[コドモライブ]] * [[少年は空を辿る]] * [[シュレーディンガーの猫]] * [[파스텔군]] 낚시복 (LV.2) - 섬머 시즌 장비를 모두 레벨2로 업그레이드 * [[파스텔군]] 낚시복 (LV.3) - 섬머 시즌 장비를 모두 레벨3로 업그레이드 * [[파스텔군]] 낚시복 (LV.4) - 섬머 시즌 장비를 모두 레벨4로 업그레이드 * [[파스텔군]] 낚시복 (LV.5) - 섬머 시즌 장비를 모두 레벨5로 업그레이드 * [[파스텔군]] 낚시복 (LV.6) - 섬머 시즌 장비를 모두 레벨6로 업그레이드 ===== Spring 시즌 아이콘 ===== * [[イブの時代っ!]] 1 ([[히나비타♪#s-4.2|이즈미 이부키]] 자켓 버전) * [[イブの時代っ!]][* 곡 자체는 Winter 시즌 곡이지만 아이콘만 Spring 시즌에 추가] 2 ([[히나비타♪#s-4.2|이즈미 이부키]] 홈페이지 버전) * [[めうめうぺったんたん!!]] 1 (메우 메우 자켓 버전) * [[めうめうぺったんたん!!]] 2 (메우 메우 홈페이지 버전) * [[みんな笑った]] 1 (자켓의 오른쪽) * [[みんな笑った]] 2 (자켓의 왼쪽) * [[みんな笑った]] 3 (자켓의 중앙) * [[DJ YOSHITAKA]] 3 (자켓의 왼쪽) - [[Wow Wow VENUS]]를 5회 플레이 하면 해금 * [[Sota Fujimori]] 3 (자켓의 오른쪽) - [[Wow Wow VENUS]]를 10회 플레이 하면 해금 * [[Windy Fairy]] * [[Playing With Fire]] * [[ARACHNE]] * [[anemone]] 1 ([[concon|여우]]) * [[anemone]] 2 ([[파스텔군]]) * [[ZZ(BEMANI 시리즈)|ZZ]] * QMA 캐릭터 - 총 9개. [[QUIZ MAGIC ACADEMY VIII ~決勝戦より~]], [[灼熱の翼]], [[QMA 현자의문 오프닝|オープニングテーマ ~クイズマジックアカデミー賢者の扉より~]]중 1곡을 플레이할때마다 무작위로 입수 * [[水鏡]] * [[Honey Party]] * [[ストレイ・マーチ]] * [[STULTI]] * [[사운드 볼텍스/캐릭터#s-2.1|레이시스]] - [[Ha・lle・lu・jah]]를 5회 플레이 하면 해금 * [[사운드 볼텍스/캐릭터#s-2.22|볼테나이저 맥시마]] - [[Ha・lle・lu・jah]]를 10회 플레이 하면 해금 * [[사운드 볼텍스/캐릭터#s-2.2|츠마부키]] - [[バタフライキャット]]를 5회 플레이 하면 해금 * [[파스텔군]] 원예옷 (LV.2) - 스프링 시즌 장비를 모두 레벨2로 업그레이드 * [[파스텔군]] 원예옷 (LV.3) - 스프링 시즌 장비를 모두 레벨3로 업그레이드 * [[파스텔군]] 원예옷 (LV.4) - 스프링 시즌 장비를 모두 레벨4로 업그레이드 * [[파스텔군]] 원예옷 (LV.5) - 스프링 시즌 장비를 모두 레벨5로 업그레이드 * [[파스텔군]] 원예옷 (LV.6) - 스프링 시즌 장비를 모두 레벨6로 업그레이드 * 오더샵 주인 (양클) 1 - 오더 레벨 50 달성 * 오더샵 주인 (올리브) 1 - 오더 레벨 100 달성 * 오더샵 주인 (양클) 2 - 라빗컵 2 대상 곡[* [[FLOWER(BEMANI 시리즈)|FLOWER]], [[梅雪夜]] ] or [[사립 BEMANI 학원]] 곡을 플레이 * 오더샵 주인 (올리브) 2 - 라빗컵 2 대상 곡 or [[사립 BEMANI 학원]] 곡을 플레이 ===== Winter 시즌 아이콘 ===== * [[Clumsy thoughts]] * [[Round!]] * [[Almace]] -HI SPEED EDITION- * [[guerre a outrance]] * [[MANA(BEMANI 시리즈)|MANA]] - 2012/12/21 업데이트 * [[It's my Miracle]] 1 (남자 캐릭터) * [[It's my Miracle]] 2 (여자 캐릭터) * [[Aerial Skydive]] * [[愛は不死鳥の様に]] 1 (분홍머리) * [[愛は不死鳥の様に]] 2 (검정머리) * [[蛇神]] - 2012/12/11 업데이트 * [[snow prism]] 1 ([[파스텔군]]) * [[snow prism]] 2 ([[히우미]]) * [[紅焔]] * [[Cosmic Hurricane]] * [[Wizard]] - 2012/12/21 업데이트 * [[December Breeze]] - 2012/12/21 업데이트 * [[Valanga]] * [[梅雪夜]] 1 (흰 머리 여자) * [[梅雪夜]] 2 (붉은 머리 여자) * [[파스텔군]] 등산복 (Lv.2) - 윈터 시즌 장비[* 윈터 시즌에서는 스탬프를 이용하여 업그레이드 하면 되었지만 스프링 시즌에서는 '''[[오더샵]]을 이용해서 업그레이드''' 해야 한다. 이미 해당 레벨 아이콘을 얻었다면 스킵. 못얻은 장비가 있다면 [[오더샵]]을 이용해보자. 요령만 알면 윈터 시절보다 훨씬 빠른 윈터 장비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단 레벨 6 장비는 e-amusement 사이트의 팀 가입 기능이 선행되어야 한다.)]를 모두 레벨2로 업그레이드 * [[파스텔군]] 등산복 (Lv.3) - 윈터 시즌 장비를 모두 레벨3으로 업그레이드 * [[파스텔군]] 등산복 (Lv.4) - 윈터 시즌 장비를 모두 레벨4로 업그레이드 * [[파스텔군]] 등산복 (Lv.5) - 윈터 시즌 장비를 모두 레벨5로 업그레이드 * [[파스텔군]] 등산복 (Lv.6) - 윈터 시즌 장비를 모두 레벨6으로 업그레이드 * [[kors k]] (자켓의 왼쪽) - [[WHITE BREATH]]를 5회 플레이 * [[Sota Fujimori]] 3 (자켓의 오른쪽) - [[WHITE BREATH]]를 10회 플레이 * [[Sota Fujimori]] 4-1 (자켓 왼쪽 파란색) - [[GLITTER(BEMANI 시리즈)|GLITTER]]를 5회 플레이 * [[Sota Fujimori]] 4-2 (자켓 오른쪽 붉은색) - [[GLITTER(BEMANI 시리즈)|GLITTER]]를 10회 플레이 * [[kors k]] 2 (자켓의 왼쪽) - [[Going My Way]]를 5회 플레이 * [[Sota Fujimori]] 5 (자켓의 오른쪽) - [[Going My Way]]를 10회 플레이 * [[あさき]] - [[つばめ]]를 5회 플레이[* 아사키 본인의 얼굴이 아니라 트위터에 있는 아프로 아저씨 그림이 나온다. 해금시 주의.] ==== [[리플렉 비트]]/[[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 ==== * [[Diamond Dust]] * [[カラフルミニッツ]] * [[Broken]] * [[DEADLOCK(BEMANI 시리즈)|DEADLOCK]] * [[THE FALLEN]] * [[FLOWER(BEMANI 시리즈)|FLOWER]] * [[SEED(BEMANI 시리즈)|SEED]] * [[虹の先に何があるか]] * [[少女小景再抄録 ~影~]] * [[Wuv U]] 1 (분홍색 캐릭터) * [[Wuv U]] 2 (노랑색 캐릭터) * [[Wuv U]] 3 (파란색 캐릭터) * [[L'erisia (Primal Logic)]] * [[ポップミュージック論]] * [[幻想リフレクト]] * [[reunion]] 1 (리히트(분홍머리)) * [[reunion]] 2 (킬러(은발)) * [[Bad Maniacs]] * [[Anisakis-somatic mutation type "Forza"-]] * [[Turii ~Panta rhei~]] * [[Why did you go away]] * [[UNLIMITED FIRE]] * [[DRAGON KILLER]] * [[robin]] * [[中華急行]] * [[まるでマトリョーシカ]] * [[Une mage blanche]] * [[空色コンチェルト]] * [[魚氷に上り 耀よひて]] * [[Mr.フリーダム]] * [[Thunderbolt(BEMANI 시리즈)]] * [[Flip Flap]] 1 (분홍색 캐릭터) * [[Flip Flap]] 2 (노란색 캐릭터) * [[Flip Flap]] 3 (파란색 캐릭터) * [[キラキラ☆ステーション]] 1 (여캐) * [[キラキラ☆ステーション]] 2 (남캐) * [[ツキミチヌ]] 1 (붉은색 캐릭터) * [[ツキミチヌ]] 2 (파란색 캐릭터) * [[SHION]] * [[Music-U]] * [[TITANS RETURN]] * [[quaver♪]] * [[Express Emotion]] * [[恋する☆宇宙戦争っ!!]] * [[waxing and wanding]] * [[EXUSIA]] * [[The Sampling Paradise]] * [[灼熱Beach Side Bunny]] * [[天空の夜明け]] * [[HAERETICUS]] * [[meme]] * [[VALLIS-NERIA]] * [[TAKE THE FUN]] * [[milky ice bear]] * [[この青空の下で]] * [[Twinkle Wonderland]] * [[Fly to Next World]] * [[DJ YOSHITAKA]] (자켓의 왼쪽) - [[Survival Games]]를 3회 플레이 하면 해금. * [[Sota Fujimori]] (자켓의 오른쪽) - [[Survival Games]]를 6회 플레이 하면 해금. * [[DJ YOSHITAKA]] 2 (자켓의 위쪽) - [[Far Away]]를 3회 플레이 하면 해금 * [[Sota Fujimori]] 2 (자켓의 아래쪽) - [[Far Away]]를 6회 플레이 하면 해금 * 레온(붉은머리 남자 캐릭터) - [[QUIZ MAGIC ACADEMY VIII ~決勝戦より~]]를 1회 플레이 하면 해금 * 릭(금발의 남자 캐릭터) - [[QUIZ MAGIC ACADEMY VIII ~決勝戦より~]]를 3회 플레이 * 뮤(보라 머리 여자 캐릭터) - [[QUIZ MAGIC ACADEMY VIII ~決勝戦より~]]를 6회 플레이 * 루키아(짧은 분홍머리 여자캐릭터) - [[QMA 현자의문 오프닝|オープニングテーマ ~クイズマジックアカデミー賢者の扉より~]]를 1회 플레이 하면 해금 * 세리오스(은발 남자 캐릭터) - [[QMA 현자의문 오프닝|オープニングテーマ ~クイズマジックアカデミー賢者の扉より~]]를 3회 플레이 하면 해금 * [[샤론#s-6]] - [[QMA 현자의문 오프닝|オープニングテーマ ~クイズマジックアカデミー賢者の扉より~]]를 6회 플레이 하면 해금 * [[Starry☆night]] 1 (파스텔군) - [[Starry☆night]]을 1회 플레이 하면 해금 * [[Starry☆night]] 2 (Twinkle Wonderland의 캐릭터) - [[Starry☆night]]을 3회 플레이 하면 해금 * [[Starry☆night]] 3 (핑크색 파스텔) - [[Starry☆night]]을 6회 플레이 하면 해금 - 2012년 2월 29일 업데이트 * [[Starry☆night]] 4 (검은색 동물([[cloche]]의 그 동물)) - [[Starry☆night]]을 9회 플레이 하면 해금 * ([[APPEND TRAVEL]]) cloche - [[cloche]]를 1회 플레이 * ([[APPEND TRAVEL]]) 안내인(컨시어지) - [[cloche]]를 3회 플레이 * ([[APPEND TRAVEL]]) 우주복 파스텔 군 - [[cloche]]를 6회 플레이 === CHAT CUSTOMIZE === * 2012년 12월 20일부터 추가된 기능. 전작에 '스타일'에 아이콘과 같이 있던 기능이 따로 별도의 커스텀으로 생겼다. * 윈터 시즌에서는 대결 시작 전과 시작 후의 채팅 커스터마이즈만 수정이 가능했으며, 파스텔 이모티콘은 커스터마이즈가 불가능했으나 스프링 시즌에서 파스텔 이모티콘이 해금되어 커스터마이즈가 가능하게 되었다. === OPTION CUSTOMIZE === * 옵션 설정이 가능한 커스터마이즈 항목. 게임 내에서 바꿀 수 있는 옵션을 변경할 수 있다. 총 5가지 항목을 설정 가능 ||<-3> '''게이지 스타일''' || || 클래식 ||<-2> [[리플렉 비트]]처럼 TOP 아래에 저스트 리플렉 게이지를 표시한다. || || 스탠다드 ||<-2> TOP 오브젝트 오른쪽 위에 저스트 리플렉 게이지가 표시되고, [br]TOP 아래에는 클리어 게이지가 표시된다. || ||<-3> '''스테이지 상세 점수''' || || ON ||<-2> 오른쪽 아래에 실시간으로 자신이 처리한 판정을 표시할 수 있다.[br][[비트매니아 IIDX]]시리즈의 JUDGE 커맨드와 비슷한 형태. || || OFF ||<-2> 스테이지 상세 점수 옵션을 끈다. || ||<-3> '''곡 세부 점수 표시''' || || ON ||<-2> 선곡 화면에 곡의 최고 점수/최고 AR/미스카운트 칸을 표시한다. || || OFF ||<-2> 선곡 화면에 곡의 최고 점수/최고 AR/미스카운트 칸을 표시하지 않는다 || ||<-3> '''베스트 스코어 전환''' || || 통산 베스트 스코어 ||<-2> [[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때 세운 점수가 베스트 스코어로 뜬다. [br]그렇지만 참고용 데이터라 실제 랭킹에는 등록되는 데이터가 아니다. || || colette 베스트 스코어 ||<-2> [[리플렉 비트 콜레트]]때 세운 점수가 표시된다.[br]전작의 스코어를 넘을 경우 당연히 이쪽을 중심으로 표시된다. || ||<-3> '''TOUCH 마커''' || || ON ||<-2> BASIC 플레이 시 모든 오브젝트에 TOUCH 마커를 표시한다. || || OFF ||<-2> BASIC을 플레이하더라도 첫 오브젝트에만 TOUCH 마커가 뜬다. || == 곡 해금 == * 기본적인 해금방법은 [[콜레트]]버전 기준으로 PASTEL ADVENTURE와 FINAL ROUND 전용곡,연동이벤트 등으로 구분되어있다. === PASTEL ADVENTURE === * [[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전작]]의 [[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해금요소#s-3.1|라임 업]]의 콜레트판으로, 전작과 다르게 1스테이지마다 분배되는것이 아닌 [[Lincle Link]] 5탄처럼 1플레이마다 총 집계가 되어 진행된다. * 해금 방식이 각 계절마다 전부 다른 방식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항목으로 구분. * 2013년 12월 11일 올 시즌 가동 이후 모든 해금에 점핑 파스텔군이 도입되어 있다. * 윈터 : 스노모빌을 타고 빠르게 이동. * 스프링 : 파스텔군이 영양제를 뿌려 줌. * 섬머 : 파스텔군이 그물을 던져 줌. * 어텀 : 파스텔군이 직감 촉진 드링크를 들고 옴. * 모든 해금이 완료 상태라면, 이 단계는 스킵된다. ==== winter - 콜레트 클라이밍 ==== * 플레이 포인트인 어드벤처 포인트([[주먹밥]])을 모아 [[파스텔]]을 원하는 산에 모험을 시켜 해금이 되는 형태. 쉽게 설명하면 라임→어드벤처 포인트, 글래스→산이 되었다고 보면 될듯. * 해금 가능 곡은 [[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까지의 구곡과 [[리플렉 비트 콜레트]] Winter 시즌의 전곡. 유비트 산맥의 경우 유비트 글래스 1의 [[concon|해]][[I'm so Happy|금]][[STELLAR WIND|곡]]들은 전부 카드 통상 해금. * 초기판 기준으로 초대 리플렉산맥, limelight산맥, jubeat산맥, colette산맥 제1장이 공개되어있다. 전작 라임업 해금이 전부 종료된 상태에서 진행하면 선택지는 colette 산맥 제 1장밖에 선택 불가능.[* 당연하게 이전에 라임라이트에서 라임라이트 글라스를 채웠다면 limelight 산맥이 해금. 유비트 글라스를 채웠다면 jubeat 산맥이 해금. 리플렉 비트 글라스를 채웠다면 초대작 리플렉 산맥이 해금되어있다.][* 단, 콜레트 산맥을 제외한 나머지의 경우 그 산맥에 들어있는 곡이 모두 해금되어 있지 않다면 그 산을 등산해서 해금해야 한다. 일례로, limelight 산맥에서 [[Far Away]]를 제외한 전곡을 해금했다고 해도 그 한 곡을 해금하기 위해 산을 올라야 한다는 것. 물론 그 곡만 해금하고 다른 산을 타도 되지만 정상까지 올라가도 특별히 주는 건 없다.] * colette 산맥 제1장의 정상까지 등반하지 않아도, colette 산맥 제2장의 등정이 가능하다. * 산맥에 10곡 이상씩 들어있기 때문에 라임의 눈금형태와 마찬가지로 중간에 곡 해금이 되면 정산 이후에 어떤곡이 해금되었는지 바로 표시된다. 해석하기 귀찮으면 그냥 라임라이트의 글래스가 최대치 요구량은 매우 많은 대신에 중간에 풀 수 있는 눈금의 개수는 10개가 넘어간다고 생각하면 될듯 * 등산할때 날씨에 따라서 등산 거리가 다르다고 한다. 맑음>눈>눈보라>번개 순서. * 시즌 1인 제1산맥의 경우 기존 로케테스트때 공개된 신곡+추가곡으로 구성되어있다. * 스템프를 모으지 않으면 파스텔군의 장비 레벨이 낮아 장비 보너스 포인트가 낮아져서 해금이 많이 힘들어지기 때문에 하루에 몰아서 하는 것보단 조금씩 꾸준히 해주는 것이 오히려 더 유리할 수 있다, * 어드벤처 포인트중 '서포트 플레이어'의 경우, 함께 대전한 플레이어의 장비 레벨에 비례해 차등 지급된다.[* 로컬매칭의 경우, 온라인 매칭때에 비해서 2~3배에 달하는 포인트가 들어온다.] 매칭이 더 많이 성사될수록 해금속도가 월등히 빨라지는셈. * 장비 포인트의 경우, 한쪽에 올인하는것보다 같은 레벨로 세트를 맞추는것이 더 많은 포인트를 얻을수 있다.[* 또한 장비 레벨이 오를수록 필요 업그레이드 횟수가 많아진다.] * 콜레트 제3산맥은 콜레트 1,2산맥을 모두 완료해야 시작 가능하며, 전설의 산(伝説の山)은 콜레트 제3산맥까지 완료해야 등장한다. * 정식 발매판의 경우 영어로 되어있기 때문에 산맥→Mt.으로 번역이 되었다.(ex-콜레트 산맥 제1 → Mt.colette 1) ||<-3> '''PASTEL ADVENTURE / 콜레트 클라이밍''' || ||<-3> '''[[리플렉 비트 콜레트|colette]] 산맥 제1''' || ||<-3> [[Clumsy thoughts]] || ||<-3> [[Blind Justice 〜Torn souls, Hurt Faiths〜]] || ||<-3> [[Round!]] || ||<-3> [[Almace]] -HI SPEED EDITION- || ||<-3> [[guerre à outrance]] || ||<-3> [[MANA(BEMANI 시리즈)|MANA]] || ||<-3> [[It's my Miracle]] || ||<-3> [[幻想雷神記]] || ||<-3> [[Aerial Skydive]] || ||<-3> [[Our Faith]] || ||<-3> [[Ignited Night]] || ||<-3> [[愛は不死鳥の様に]] || ||<-3> [[GLITTER(BEMANI 시리즈)|GLITTER]] || ||<-3> '''[[리플렉 비트 콜레트|colette]] 산맥 제2''' || ||<-3> [[In Heaven]] || ||<-3> [[純白レジエンド -冬-]] || ||<-3> [[Fantasia]] || ||<-3> [[Wizard]] || ||<-3> [[London EVOLVED]] || ||<-3> [[December Breeze]] || ||<-3> '''[[리플렉 비트 콜레트|colette]] 산맥 제3''' || ||<-3> [[WONDER WALKER]] || ||<-3> [[DOUBLE IMPACT]] || ||<-3> [[Vairocana]] || ||<-3> '''전설의 산''' || ||<-3> [[Valanga]] || ||<-3> '''[[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limelight]] 산맥''' || ||<-3> [[limelight world]][br][[UNLIMITED FIRE]][br][[ツキミチヌ]] || ||<-3> [[空色コンチェルト]][br][[Last Hometown]][br][[ビューティフル レシート]] || ||<-3> [[キラキラ☆ステーション]][br][[Une mage blanche]][br][[Flip Flap]] || ||<-3> [[DRAGON KILLER]][br][[Twinkle Wonderland]][br][[HAPPY limelight]] || ||<-3> [[魚氷に上り 耀よひて]][br][[Mr.フリーダム]][br][[Far Away]] || ||<-3> [[Ignition∞Break]][br][[STARS (Ryu☆Remix RRver.)]] || ||<-3> [[TITANS RETURN]] || ||<-3> [[quaver♪]][br][[Castle on the Moon]] || ||<-4> '''[[리플렉 비트|초대 리플렉]] 산맥''' || ||<-3> [[Silence]][br][[優勢オーバードーズ]][br][[少女小景再抄録 ~影~]] || ||<-3> [[Diamond Dust]][br][[夢の降る街]][br][[Wuv U]] || ||<-3> [[Sakura Reflection]][br][[カラフルミニッツ]][br][[クシコス☆ポスト・青春SKAパンクミックス!]] || ||<-3> [[スパンコール]][br][[Stay my side]][br][[Gymnopedie -kors k mix-]] || ||<-3> [[Diamond Dust#s-2.2|Diamond Dust -Try to sing Ver.-]][br][[message]][br][[虹の先に何があるか]] || ||<-3> [[Survival Games]][br][[透明なエモーション]][br][[Need Your Love]] || ||<-3> [[幻想リフレクト]][br][[イミテーション語ル死ス]][br][[SPECIAL SUMMER CAMPAIGN!]] || ||<-3> [[KOROBUSHKA (Ryu☆Remix)]][br][[THE FALLEN]] || ||<-3> [[Broken]][br][[Hollywood Galaxy]] || ||<-3> [[DEADLOCK(BEMANI 시리즈)|DEADLOCK]] || ||<-4> '''[[유비트 시리즈|{{{#white jubeat}}}]] {{{#white 산맥}}}''' || ||<-3> [[\[E\]]] || ||<-3> [[HEAVENLY MOON]] || ||<-3> [[量子の海のリントヴルム]] || ||<-3> [[Red Goose]] || ||<-3> [[ALBIDA]] || ==== spring - 콜레트 가든 ==== * [[리플렉 비트 콜레트]] 스프링의 해금 컨텐츠, 구곡+신곡인 콜레트 마운틴과 다르게 가든은 전부 신곡으로 구성. <하는 방법> [[파일:attachment/리플렉 비트 콜레트/해금요소/크기변환_colette_garden_1.jpg]] * 맨 먼저 화면 아래에 있는 '''음악의 씨앗'''을 화분에 드래그한다. * 씨앗이 옮겨지면 화분에 그 씨앗의 이름이 붙는다. * 한 화분에 씨앗 2개 이상은 심을 수가 없다. [[파일:attachment/리플렉 비트 콜레트/해금요소/colette_garden_2.jpg]] * 파스텔군을 화분에 드래그한다. 좌측 상단에 보면 파스텔군 색상이 있는데, 해당하는 화분색에 드래그하면 씨앗이 좀 더 빠르게 자란다. * 씨앗이 없는 화분이거나 이미 꽃핀 화분에는 파스텔군을 배치시킬수없다. * 참고로 예전에는 CPU랑 매칭했을시 CPU의 장비레벨이 전부 1이어서 해금을 빨리하고싶으면 대인매칭을 하는것이 좋았으나 2013년 4월 23일자를 기해서 CPU의 공방 레벨이 1~3에서 랜덤으로 정해지도록 패치가 되었다. 물론 대인매칭을 하는것에는 불이익이 없으니 참조하자. [[파일:attachment/리플렉 비트 콜레트/해금요소/colette_garden_3.jpg]] * 육성개시 버튼을 누르고 성장을 지켜본다. <원 포인트> 포인트 1.공방[* 화가나 공예가의 작업장 출처:네이버 일본어 사전]을 열어서 화분을 늘리자!! [[파일:attachment/리플렉 비트 콜레트/해금요소/colette_garden_one_point_1.jpg]] * 좀더 많은 화분이 원한다면 두개의 꽃[* 초기에 지급하는 처음의 씨앗과 VENUS의 씨앗]이 피면 공방이 열린다. 포인트 2.장비를 강화해서 공방을 완성하면 새로운 레벨의 받침대(화분)이 등록! [[파일:attachment/리플렉 비트 콜레트/해금요소/colette_garden_one_point_2.jpg]] * 플레이를 한 후 나온 파스텔군으로 받침대를 업그레이드를 하고싶다면 화분 밑에 있는 화분(색깔)전용받침대에 드래그를 한다. * 각각의 색깔[* 빨간색,파란색,녹색]은 파스텔군의 왼쪽 위에 있는 아이콘을 체크한다. 파스텔군의 아이콘이 '''{{{#red 빨간색}}}'''일때는 '''{{{#red 빨간 설계도}}}'''에 배치하면 성장(작업)률이 추가증가한다. * 공방 레벨을 올리지않은 파스텔군을 배치할수없다.[* 예시로 만들려고하는 받침대레벨이 3인데 자신의 파스텔군 장비레벨이 2라면 불가능하다. 이럴때는 장비강화밖에 답이없다.] 포인트 3.파스텔군의 색깔은 이런거에서 알수있다! [[파일:attachment/리플렉 비트 콜레트/해금요소/colette_garden_one_point_3.jpg]] * 화분 받침대 밑에있는 파스텔군의 양복색깔을 보자. * 파스텔군의 양복색깔이 녹색일때는 녹색화분에 배치시키면 같은 색깔이 되어서 성장도가 증가된다. 물론 파란색=파란화분,빨간색=빨간화분 도 마찬가지다. 다만 레벨 4의 보라색 화분은 파스텔군의 양복 색깔 중에 없기 때문에 그냥 아무 파스텔군이나 배치시켜도 성장도는 같다. 또한, 오더 샵을 이용하지 않고 공방에서 화분을 만들려고 한다면 가히 [[Valanga]]에 필적하는 화분 제작속도를 보게 될 것이다.(...) 선곡 화면에서 우측 하단에 있는 오더 샵 버튼을 클릭하면 일종의 미션 개념인 오더 샵으로 들어올 수 있다. 목록에서 오더를 신청하고 [* 이를테면 곡 장르별로 코나미 오리지널, 버라이어티 등을 각각 일정 횟수 이상 플레이하는 식.][* 36번과 49번인 경우는 팀 멤버 매칭을, 37번과 43번인 경우는 프렌드 매칭을 해야 완료된다. 팀 시스템은 [[현질|'''베이직 코스를 결제해야만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서, 팀 멤버 매칭은 [[신도 부처도 없단 말인가|베이직 코스 결제 없이는 절대로 완료가 불가능하다!]]. 프렌드 매칭은 서로 즐겨찾기가 된 멤버끼리 매칭을 해야 달성되는데, 온라인 매칭으로 프렌드가 걸릴 확률은 대단히 낮으니 로컬 매칭으로 완료하는 게 속편하다.] 완료하면 오더 레벨을 올려서 해금 속도를 빠르게 만들 수 있다. 단, 오더는 한 번에 최대 6개[* 기본 2개, 오더 레벨 30에서 추가 +1, 밸류팩 사용시 +1, 오더 레벨 100에서 추가 +1, 오더 레벨 150에서 추가 +1]만 수행할 수 있으니 주의하자. 노란색의 오더 한정으로 클리어된 오더를 다시 도전할 수 있다. 이 때 얻는 티켓의 수는 적지만 여러 번 수행 가능하다. 그런데 한국판에서는 오더 설명이 번역이 안 되어있다(...) 이에 관해서는 [[리플렉 비트 콜레트/오더샵]]항목 참고. ||<-4> '''PASTEL ADVENTURE / 콜레트 가든''' || ||<-3> '''はじまりのたね(처음의 씨앗)''' || [[みんな笑った]] || ||<-3> '''VENUSのたね([[VENUS]]의 씨앗)''' || [[Wow Wow VENUS]] || ||<-3> '''桜のたね(벚꽃 모양의 씨앗)''' || [[追儺の桜 -春-]] || ||<-3> '''とがったたね(뾰족한 씨앗)''' || [[Following Flow]] || ||<-3> '''ぎざぎざのたね(톱니 씨앗)''' || [[Lights On Me]] || ||<-3> '''妖精のたね(요정의 씨앗)''' || [[Windy Fairy]] || ||<-3> '''燃えさかるたね(타오르는 씨앗)''' || [[Playing With Fire]] || ||<-3> '''イヌに似たたね(개와 닮은 씨앗)''' || [[黒点]] || ||<-3> '''禍々しいたね(재앙의 씨앗)''' || [[ARACHNE]] || ||<-3> '''鏡のたね(거울의 씨앗)''' || [[水鏡]] || ||<-3> '''たんぽぽのたね(민들레의 씨앗)''' || [[printemps(BEMANI 시리즈)|printemps]] || ||<-3> '''星形のたね(별 모양의 씨앗)''' || [[Honey Party]] || ||<-3> '''バラに似たたね(장미를 닮은 씨앗)''' || [[Nostalgia Is Lost]] || ||<-3> '''伝説のたね(전설의 씨앗)''' || [[ストレイ・マーチ]] || 매칭을 하지 않는다면 공방을 이용하여 화분을 만드는 속도가 매우 느려진다. 가급적 매칭위주로 가면서 오더를 수행하는 쪽으로 계획을 짜는 것이 좋다.[* 특히 공방을 애용해야 할 경우에는 로컬보다는 온라인을 추천한다. 로컬에서는 공방에 투자 가능한 파스텔군이 2마리 뿐이지만 온라인에서는 FAIL이 뜨지 않는한 2~5마리(전부 매칭성공시)를 기대할 수 있다. 초창기에는 레벨 2를 못 찍어서 로컬로나마 확실한 레벨 2이상의 유저랑 같이 하는 방법으로 됐었지만 이제는 온라인에서 레벨 2이상 유저들을 심심치 않게 보기 때문이다.] 당장 초반만 하더라도 화분 3개를 달성했으나 남는 화분이 없고 공방 이용도 안되어 1레벨 CPU도우미가 버려지는 경우가 빈번했었다. 물론 CPU 공방 레벨이 1~3중 랜덤으로 정해지게 패치 된 이후로는 나아졌다고는 해도 해금하는게 쉽지는 않다. 더구나 업데이트가 더 진행되면서 공방 4레벨까지 요구하게 되어 많은 난민을 양성하였다. ==== summer - 콜레트 피싱 ==== [[파일:attachment/리플렉 비트 콜레트/해금요소/colette_fishing.jpg]] * 콜레트 섬머 시즌의 해금 컨텐츠. 기존에 콜레트 클라이밍/콜레트 가든도 별도로 진행 가능. 낚시하려는 섬을 선택해 그 섬으로 낚시를 하러 가는 형태의 해금 방식이다. * 섬을 선택할 때 해당 섬에서 잡히는 물고기 수확량이 비율로 표시된다. * [[파스텔군]]에게 먹이를 선택해 낚시를 시도하게 할 수 있다. 이 먹이는 오더샵 오더 클리어로 더 좋은 먹이를 얻을 수 있다. * 물고기 게이지가 가득 차면 해당 곡이 해금된다. * 수확률이 있는 섬에서 종종 그리고 수확률이 아무 것도 없는 섬에서 반드시 물고기가 아닌 [[쓰레기]](ゴミ)를 건져 올리는데 이건 화면 최하단의 환경보호 게이지를 올리는 데 쓴다. 이게 다 차면 홀수 회차에는 스탬프 티켓 2장, 짝수 회차에는 아이콘을 얻는다. * 1크레딧 내의 모든 스테이지를 제목 또는 아티스트명 등이 '검정'과 관련된 곡으로 플레이(FAILED도 가능) 후 콜레트 피싱에 들어가면 '페리데스!'라는 소리가 나오면서 지도에 검은 배가 나타나는데 그 곳으로 이동하면 [[ペリーでぇす!]]가 해금된다. * 곡명에 검정이 포함 : [[黒髪乱れし修羅となりて|'''黒'''髪乱れし修羅となりて]], [[黒点|'''黒'''点]] * 작곡가 명의에 검정이 포함 * [[TOMOSUKE|'''黒'''猫ダンジョン]] : [[量子の海のリントヴルム]], [[リリーゼと炎龍レーヴァテイン]] * '''[[96]]'''[* 96을 [[고로아와세]]로 읽으면 쿠로(黑, 검정)가 된다.] : [[お米の美味しい炊き方|お米の美味しい炊き方、そしてお米を食べることによるその効果。]], [[Screaming Your Faith!!!]], [[DRAGON KILLER]] * '''Black'''Y : [[Max Burning!!]] ||<-2> '''PASTEL ADVENTURE / 콜레트 피싱''' || || '''サバ(고등어)''' || [[Flying soda]] || || '''サバ 2回目(고등어 2회차)''' || [[serendipity]] || || '''ハリセンボン(가시복)''' || [[アラベスクの回廊]] || || '''ハリセンボン 2回目(가시복 2회차)''' || [[Last Memento -花火のない夏-]] || || '''タコ(문어)''' || [[SPARKLE(BEMANI 시리즈)|SPARKLE]] || || '''タコ 2回目(문어 2회차)''' || [[Little Flipper]] || || '''タイ(도미)''' || [[Knell]] || || '''タイ 2回目(도미 2회차)''' || [[7 Colors]] || || '''カジキマグロ(청새치)''' || [[EMPEROR OF THE AVALON]] || || '''カジキマグロ 2回目(청새치 2회차)''' || [[リリーゼと炎龍レーヴァテイン]] || || '''アンコウ(아귀)''' || [[Legendary Dragon]] || || '''アンコウ 2回目(아귀 2회차)''' || [[ÆTHER]] || || '''エイ(가오리)''' || [[Blade]] || || '''エイ 2回目(가오리 2회차)''' || [[太陽の子]] || || '''伝説の魚(전설의 물고기)''' || [[海神]] || || '''黒船来航(흑선내항)''' || [[ペリーでぇす!]] || ==== autumn - 콜레트 하베스트 ==== [[파일:attachment/리플렉 비트 콜레트/해금요소/colette_autumn.png]] 해금 하고 싶은 바구니를 하나 선택해서 그 바구니 안에 과일을 가득 채우고 수확제라는 글자가 나오면 해금되는 방식이다. 참고로 방향 선택 화면에서 파스텔군을 터치하면 [[http://youtu.be/6mUqTkenUuM|오른쪽으로 뒤돌아본다.]] * 숲 선택지에 대한 설명 * 보통의 숲 : 평범한 숲이다.어느 방향이든 아무데나 골라잡아서 진행해도 한번누를때마다 900~2000pt정도 획득한다, 물론 직감을 쓰면 1200 이상 정도는 나온다. * 밝은 숲 : 이것도 [[복불복]]이다. 하지만 사과의 숲보다는 덜 강한 편이며 3개의 선택지에서 운좋으면 3000pt 이상을 수확할수 있으며 운이 안좋으면 700pt 정도가 뜰때도있다(...) 그러니 이때에도 직감 포션은 필수[* 다만 직감을 써도 900pt 정도가 나올수도 있으니 조심] * 사과의 숲 : 다른 과일은 나오지 않고 사과만 나오는 곳이며 전설의 금사과가 있다고 하는 숲이다. 이 숲을 선택했으면 웬만해서는 직감포션을 마셔야 할것이다, 만일 안마시고 그냥 길을 선택할경우 빨간사과 5개(500pt) or 청사과 5개(1000pt)가 거의 나온다. 운이 좋으면 아닐수도 있지만, 직감포션을쓰고 길을 걷다가 운좋으면 은사과 5개(4000pt) or 금사과 5개(10000pt)가 나온다. 은사과는 ''800pt''이며 전설의 금사과는 무려 '''2000pt'''가 나온다. 다만 금사과는 사과숲을 직감포션+마법의 시계 사용해서 전부매칭하고 4번을 계속 돌아다녀도 나올까 말까할 정도로 뜨기 어렵다. * 밸류한 숲(バリューな森) : 밸류팩을 사용해야만 등장하는 숲. * 과일 1개당 점수 * 100점: 빨간 사과, 밤, 감, 포도 * 200점: 푸른 사과, 청포도 * 400점: 송이, 서양배 * 800점: 은사과 * 2000점: 금사과 잘 보면 바구니 이름 상당수가 해금곡 제목과 관련이 있다. ||<-2> '''PASTEL ADVENTURE / 콜레트 하베스트''' || || '''はじまりのかご(처음의 바구니)''' || [[ロボット☆ライフ]] || || '''おかしなかご(이상한 바구니)''' || [[Candy Drop]] || || '''やわらかいかご(부드러운 바구니)''' || [[キルト]] || || '''美しいかご(아름다운 바구니)''' || [[Beautiful Dream]] || || '''漆黒のかご(칠흑의 바구니)''' || [[RAGNAROK]] || || '''お気に入りのかご(맘에 드는 바구니)''' || [[Like+it!]] || || '''賢者のかご(현자의 바구니)''' || [[Lapis Philosophorum]] || || '''白猫のかご(흰 고양이의 바구니)''' || [[にゃんだふる55]] || || '''三毛猫のかご(얼룩고양이의 바구니)''' || [[三毛猫JIVE&ジャイブ]] || || '''大容量のかご(대용량 바구니)''' || [[Ground Shake]] || || '''空のかご(빈 바구니)''' || [[空葬]] || || '''少年のかご(소년의 바구니)''' || [[少年リップルズ]] || || '''かくかくのかご(이러저러한[* 곡 제목인 polygon은 [[다각형]]이라는 뜻이다. 거기서 '각'(角)의 음독이 かく.] 바구니)''' || [[polygon]] || || '''伝説のかご(전설의 바구니)''' || [[fallen leaves]] || === EXTRA 전용 악곡(FINAL ROUND 전용곡) === * 출현 조건은 여전히 그대로, 전체 스테이지 중 2튠을 매칭을해서 대전을 하면 되며 승패는 관계없이 무조건 대전만 하면 출현. * 자신이 플레이했던 최고 난이도의 패턴까지만 플레이가 가능하다. 즉 MEDIUM까지만 플레이했다면 FINAL 전용곡이 출현하더라도 HARD 패턴이 출현하지 않는다. * 그 전까지는 해금할때까지 얼마나 걸리지 몰랐지만 이번작부터는 별도의 해금 게이지가 존재해 해금 진행이 얼마나 진행되었는지 알려주고 있다. 게이지를 꽉 채우면 통상해금. * 초대와 라임라이트와는 달리, HARD보면만 플레이하는 것보다 BASIC, MEDIUM보면도 플레이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전보면 2번 플레이로 6번 해주면 가장 빨리 해금 할 수 있다. 한 보면만 계속 하면 점차 차는 양이 줄어드므로 주의 할 것.[* 한 보면을 플레이할 때마다 채워지는 양이 줄어들며, 2번째 플레이 때도 영향을 받아 첫플 때보단 조금 덜 채워지지만 다행히 전 보면 2번씩으로 게이지가 정확하게 채워진다.] * All Seasons부터 과거의 FINAL ROUND 전용곡은 4판만 해도 채울 수 있다. 대신 난이도는 3개를 모두해야 다찬다. * 만약 전용곡을 클리어하지 못했더라도 해금 게이지는 충전된다. * 전작까지는 LOCAL PLAY에선 해금 진행이 불가능했지만 이번작에선 LOCAL PLAY에서도 3스테이지에 해당곡을 선택하면 해금 진행이 가능하다. * 스프링 업데이트 이후 자신이 원하는 계절의 FINAL 곡을 선택하면 그 곡을 먼저 해금할 수 있다. * ALL SEASON 이후로 해당 시즌곡으로 플레이를 해야 FINAL곡이 등장하도록 패치했다. 예를들어 Winter 파이널 곡을 해금하고싶으면 1, 2스테이지를 전부 Winter 시즌 곡으로 매칭해야된다. ||<-3> -Winter- || || 초기 단계 || [[Daily Lunch Special]] || || 출현 조건 || 겨울 시즌 초기 상태에서 출현 || || 2단계 || [[Chinese Snowy Dance]] || || 출현 조건 || [[Daily Lunch Special]]을 해금한 후 출현 || ||<-3> -Spring- || || 초기 단계 || [[Sakura Luminance]] || || 출현 조건 || 봄 시즌 초기 상태에서 출현 || || 2단계 || [[桜(BEMANI 시리즈)|桜]] || || 출현 조건 || [[Sakura Luminance]]를 해금한 후 출현 || ||<-3> -Summer- || || 초기 단계 || [[examination leave]] || || 출현 조건 || 여름 시즌 초기 상태에서 출현 || || 2단계 || [[Screaming Your Faith!!!]] || || 출현 조건 || [[examination leave]]를 해금한 후 출현 || ||<-2> -Autumn- || || 초기 단계 || [[MAXIMIZER]] || || 출현 조건 || 가을 시즌 초기 상태에서 출현 || || 2단계 || [[Survival Games]] - ZEUS Mix- || || 출현 조건 || [[MAXIMIZER]]를 해금한 후 출현(콜레트 올시즌부터 적용, 해금법 변경) || ||<-2> -All Seasons- || ||<-2> [[Russian Snowy Dance]] || || 출현 조건 || 올 시즌 초기 상태에서 출현, 파이널 라운드까지 모든 라운드에서 All Seasons곡을 플레이[* 5월 9일부터 진행되는 캠페인을 통해 해금 가능한 그루빈 수록곡도 대상에 포함된다.] || ||<-2> [[ペリーでぇす!]] || || 출현 조건 || 파이널 라운드까지 모든 라운드에서 Summer곡을 플레이[* 콜레트 피싱 해금곡에서 FINAL ROUND 전용곡으로 변경.] || === 파스텔 원더 트래블러 === All Seasons부터 추가된 새로운 해금 시스템. 파스텔 어드벤처와는 별개로 돌아간다.[* 그러나 파스텔 어드벤쳐를 모두 끝마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대로 해금을 할 수 없다.] 해금해야할 음악들이 요구하는 조건을 만족시 FINAL ROUND에 출현하며, 이를 선택하면 특수한 선곡 화면으로 진입하게 된다. 말하자면 [[리플렉 비트 시리즈]]의 엑스트라 폴더 시스템. [* 선택시 복귀 불가라는 점까지 [[beatmania IIDX]]의 엑스트라 폴더와 동일하다.] 파스텔 원더 트래블러에서는 [[리플렉 비트 시리즈]] 사상 최초로 '''서바이벌 게이지'''가 도입되었다.[* 게임 화면에서 점수를 표시하는 곳에 HP를 표시해 두었다. 조커 격추 이후 플레이 버튼 위의 말풍선을 누르면 통상 라운드에서 서바이벌 게이지 플레이가 가능하다.]플레이어의 HP가 100에서 시작해 0이 되면 그대로 폭사하는 형식. 게이지 증감량은 다음과 같다. || 판정 || JUST REFLEC || JR MISS || JUST || GREAT || GOOD || MISS || || HP 증감 || '''+10''' || '''-10''' || '''0''' || '''0''' || '''-1''' || '''-2''' || || 보스 Lv.4 || '''+10''' || '''-20''' || '''0''' || '''0''' || '''-2''' || '''-3''' || || 보스 Lv.5 || '''+10''' || '''-40''' || '''0''' || '''0''' || '''-4''' || '''-8''' || || 보스 Lv.6 || '''+10''' || '''-50''' || '''0''' || '''0''' || '''-5''' || '''-10''' || || 보스 Lv.7 || '''+10''' || '''-70''' || '''0''' || '''0''' || '''-7''' || '''-14''' || || 보스 Lv.8 || '''+10''' || '''즉사''' || '''0''' || '''0''' || '''-10''' || '''-20''' || || 보스 Lv.9 || '''+10''' || '''즉사''' || '''0''' || '''0''' || '''-13''' || '''-26''' || || 보스 Lv.10 || '''+10''' || '''즉사''' || '''0''' || '''0''' || '''-16''' || '''-32''' || || 보스 Lv.11 || '''+10''' || '''즉사''' || '''0''' || '''0''' || '''-19''' || '''-38''' || || 보스 Lv.12 || '''+10''' || '''즉사''' || '''0''' || '''0''' || '''-22''' || '''-44''' || || 상대방 피해량 || '''-10''' || '''0''' || '''-3''' || '''0''' || '''0''' || '''0''' || 매칭은 CPU하고만 이루어진다. CPU의 HP는 해금곡에 따라 다르며, 플레이어의 HP와 달리 다음 플레이시에 잔여 HP가 그대로 인계된다. CPU의 HP가 0이 될 경우 격파가 되는 형식. 위의 표가 Lv.12지만 표기했다고 해서 Lv.12지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http://pic.twitter.com/Dw2Ff93HqG|#]] 이 서바이벌 게이지는 조커 격파후 곡 셀렉트 버튼 위의 말풍선을 누르면 기동이 가능하다. 서바이벌 게이지를 적용할 경우 매칭을 스킵하고 무조건 NPC와의 대전이 된다. [[http://www.nicovideo.jp/watch/sm22434367|진입영상과 Velvet Sentiment HARD 플레이영상(니코동 계정 필요)]] || 문양 || 보스명 || 곡명 || 작곡가 || 출현조건 || 초기 HP || || ♠ || CECIL SPADE || [[Velvet Sentiment]] || [[무라이 세이야|seiya-murai]] || 중복되지 않게 15곡을 플레이[* 도중에 한번이라도 중복된곡을 플레이하면 카운트가 초기화된다(!)] || 1300 || || {{{#red ♥}}} || ROSE HEART || [[Ambitious]] || [[S-C-U]] || 1st부터 3rd 까지의 곡의 첫 글자를 は[* [[BANZAI]], [[万物快楽理論]], [[PANIC HOLIC]] 등 ば/ぱ에 해당되는 곡도 되며, 심지어 [[VALLIS-NERIA]]나 [[Valanga]] 등 '''원래 ヴァ에 해당하는 곡도 리플렉에서는 ば로 등재되어 있어 대상곡에 포함이 된다.''' ファ는 ふ 취급이므로 당연히 안됨.]→あ→と[* [[DRAGON KILLER]] 등 ど로 시작하는 곡도 된다.]가 되게 선곡[* 3곡 설정의 경우 다음 크레딧에 출현] || 1400 || || ♣ || FRANCIS CLUB || [[SPEED BLADE]] || [[L.E.D.]] || 각 장르별(J팝, 게임/애니, 버라이어티, 코나미 오리지널)곡을 2곡씩 중복되지 않게 선곡[* 총 8곡을 겹치지않게 선곡하면 된다.] || 1500 || || {{{#red ◆}}} || LILY DIA || [[Arcanos]] || [[DJ TOTTO|DJ Totoriott]] || 매칭 대기시 '今からリフレクの曲解禁しますよー!(지금부터 리플렉의 곡 해금해요!)' 로 퍼즐 코멘트 작성[* 今から(あ행) / リフレク(ら행) / の(な행) / 曲(か행) / 解禁(か행) / します(さ행) / よー(や행) / !(특수문자) 로 퍼즐 코멘트 파츠가 구성되어 있다.] || 1500 || || ★ || JOKER || '''[[CLAMARE]]''' || '''[[MAX MAXIMIZER]]''' || 상기한 4곡의 보스를 전부 쓰러뜨리면 출현, 각시즌의 전설곡[* [[Valanga]], [[ストレイ・マーチ]], [[海神]], [[fallen leaves]] 각각 아무 난이도든 한 번씩 플레이하면 된다. 아무래도 점핑 파스텔군을 해주는 이유가 이것인 모양.]으로부터 원더파츠 4개 수집 || 1700 || JOKER 출현시에는 다른 보스곡 플레이가 '''불가능'''하며 강제적으로 JOKER의 곡을 플레이해야 한다. JOKER에 도전해서 쓰러트리지 못하면 이때까지 모은 원더클럭의 시계바늘[* 각 보스들을 쓰러트리면 생기는 그 시계바늘]이 '''전부 몰수'''되며 다시 JOKER한테 도전하려면 '''다시 4명의 보스들을 쓰러트려야 한다.'''[* 사라지지 않고 계속 상주하므로 다시 출현시킬 필요는 없다.] 다만 부활한 4명의 보스는 HP가 1/6으로 감소된 상태로 도전하게 되어 비교적 물리치기 쉬우며, JOKER는 잔여 HP 그대로 다시 도전하게 된다.[* 다만 플레이 도중 조커의 체력을 0으로 만들고 폭사했을때엔, 조커가 해금되지 않으며 이후에 다시 소환했을땐 체력이 '''1''' 남아있다(...) 이 점은 다른 보스도 마찬가지.] JOKER를 격추하면 원더 트레블러에서 플레이할 수 있던 5곡이 한번에 '''통상 해금'''되지만, 이후에도 PASTEL WONDER TRAVELER에 들어갈 수가 있다.[* 물론 여전히 FINAL 라운드에만 출현한다.] 이때부터는 각 보스에게 레벨 개념이 부가되면서 이들의 보스들을 다시 격추시키면 '''선곡 BGM과 프레임이 해금된다.''' 프레임이나 선곡BGM을 원한다면 한번 더 해보는 것을 추천.[* 조커 격추 이후에는 조커 도전에 실패하더라도 사라지지 않으므로 다음 크레딧에서 재차 도전이 가능하다.] 주의할 점이 있는데, 이 때부터는 '''이전 도전에서 준 데미지가 다음으로 이월되지 않는다'''. 즉, 한 번에 격파해야 한다는 소리. 이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노트수 관계상 Lv.2는 미디엄 이상, Lv.3은 하드에 도전해야 격추가 가능하다. 전설곡을 전부 해금했다는 가정 하에 시계 완성과 4곡 상주까지 걸리는 최단 코스는 다음과 같다. 1코인 3라운드 기준 5코인이 소모된다. 1코인 : J-pop, 버라이어티, 애니/게임 중 한장르 두곡 플레이, 매칭되기 전에 코멘트 今からリフレクの曲解禁しますよー!작성. 이후 3스테이지에 원더 트레블러에 들어가 다이아몬드를 플레이. 2코인 : 전설곡 중 하나를 플레이(미디움도 상관없다)후 J-pop, 버라이어티, 애니/게임중 위에서 한것을 제외한 나머지 장르중 2곡을 플레이. 3코인 : 3장르 선곡중 남은 나머지 장르 2곡을 마저 플레이 후, 원더 트레블러에 들어가 클로버를 플레이. 4코인 : 하-아-토 순으로 플레이. 해당곡 리스트는 [[http://bemaniwiki.com/index.php?REFLEC%20BEAT%20colette%2FPASTEL%20WONDER%20TRAVELER|여기를 참조하자.]] 찾기 귀찮은 분들을 위해 적당한 코스를 추천하자면 [[Honey Party]] - [[I'm so Happy]] - [[DRAGON KILLER]] 순으로 플레이하면 해금이 된다. 5코인 : 2코인째에서 플레이한 전설곡을 제외한 나머지 3개의 전설곡을 플레이. 미디움도 상관없다. 이렇게 하면 시계가 완성됨과 동시에 4곡 모두 트레블러에 상주하게 된다. 이제 조커를 위해 코인을 열심히 넣으면 된다(...)--조커 잡는데 코인이 배로 들어가는게 함정-- 주의할 점이 있는데, 조커는 MEDIUM 이하의 난이도에서 100%(올 저스트)를 내도 결코 한 번에 쓰러트릴 수 없다. 그러므로 HARD에서 한번에 격파할 수 없다면 2회차를 뛸 생각을 해두는 것이 좋다. ~~그 전에 HARD를 선택해 놓고 버틸 수는 있을까~~ 여담이지만, 파스텔 원더 트래블러에서 곡을 선곡할 경우 시작 전 나오는 음성은 "Are You Ready?"가 아닌, [[리플렉 비트|초대작]]과 같은 '''"BATTLE START"'''이다. 2014년 5월 9일부터 스타트 대시 캠페인이 진행됨에 따라 난이도를 불문하고 각 보스를 격파하면 [[리플렉 비트 그루빈]]의 신곡이 해금되어 [[리플렉 비트 콜레트]]에서도 선행 플레이 가능할 수 있게 되며,[* 캠페인 실시 이전에 이미 격파했다면 1회 플레이하는 것으로 해당 곡이 해금된다.] 캠페인 진행을 위해 파스텔 원더 트래블러에서 조커를 제외한 각 보스들이 무조건 순차적으로 출현할 예정이다. || 문양 || 보스명 || 곡명 || 작곡가 || 공개예정일 || || ♠ || CECIL SPADE || 待宵草 || CULTVOICE by S.S.D.PRODUCTS || 5월 9일 || || {{{#red ♥}}} || ROSE HEART || Get Over! || DJ NAGAI feat. Ayumi Nomiya || 5월 9일 || || ♣ || FRANCIS CLUB || Northern Lights || Hommarju || 5월 16일 || || {{{#red ◆}}} || LILY DIA || I LOVE SAKURA || CHERRY BLOSSOMS (ASAKI & wac) || 5월 16일 || || ★ || JOKER || アヴァロンの丘 || 猫叉Master || 5월 23일 || === 특수 해금곡 === 상기한 해금방법중 어디에도 포함되지 않는 해금곡들이다. * [[Going My Way]] - kors k 명의의 곡, Sota Fujimori 명의의 곡을 차례대로 플레이하면 출현. 이것을 5세트 연속하면 해금된다.[* 명의 자체에 kors k 또는 Sota Fujimori만 명기되어 있으면 해당. 저 명의가 아닌 다른 명의, 이를테면 [[The Sampling Paradise]]의 Mamonis나 [[\[E\]]]의 dj MAX STEROID는 해당되지 않는다. 또한 [[Bad Maniacs]]와 [[Juicy]], [[LOVE IS TIMING]]은 명의에 kors k, Sota Fujimori가 표기되지만 해금조건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주의.] * [[UNLIMITED FIRE]]-Try to Sing Ver- - [[UNLIMITED FIRE]], [[Diamond Dust]]-Try to Sing Ver- 를 연속으로 플레이하면 해금된다. * [[Vermilion]] - 2013년 4월 24일 업데이트 곡인 [[朧(BEMANI 시리즈)|朧]], [[SILVER☆DREAM]], [[Apocalypse 〜dirge of swans〜|Apocalypse]]를 1회씩 플레이 * [[The Least 100sec]] - 2013년 4월 24일 업데이트 곡인 [[朧(BEMANI 시리즈)|朧]], [[SILVER☆DREAM]], [[Apocalypse 〜dirge of swans〜|Apocalypse]], [[Vermilion]]를 2회씩 플레이 * [[Cosmic Hurricane]]-Try to Sing Ver- - [[Diamond Dust]]-Try to Sing Ver- [[UNLIMITED FIRE]]-Try to Sing Ver- 를 연속으로 플레이하면 해금된다. * [[Water Horizon]] (BD Mix) - BLUE DRAGON를 먼저 선곡을 하고 다음 곡을 [[청룡]] 명의의 곡으로 플레이하면 해금된다. === 연동 해금곡 === 타 비마니 기종들과 연동이벤트를 하여 들어오는 곡들을 말한다. 아래의 각 항목들에 적혀있는 곡들은 해당하는 타 비마니 기종을 반드시 플레이해야 하거나, 플레이하여 빠르게 해금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다만 후자의 경우 리플렉 비트만 플레이하여 진행하면 돈이 매우 많이 든다. 2014년 5월 기준으로 연동이벤트들이 하나하나 종료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나 14일 종료된 [[Lincle Link]]는 장장 3년간 그 명맥을 이어왔기 때문에 종료 이후 몇몇 전역한 유저들의 반응은 "내 군생활보다 오래간 링클링크가 드디어 끝났다" (...) 자세한 사항은 위의 링클링크 항목이나 아래의 각 소항목들, 그리고 [[BEMANI 시리즈/연동 이벤트]] 참조. ==== [[Lincle Link]]'''([[비트매니아 IIDX]] → [[리플렉 비트 시리즈]])''' ==== 이 항목의 곡들은 2014년 5월 14일에 이벤트가 종료되면서 '''통상 해금곡'''으로 전환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Lincle Link]]의 제 5탄 항목을 참조. ||<-4> '''IIDX 글래스''' || || 레벨 5 || [[The Sampling Paradise]] || || ||<-3> ▼ || || 레벨 25 || [[waxing and wanding]] || || ||<-3> ▼ || || 레벨 50 || [[EXUSIA]] || || ||<-3> ▼ || || 레벨 75 || [[灼熱Beach Side Bunny]] || || ||<-3> ▼ || || 레벨 99 || [[天空の夜明け]] || ||<-4> (파스텔군 쿠프로,IIDX 글래스 모두 레벨 99 달성시) || ||<-4> [[HAERETICUS]] || ==== 파스텔군과 스미스씨의 RUN RUN 마라톤!!'''([[유비트 시리즈]] → [[리플렉 비트 시리즈]])''' ==== 이 항목의 곡들은 2014년 3월 3일에 이벤트가 종료되어 한동안 소식이 없다가, 2014년 6월 4일 [[리플렉 비트 그루빈]]으로 시리즈가 넘어오면서 완주곡 4곡은 리플레로 구매할 수 있게 되었으며, 그 외의 곡은 전부 통상해금으로 풀렸다. 자세한 사항은 [[파스텔군과 스미스씨의 RUNRUN 마라톤!|항목]] 참조 ||<-4> '''스미스씨 선수''' || ||<|6> 1회차 || 5 바퀴 || [[spring pony]] || || ||<-3> ▼ || || 15 바퀴 || [[Good-bye Chalon]] || || ||<-3> ▼ || || 25 바퀴 || [[アルストロメリア]] || ||<-4> ▼ || ||<-4> (파스텔군, 스미스씨 모두 40바퀴 완주 시) || ||<-4> [[anemone]][br]+[br]제 2 회 대회 시작 || ||<|6> 2회차 || 10 바퀴 || [[True Blue]] || || ||<-3> ▼ || || 20 바퀴 || [[The Wind of Gold]] || || ||<-3> ▼ || || 35 바퀴 || [[†渚の小悪魔ラヴリィ~レイディオ†]] || ||<-4> ▼ || ||<-4> (파스텔군, 스미스씨 모두 50바퀴 완주 시) || ||<-4> [[ZZ(BEMANI 시리즈)|ZZ]][br]+[br]제 3 회 대회 시작 || ||<|6> 3회차 || 15 바퀴 || [[Arousing]] || || ||<-3> ▼ || || 30 바퀴 || [[Mirage]] || || ||<-3> ▼ || || 45 바퀴 || [[アストライアの双皿]] || ||<-4> ▼ || ||<-4> (파스텔군, 스미스씨 모두 60바퀴 완주 시) || ||<-4> [[chaplet]] || ||<|2> Mission DELTA || 유비트 4회 플레이 || [[JOMANDA]] || ||<-4> ▼ || ||<-4> (파스텔군, 스미스씨 모두 40바퀴 완주 시) || ||<-4> [[Lisa-RICCIA]] || ==== FLOOR INFECTION'''([[사운드 볼텍스]] → [[리플렉 비트 시리즈]])''' ==== 자세한 내용은 [[FLOOR INFECTION|항목]] 참고 ||<-2> '''FLOOR INFECTION[br]제1탄 : [[리플렉 비트 콜레트]] Spring''' || || Lv. || 악곡 || || 1 || [[TRIGGER★HAPPY]][br][[P*Light]] || || 2 || [[香港功夫大旋風]][br]Daisuke Ohnuma || || 3 || [[Max Burning!!]][br]BlackY || ||<-2> '''FLOOR INFECTION[br]제2탄 : [[리플렉 비트 콜레트]] Summer''' || || Lv. || 악곡 || || 1 || [[éclair au chocolat]][br]kamome sano || || 2 || [[Onigo]][br][[Hommarju]] || || 3 || [[PANIC HOLIC]][br]C-Show || ||<-2> '''FLOOR INFECTION[br]제6탄 : [[리플렉 비트 콜레트]] Summer''' || || Lv. || 악곡 || || 1 || [[Smile(BEMANI 시리즈)|Smile]][br][[Hommarju]] feat.[[미타니 나나|実谷なな]] || || 2 || [[Sakura Reflection]][br](P*Light Slayer Remix)[br][[P*Light]] || || 3 || [[Qubism]][br]Hate vs Brilliance || ==== 쿠프로·미미냐미·파스텔군의 다함께 우주전쟁!!'''([[비트매니아 IIDX]],[[팝픈뮤직]] → [[리플렉 비트 시리즈]])''' ==== 아래의 표 우측의 곡들은 정해진 색깔의 체력 게이지를 다 깎아야 해금되므로 표의 좌측에 색깔과 넘버링을 같이 표기하였다. 자세한 것은 [[쿠프로·미미냐미·파스텔군의 다함께 우주전쟁!!|항목]] 참조. || '''해금 조건''' || '''곡명''' || ||<-2> '''라피카(메카 형태)''' || || Gauge 1,분홍색 || [[Devilz Staircase]][br][[OSTER project]] || || Gauge 3,주황색 || [[Proof of the existence]][br][[猫叉Master]]+ || || Gauge 5,노란색 || [[perditus†paradisus]][br][[dj TAKA|icono]][[wac|clasm]] || || Gauge 7,'''빨간색''' || [[キャトられ❤恋はモ~モク]][br][[Prim|ギュ~っとしたい❤Prim]] || ||<-2> '''텐트 칸트''' || || Gauge 2,녹색 || [[ZETA ~素数の世界と超越者~]][br][[TOMOSUKE|Zektbach]] || || Gauge 4,보라색 || [[コドモライブ]][br][[onoken]] feat. asami || || Gauge 6,하늘색 || [[少年は空を辿る]][br][[PON|Power Of Nature]] || || Gauge 7,'''빨간색''' || [[シュレーディンガーの猫]][br][[TOMOSUKE|Cait Sith]] || ||<-2> ↓ || ||<-2> '''{{{#white 검은 메카 파스텔군,텐트 칸트,라피카(메카 형태) 전부 격파 시 등장}}}''' || || '''무지개 색''' || [[Zirkfied]][br][[dj TAKA|icono]][[wac|clasm]] || ==== [[열투! BEMANI 스타디움]] ==== ||<-3> '''{{{#red 열투! BEMANI 스타디움}}}''' || ||<-3> 전반전 || || 대회명 ||<-2> 곡명 || || 星を掴め!ど根性野球トーナメント[br]별을 잡아라! 근성 야구 토너먼트[br]VS[[미래 타악기]]팀 || [[Stella Sinistra]][br][[Akhuta]] Philharmonic Orchestra..[* [[미라이다갓키]]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아쿠타는 [[무라이 세이야]]와 함께 미래 타악기의 사운드 디렉터를 맡고 있으며 미래 타악기 카드쪽으로 나온 U1-ASAMi는 해당 작품의 프로듀서이다.] || [[파일:attachment/bemani_stellasinistra.jpg|width=100]] || || 青春剛速球野球大会[br]청춘 강속구 야구 대회[br]VS[[유비트 소서]]팀 || [[マインド・ゲーム]][br][[96]] with [[숏쵸|メカショッチョー]] || [[파일:attachment/bemani_mindgame.jpg|width=100]] || || 運命の野球リーグ[br]운명의 야구 리그[br]VS[[댄스 댄스 레볼루션]]팀 || [[PUNISHER]][br][[TAG(작곡가)|TAG]]×[[PON]] || [[파일:attachment/bemani_punisher.jpg|width=100]] || || 荒野の野球選手権[br]황야의 야구 선수권[br]VS[[사운드 볼텍스 II -인피니트 인펙션-|사운드 볼텍스]]팀 || [[HYENA]][br][[Hommarju]] || [[파일:attachment/bemani_hyena.jpg|width=100]] || ||<-3> 2013년 12월 25일 추가 대회 || || 대회명 ||<-2> 곡명 || || 叙事詩杯[br]서사시 컵[br]VS[[팝픈뮤직 Sunny Park]]팀 || [[The Sealer ~ア・ミリアとミリアの民~]][br][[Zektbach]] || [[파일:attachment/bemani_sealer.jpg|width=100]] || ||<-3> 2014년 1월 20일 추가 대회 || || 裏マドンナ野球選手権[br]뒷모습 마돈나 야구 선수권[br]VS[[GITADORA]] 팀/[[리플렉 비트 콜레트]] 팀 || [[フレッフレー♪熱血チアガール]][br][[Prim|裏マドンナだ!Primちゃん]] || [[파일:attachment/bemani_cheergirl.jpg|width=100]] || ||<-3> 후반전 || || 대회명 || 대상 기종 ||<-2> 곡명 || || 大監督杯[br]대감독 배[br]VS[[GITADORA]] 팀 || [[野球の遊び方 そしてその歴史 ~決定版~]][br][[あさき|あさき大監督]] || [[파일:attachment/asakigamdok.jpg|width=100]] || || デッドボーラークラシック[br]데드볼러 클래식[br]VS[[beatmania IIDX]]팀 || [[デッドボヲルdeホームラン]][br][[猫叉Master]]β2 || [[파일:attachment/bemani_deadball.jpg|width=100]] || || ダイナミック野球選手権[br]다이나믹 야구 선수권[br]VS[[팝픈뮤직 Sunny Park]]팀/[[beatmania IIDX]]팀 || [[轟け!恋のビーンボール!!]][br][[wac|ダイナミック野球兄弟]] v.s.[[L.E.D.|クロスファイヤー]][[Prim]] || [[파일:attachment/bemani_beanball.jpg|width=100]] || || ウィザウチュナイカップ[br]위자우츄나이 컵[br]VS[[댄스 댄스 레볼루션]]팀/[[유비트 소서]]팀 || [[Squeeze]][br][[VENUS]] feat. [[이즈미 무츠히코|Mutsuhiko Izumi]] || [[파일:attachment/venus_squeeze.jpg|width=100]] || || リズミンカップ[br]리드민 컵[br]VS[[팝픈뮤직 Sunny Park]]팀[* 팝픈 리드민에서 해당 곡을 플레이할 시 특별 대회가 출현함으로서 선행 해금할 수 있다. 팝픈 리드민이 없는 유저라도 이후 전체 공개 대회로 해금 가능.] || [[Engraved Mark]][br][[Ryu☆]] ∞ [[Des-ROW]] || [[파일:attachment/engravedmark.jpg|width=100]] || ||<-4> 2014년 1월 31일 추가 대회 || || エヴァンスシリーズ[br]에반스 시리즈[br]VS[[유비트 소서]] 팀/[[리플렉 비트 콜레트]]팀 || [[Evans]][br][[DJ YOSHITAKA]] || [[파일:attachment/evans.png|width=100]] || ||<-4> 2014년 2월 3일 추가 대회 || || 桜嵐杯[br]벚꽃바람배[br]VS[[댄스 댄스 레볼루션]] 팀/[[리플렉 비트 콜레트]]팀 || [[sakura storm]][br][[Ryu☆]] || [[파일:attachment/열투! BEMANI 스타디움/sakurastorm.jpg|width=100]] || ||<-4> 사상 최강의 대회 || || ベストナイン決定戦[* 후반전 곡을 전부 해금시 본 대회가 출현함.][br]베스트 나인 결정전[br]VS[[리플렉 비트 콜레트]]팀/[[beatmania IIDX]]팀 || [[IX]][br][[dj TAKA]] VS [[DJ TOTTO]] feat.藍 || [[파일:external/p.eagate.573.jp/SvOHeGi0qL.jpg|width=100]] || === 전란의 Verdet === [[파일:external/p.eagate.573.jp/ivnt_verdet.jpg]] * [[http://p.eagate.573.jp/game/reflec/verdet/p/index.html|코나미 페이지]] * 스토리 번역 * 1장: [[http://kippie408.tistory.com/10|램프의 방]] [[http://kippie408.tistory.com/11|백작의 수기]][* 갈겨진 부분을 엄청 자세히 보면 '''[[주작|朱雀]]'''라고 적힌 것을 볼 수 있다. 최종장 공개 후 해당 페이지는 다른 페이지와 같은 완전한 모습으로 바뀌었다. 내용은 예상대로 주작.] * [[http://kippie408.tistory.com/12|2장]] * [[http://kippie408.tistory.com/13|최종장]] 2013년 9월 30일 오후 3시부터 시작된 해금 이벤트. Verdet는 베르데(ヴェルデ)라고 읽는다. 페이지에는 5개의 램프와 책이 있고, 책의 각 페이지를 클릭하면 아래 양피지에 그 내용이 나타난다. 해당 조건을 모두 충족하면 이벤트 홈페이지의 초상화가 선명해지면서 '해방하라'(解放せよ)라는 글씨가 나오는데 이걸 클릭하면 해당 음악을 획득한다. 사족이지만 [[Anisakis(비마니 시리즈)|아니사키스]]의 작곡 코멘트로 미루어 봐서 [[DJ YOSHITAKA]]가 밝히려는 이야기가 이것인 듯하다. 2014년 6월 4일 종료. ||<-4> '''{{{+1 제 1 장}}}''' || || '''페이지''' || '''램프''' || '''힌트''' || '''조건''' || || 1 || 파란색 (책 오른쪽) || '''{{{#deepskyblue 「7」 「주문」}}}'''[* 이건 위 번역본 기준이고, 원문에는 오더(オーダー)로 나온다.] || [[../오더샵|오더]] 20번 '레벨편 ☆7'을 클리어 || || 2 || 보라색 (가장 왼쪽) || '''{{{#c71585 「다음 날 아침」}}}''' || 오전 7시~정오 사이에 3크레딧 플레이 || || 3 || 초록색 (책 왼쪽) || '''{{{#green 「다섯 명의 악사」}}}''' || [[히나비타♪]] 곡[* [[恋とキングコング]], [[イブの時代っ!]], [[めうめうぺったんたん!!]], [[とってもとっても、ありがとう。]], [[虚空と光明のディスクール]], [[凛として咲く花の如く]] ~ひなビタ♪edition~, [[ちくわパフェだよ☆CKP]], [[カタルシスの月]]. 아티스트명이 ひなビタ♪로 똑같기 때문에 아티스트 정렬에서 は행으로 찾으면 쉽다.]을 5회 플레이[* [[Road to SPADA]]의 P처럼 중복곡도 인정된다.][* 7레벨 오더를 선택한 상태에서 레벨 7인 [[ちくわパフェだよ☆CKP]] 미디엄, [[めうめうぺったんたん!!]] 미디엄이나 [[とってもとっても、ありがとう。]] 하드를 클리어하면 1번 조건도 충족 가능하다. ちくわパフェだよ☆CKP의 경우 최종장의 3번 조건도 충족 가능.] || || 4 || 주황색 (가장 오른쪽) || '''{{{#darkorange 「숨어 있던」 「작은 동물」}}}''' || [[http://p.eagate.573.jp/game/reflec/colette/p/index.html|리플렉 비트 콜레트 공식 홈페이지]] 타이틀 오른쪽의 [[파스텔군]]을 클릭[* 마우스를 가져가면 복장이 바뀌는데, 이때 클릭하면 [[파일:external/p.eagate.573.jp/pastel_mitsukatta.jpg]] 이런 그림이 나타난다. 오른쪽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면 램프 점등.] || || 5[*V 1~4페이지의 조건을 모두 클리어해야 출현한다.] || 큰 램프 (초상화 왼쪽) || '''{{{#red 「두 사람은, 그야말로 영웅」}}}''' || [[../오더샵|오더]] 139번-올시즌기준 '두 명의 영웅'[* 조건은 FINAL ROUND에서 HARD 채보 매칭(레벨 무관), 오더 자체의 보상은 스탬프 티켓 3개.]을 클리어 || ||<-2> 해금곡 ||<-2> '''[[VANESSA#s-3|双璧のVANESSA]]''' || ||<-4> '''{{{+1 제 2 장}}}''' || || '''페이지''' || '''램프''' || '''힌트''' || '''조건''' || || 1 || 없음 || 없음 || 없음 || || 2 || 주황색 (가장 오른쪽) || '''{{{#darkorange 「집안은, 아무리 조사해 보아도」}}}''' || 위에 상술한 공식 홈페이지의 [[http://p.eagate.573.jp/game/reflec/colette/p/profile/index.html|플레이어 프로필 페이지]]에서 플레이어 아이콘이 바뀌어 있는 것[* 원래 아이콘과 상관없이 백작부인 클라우디아 아이콘이 나온다. [[https://twitter.com/flaty_/status/433938090067906562/photo/1|#]]]을 클릭 || ||<|2> 3 || 파란색 (책 오른쪽) || '''{{{#deepskyblue 「다섯」 「실패는 용납하지 않는다」}}}''' || 레벨 상관없이 풀콤보 5번 성공 || || 초록색 (책 왼쪽) || '''{{{#green 「최후」「백작의 표정」}}}''' || FINAL ROUND에서 [[Anisakis-somatic mutation type "Forza"-]]를 플레이[* 난이도는 상관 없다.] || || 4 || 보라색 (가장 왼쪽) || '''{{{#c71585 「추천」 「암살자」}}}'''[* 원문은 [[어새신]]('''ア'''サシン)] || 오더 38번 '아티스트 'あ'행 추천' 클리어 || || 5[*V] || 큰 램프 (초상화 왼쪽) || '''{{{#red 「하얀 힘」}}}''' || [[../오더샵|오더]] 140번-올시즌기준 '하얀 힘'[* 조건은 FINAL ROUND에서 백(白), 혹은 [[흰색]]과 연관되는 곡 플레이. 오더 자체의 보상은 스탬프 티켓 3개. [[ペリーでぇす!]]의 해금조건과 비슷하지만 이쪽은 제목이나 작곡가 명의에 '白'자가 들어가지 않아도 곡의 소재가 흰색과 관련되어 있다면 조건에 해당된다. 현재까지 알려진 대상곡은 [[純白レジエンド -冬-|純'''白'''レジエンド -冬-]], [[WHITE BREATH|'''WHITE''' BREATH]], [[Apocalypse 〜dirge of swans〜|Apocalypse 〜dirge of '''swan'''s〜]], [[snow prism|'''snow''' prism]], [[milky ice bear|'''milky''' ice bear]], [[梅雪夜|梅'''雪'''夜]], [[お米の美味しい炊き方|'''お米'''の美味しい炊き方、そして'''お米'''を食べることによるその効果。]](......), [[Chinese Snowy Dance|Chinese '''Snowy''' Dance]], [[回レ!雪月花|回レ!'''雪'''月花]]], 을 클리어 || ||<-2> 해금곡 ||<-2> '''[[Vanity shadow]]''' || ||<-4> '''{{{+1 최 종 장}}}''' || || '''페이지''' || '''램프''' || '''힌트''' || '''조건''' || || 1 || 없음 || 없음 || 없음 || || 2 || 보라색 (가장 왼쪽) || '''{{{#c71585 「마지막」「여신」}}}''' || FINAL ROUND에서 아티스트 명의가 [[VENUS]]인 곡을 플레이 || ||<|2> 3 || 파란색 (책 오른쪽) || '''{{{#deepskyblue 「별」}}}''' || 곡명에 ☆[* LUCKY'''☆'''STAR, [[七轉八起☆至上主義!|七轉八起'''☆'''至上主義!]], [[KOROBUSHKA (Ryu☆Remix)|KOROBUSHKA (Ryu'''☆'''Remix)]], [[クシコス☆ポスト・青春SKAパンクミックス!|クシコス'''☆'''ポスト・青春SKAパンクミックス!]], [[キラキラ☆ステーション|キラキラ'''☆'''ステーション]], [[Mermaid girl (Ryu☆Remix)|Mermaid girl (Ryu'''☆'''Remix)]], [[STARS (Ryu☆Remix RRver.)|STARS (Ryu'''☆'''Remix RRver.)]], [[Starry☆night|Starry'''☆'''night]], [[恋する☆宇宙戦争っ!!|恋する'''☆'''宇宙戦争っ!!]], [[侵略ノススメ☆|侵略ノススメ'''☆''']], [[SILVER☆DREAM|SILVER'''☆'''DREAM]], [[ロボット☆ライフ|ロボット'''☆'''ライフ]], [[Chu☆Chu☆Tonight|Chu'''☆'''Chu'''☆'''Tonight]], [[ちくわパフェだよ☆CKP|ちくわパフェだよ'''☆'''CKP]]], ★[* [[Pharaoh★Love|Pharaoh'''★'''Love]], [[TRIGGER★HAPPY|TRIGGER'''★'''HAPPY]], [[ルカルカ★ナイトフィーバー|ルカルカ'''★'''ナイトフィーバー]] 7자 위에 별이 올라간 [[777(비마니 시리즈)|[ruby(777,ruby=★★★)]]]도 가능하다.] 기호가 포함된 곡을 5회 플레이[* 기호가 아닌 star, 星 등 단어는 해당되지 않는다.] || || 초록색 (책 왼쪽) || '''{{{#green 「집사」「이름이 뭐였더라」「그」}}}''' || 아티스트 명의가 [[Qrispy Joybox|'''Qris'''py Joybox]][* 1장 1페이지에 나오는 집사 이름이 크리스다.]인 곡을 5회 플레이[* [[MAX MAXIMIZER]] 명의의 곡은 해당되지 않는다. 반대로 [[anemone]]는 합작곡이지만 해당된다.] || || 4 || 주황색(가장 오른쪽) || '''{{{#darkorange 「대치」}}}''' || [[../오더샵|오더]] 35번 '매칭편 누구라도 함께!'를 클리어 || || 5[*V] || 큰 램프 (초상화 왼쪽) || '''{{{#red 「내 이름은 주작. 하얀 힘을 받아서 화신이 풀려 버렸지」}}}''' || [[../오더샵|오더]] 141번-올시즌기준 '주작의 모습' [* 조건은 FINAL ROUND에서 [[주작]], 혹은 [[빨간색]]과 연관되는 곡을 '''매칭''' 플레이. [[Vanity shadow]]의 해금조건과 마찬가지로 제목이나 작곡가 명의에 '紅'자가 들어가지 않아도 곡의 소재가 빨간색과 관련되어 있다면 조건에 해당된다. 현재까지 알려진 대상곡은 [[Anisakis-somatic mutation type "Forza"-]](작곡가 명의가 '''[[DJ YOSHITAKA|朱雀]]'''), [[Red Goose|'''Red''' Goose]], [[UNLIMITED FIRE|UNLIMITED '''FIRE''']], [[UNLIMITED FIRE#s-2.2|UNLIMITED '''FIRE''' -Try To Sing Ver.-]], [[紅焔|'''紅焔''']], [[愛は不死鳥の様に|愛は'''不死鳥'''の様に]], [[Playing With Fire|Playing With '''Fire''']], [[リリーゼと炎龍レーヴァテイン|リリーゼと'''炎'''龍レーヴァテイン]]. 단 [[Last Memento -花火のない夏-|Last Memento -花'''火'''のない夏-]], '''[[Vermilion]]'''은 안된다고 한다.]을 클리어 || || 6[* 1~4페이지 조건을 충족하기 전까지는 '''6페이지의 존재가 드러나지 않는다.'''] || 없음 || 없음 || 없음 || ||<-2> 해금곡 ||<-2> '''[[終焔のClaudia]]''' || == [[../오더샵|오더샵]] == 항목 참조 [[분류:리플렉 비트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