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X Corp. CEO)] ---- ||<-2> '''{{{+1 린다 야카리노}}}[br]Linda Yaccarino'''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4B283233-2A3C-4884-8D11-92508F306A23.webp|width=100%]]}}}|| || '''본명''' ||린다 야카리노 (Linda Yaccarino) || ||<|2> '''출생''' ||[[1963년]] ([age(1963-06-28)]세) || ||[[미국]] [[뉴욕주]] [[롱 아일랜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직업''' ||[[기업인]] || || '''현직''' ||[[X Corp.]] {{{-2 (CEO)}}}[br]AdvertisingCouncil[* [[미국]]의 [[공익광고]] 관련 [[비영리단체]]이다.] {{{-2 (이사회 의장)}}} || || '''학력'''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2 (통신학 / 학사)}}} || || '''링크'''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lindayaX)] || [목차] [clearfix] == 개요 == 린다 야카리노는 [[미국]]의 [[기업인]]이다. 2023년부터 [[X Corp.]]의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 경력 == [[워너 브라더스|터너 엔터테인먼트]]에서 15년간 근무하며 COO로 활동한 바 있으며, [[2011년]]부터는 미국의 미디어 기업 [[NBC유니버설]]에서 광고 부문을 총괄하면서 [[피콕(스트리밍)|피콕]] 런칭에 공헌했다. 2023년 마이애미 마케팅 컨퍼런스에서 진행한 일론 머스크와의 키노트 인터뷰 내용에 따르면 광고를 다루는 방식에 관하여 그와 견해적 차이를 보이고 있다. 린다는 플랫폼 내의 광고주들의 영향력을 긍정하는 편인 반면, 일론은 광고주들의 입김이 컨텐츠 창작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며 과대포장된 광고를 반대했고 컨텐츠와 연관된 광고 도입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이후 [[2023년]] [[5월 12일]]에 [[NBC(미국 방송)|NBC]]에서 사임한 뒤 [[일론 머스크]]에 의해 트위터 신임 대표이사로 임명되었다. 2023년 6월 6일부터 CEO 업무를 시작했다. 6월 22일, 그녀의 주도 하에 [[트위터]]가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과의 [[클라우드 컴퓨팅]] 계약을 갱신했다는 보도가 올라왔다. 여기에 더해 구글은 트위터 내 광고비 지출을 늘리는 대신, 트위터 내 [[데이터]] 접근권을 강화하는 [[API]] 거래가 성사되었다고 한다. 거듭하여 강력해지고 있는 [[텐서플로우]]와 [[TPU]] 자원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트위터는 2018년부터 구글에 연간 2억 달러 이상의 클라우드 비용을 지급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23년 7월 트위터 API 사용 제한 사태]]가 터졌음에도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아 비판받고 있다. 사건 발생 후 4일이 지나서야 공지를 올리긴 했으나 전 CEO [[일론 머스크]]의 계정을 통해 나왔던 이야기를 반복하는 것에 불과했으며, 나머지 내용마저도 두루뭉술한 자기변호에 불과하여 많은 이용자로부터 불만을 사고 있다. 이 때문에 린다가 [[바지사장|CEO직에 임명된 것은 명목상의 인사일 뿐]] 모든 실권은 아직 일론 머스크에게 있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사태 직후 [[메타(기업)|메타]]에서 트위터를 저격한 텍스트 기반의 SNS [[스레드(SNS)|스레드]]를 출시하자, 그에 맞서듯 [[https://twitter.com/lindayacc/status/1676965566597464065|"트위터에서는 모두의 목소리가 중요하다. 우리는 종종 모방되지만, 트위터 커뮤니티는 그 누구도 따라할 수 없다"]]라는 트윗을 올렸다. 다만 전술한 API 사용 제한 사태의 여파가 다 해결되지도 않은 상태인데다, 머스크의 인수 이후 [[일론 머스크/비판 및 논란#s-2.2.3|인증 마크 보유 유저에게 대놓고 특혜를 주는 등]] [[Pay to Win]] 정책을 펼쳤던 트위터가 이제와서 '모두의 목소리가 중요하다'고 할 자격이 있냐며 비판의 역풍을 거세게 맞고 있다. 9월 28일 Code 2023 컨퍼런스에 참여하며 [[CNBC]]의 기자 줄리아 부어스튼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그녀의 인터뷰에 한 시간 앞서 [[트위터(기업)|트위터]] 임원 출신의 요엘 로스가 트위터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고 그녀에게 조언을 해주며 인터뷰를 진행했는데, 조언을 듣고 언짢았던 탓인지 집중을 못하고 횡설수설 화법을 시종일관 보이며 비판받았다.[[https://youtu.be/hYymRU-bfpQ?si=JDb2uFRhLxMgQ7tN|#]] [[파일:1F1597E1-6C17-4E59-82AE-266099717484.jpg]] 또한 인터뷰 도중 휴대폰 홈 화면이 노출되었는데, X는 온데간데없고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G메일]], [[페이스타임]] 등 타사 앱만 가득한 모습을 보여 경영 의도에 의구심이 든다는 지적이 나왔다. [[http://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89562|#]] == 기타 == * [[세계경제포럼]]의 간부이다. [[2018년]]에는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대통령]]에 의해 지명되어 PCSFN이라는 [[미국 연방정부]] 산하 생활체육 기관에서 활동한 바 있다. * 만 명 이하였던 트위터 팔로워 수가 대표이사 선임이 확정 된 이후, 일주일 만에 40만 명을 돌파했다. [[분류:1963년 출생]][[분류:롱아일랜드 출신 인물]][[분류:미국의 여성 기업인]][[분류: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출신]][[분류:이탈리아계 미국인]][[분류:X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