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게임의 일반적인 공격 기술 == [[마나]] 번, 즉 '마나를 태운다'는 말 대로 적의 마나를 감소시켜 버린다. 쉽게 말해 라이프가 아닌 마나에 데미지를 주는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매체에서 마나를 태워버린 반동으로 바이탈리티나 신체에도 데미지가 가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대개 마나가 급격히 소모되어 발생된 에너지가 신체에 해를 입힌다는 설정을 차용한다. 컴퓨터가 조종하는 [[몹]]을 상대로는 효과가 없는 경우가 많고, 유저끼리의 PvP 상황에서는 특성상 강력한 위력을 발휘하기에 [[플레이어]]보다는 [[몬스터]]에게 주어 난이도를 조절하는 경우가 많다. [[던전앤파이터]]와 같이 통상행동을 제외한 모든 스킬이 MP를 잡아먹는다면 굉장히 짜증나는 패턴. 물론 몹한테도 아예 효과가 없는 건 아니라, [[제한 플레이]]나 [[야리코미]] 할 때 마나 거덜내서 고자 만들기, 이벤트 꼬아서 버그 일으키기 등 색다른 방식으로 쓸 수도 있다(...) 또 [[여신전생 시리즈]]처럼 마나가 빡빡한 게임은 잡몹을 좋은 마나 공급원으로 만들어준다. [[악마사냥꾼(워크래프트 시리즈)|데몬 헌터]]의 이몰레이션, [[나가 바다 마녀|나가 씨 위치]]의 마나 실드 같이 자기가 MP로 데미지를 대신 받을 것을 선택하거나 이몰레이션과 같이 스스로 마나를 소진시키는 경우에는 마나번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극히 드문 경우이긴 하나, 마법사의 필살기로 나오기도 한다. 이때는 앞의 경우가 아니라 '[[마단테|자신의 모든 마나를 소진해서 일격을 먹이는 기술]]'이 된다. 예로 [[달빛조각사]]에서의 마법인 마나번은 두번째 개념이다. === 마나번의 예 === 대충 이렇게 3가지 유형이 있다. 대부분의 매체에서 무속성이며, 위력은 높은 게임도 있고 낮은 게임도 있고, 천차만별. * 1 : 마나만 증발시킨다. (ex: [[라스필]]) * 2 : 마나를 태우면서 그만큼 HP를 깐다. (ex : [[암흑 집정관#s-3.3.1|피드백]], [[기원탄]]) * 3 : 마나를 빨아먹는다. (ex : [[아스필]]) * 2+3 : 마나와 HP 둘 다 빨아먹는다 (ex: [[흡마]]) * [[도타 2]]: 일반적으로 게임 내에서 마나번으로 취급되는 경우는 2에 해당한다. [[닉스 암살자]]의 마나 불태우기, [[항마사]]의 마나 분해, 분산의 검의 피드백. 이하는 마나번으로 취급되지는 않지만 이상 3번의 분류에 해당된다. [[라이온(도타 2)|라이온]]의 마나 흡수, [[악몽의 그림자]]의 악몽의 손아귀. [[퍼그나]]의 체력 흡수는 자신의 체력이 모두 차 있다면 빨아들인 체력을 마나로 전환하는 일종의 변이형 마나 흡수다. * [[던전 앤 파이터]] : [[소울 이터]]의 공격 패턴 * [[디아블로 2]] : 'Mana burn' 속성을 지닌 챔피언 및 유니크 몬스터[* 레이스, 스펙터 등에 붙는 Drain mana 속성이 있고, Mana burn 속성도 따로 있다. 둘 다 평타나 스킬 등 [[대미지]]를 입히는 행동에 마나 소진 기능까지 따라붙는데, 후자는 추가 데미지가 들어가는데다 마나를 아주 팍팍 말린다. 레이스, 버닝 소울 등이 챔피언/유니크면 당연히 '''둘 다 붙을 수도 있다.'''] * [[메이플스토리]] : [[아크메이지(불,독)]]의 [[아크메이지(불,독)/스킬#s-5.7|스킬]] 중 '마나 번' 스킬. 다만 대미지가 너무 낮아 SP 처리용 스킬이다. * [[삼국지 11]]: 특기 [[소탕]]과 [[위풍]][* 삼국지 11에서는 부대의 마나라 할 수 있는 기력을 사용해서 전법을 사용하는데 이 특기들을 가지고 있으면 적들의 기력을 깎아먹을 수 있다.] * [[스타크래프트]]: 1의 [[사이언스 베슬]]과 2의 [[유령(스타크래프트 시리즈)|유령]]이 사용하는 [[EMP]], 1의 [[암흑 집정관]] 및 2의 [[고위 기사]] 스킬인 [[환류(스타크래프트 시리즈)|환류]]. * [[여신전생 시리즈]]: [[흡마]] (마나 빨기) * [[엘소드]]: [[보이드 프린세스]]의 마나 인테이크. 자신 주위에 적들에게 약간의 경직을 주고 마나를 뺏어온다. 마나가 다떨어진 플레이어나 마나가 없는 몬스터에게도 적용된다. * [[워크래프트 3]]: [[나이트 엘프]]의 영웅 [[악마사냥꾼(워크래프트 시리즈)|데몬 헌터]], [[불타는 군단]]의 [[악마]] 유닛 [[지옥사냥개]] 등이 지닌 스킬 '마나 연소(Mana burn)'[* 이름이 이 항목과 똑같다. [[매직 더 개더링]] 등에서 먼저 사용되었던 바도 있고 디아블로 2에서 활용된 예도 있지만 이 단어를 일반적인 용례로 널리 퍼뜨린 것은 데몬 헌터가 사용하던 이 스킬의 영향이 크다.], [[휴먼]]의 영웅 [[혈법사|블러드 메이지]]의 스킬 사이펀 마나(마나 흡수), 유닛 [[주문파괴자|스펠 브레이커]]와 방어 건물 [[비전탑|아케인 타워]]의 패시브 스킬 피드백(일반 공격에 마나감소+추가데미지 효과), 나이트 엘프의 일꾼 [[위습(워크래프트 시리즈)|위습]]의 디토네이트(자폭하면서 마나감소+디스펠)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사제의 마나 연소,(+인간 사제의 역순환) 사냥꾼의 살무사 쐐기~~(삭제) 파멸 악마사냥꾼의 마나 파괴[* 명예 특성 스킬.] * [[하스스톤]]에서는 [[악마사냥꾼(하스스톤)|악마사냥꾼]] 직업이 추가되면서 [[악마사냥꾼(하스스톤)/카드일람/수습 악마사냥꾼#s-1.3|마나 연소]]로 구현되었다. 악마사냥꾼의 상징 중 하나지만 2021년 야생으로 보내진다는 게 함정. * [[월희]]: [[유미즈카 사츠키]]의 [[고유결계]]인 [[고갈정원]]. * [[죽은 마법사의 도시]]: [[죽은 마법사의 도시/첨단 장비|첨단장비]]의 하나로 나온다. 실위력에 비해 마나 소모가 큰 윈드 마법의 단점을 극대화시켜 약간의 미풍을 일으키는 데 주위의 마나를 전부 소모해버리는 원리의 전략병기. 다만 작중에서는 [[레이븐(죽은 마법사의 도시)|상대]]가 스스로 마나를 만들어서 소모하는 능력자였던 관계로 아무 의미 없었다. 대인용 마나번 발생장치 이레이저라는 것도 등장했다. * [[타르타로스 온라인]]: [[아엘로트]]의 마나번. 또 마력상쇄도 MP를 깎는 디버프를 거는 스킬이다. *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아스필]](마나 빨기)과 [[라스필]](순수 마나번). * [[판타지로망스]]: [[판타지로망스/협동던전|거대 워터 젤리]]의 빅 포그 스킬.[* 다른 서번트들의 마나번 스킬은 고정수치라 거의 의미가 없지만 거대 워터 젤리의 빅 포그는 마스터시 한번에 적 MP의 절반을 날려버린다.] * [[Warframe]]: 플레이어가 [[Warframe/피해 유형#s-7.4|자성 상태이상]]에 걸렸을 경우. == [[슈미드디바]]의 물 속성 배틀 매직 == [[파일:external/www.schmiddiva.co.kr/card_b_200046.jpg]] === 정보 === (2009년 12월 13일 기준) 종류 : 배틀매직 속성 : 물 등급 : Rare 카드종류 : 배틀매직 소비SP : 4 소환조건 : 4 덱사용제한 : 2장 사용시점 : 방 === 효과 === 적군 소울은 0이 되고 감소한 수치만큼 적군 유니트의 HP가 감소된다. === 활용법 === [[파이어배트]], [[광신도]]같은 AP가 많고 HP가 적은 유니트 카운터용. 그냥 날리고 안정적으로 공격보내는 용도로도 사용 가능. 물덱이 이거 2방 다 날리면, 진짜 무섭다. 당하면 정줄을 놓게되며 심신이 마비되고 구토가... 두 장만 덱에 넣으면 매우 강하고 생각보다 타이밍도 잘나온다! == [[매직 더 개더링]] == 과거에 있었던 룰. 각 단계를 넘어갈 때 쓰지 않은 마나가 마나 풀에 있으면 그 마나의 사용자에게 남은 마나 하나당 1점의 피해를 입히는 것이다. 물론 피해를 입은 뒤에 마나 풀은 비게 된다. 2009년 7월 [[Magic 2010 Core Set]] 출시 이후 마나번은 없어졌으며, 대신 단계마다 마나 풀에 있는 모든 마나를 비우기만 하는 것으로 바꾸었다. == 과거 [[마비노기]]에 있었던 마법 무기의 패널티 == 마비노기의 설정상으로 기본적으로 [[마비노기/장비/원드|원드]]의 마나와 몸 속의 마나가 공명하기 때문에 마법사가 중급 마법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또 이로 인해 달리면서 메디테이션을 할 수 있다는 설정이 있었다. 이를 반영해서 그 시절에는 원드를 들다가 다른 무기로 교체하면 마나가 증발해서 '''0으로 깎였다.''' 당연히 이는 자유로운 전투를 제약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그 당시의 마법사들은 어떻게든 그 페널티를 줄여보려고 발악을 했다. 예를 들어, [[아이스 스피어|아]][[블레이즈(마비노기)|블]] 콤보에서 "블"의 위력을 올리는 것은 타격용 원드인데 블레이즈에 쓸 마나를 남기기 위해서 인챈트를 바른 원드와 스왑을 하기도 했을 정도. 심지어는 그 당시의 원드 [[마비노기/개조|개조식]] 중에서는 원드의 마나번을 줄여주는 개조도 있었다. 또한 아이템 중에서 마나 증발을 일정량 감소 시켜주는 포션과 비슷한 아이템도 있었다. 이후에 [[마비노기/장비/스태프|스태프]]라는 마나번의 영향을 받지 않는 무기가 나오면서 어떻게든 상황은 나아지나 했지만, 오히려 그 스태프가 페널티가 심한 무기로 밝혀지면서 마법사들은 여전히 마나번에도 불구하고 원드를 활용했다. 이렇게 이어진 기나긴 마법사와 마나번의 싸움은 결국 2011년 9월 원드에서 마나번이 '''삭제'''되는 것으로 끝나게 되었다. 어떻게 보면 매직 더 개더링의 개편된 마나번 룰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분류:게임 용어]][[분류:슈미드디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