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91년 출생]][[분류:2009년 데뷔]][[분류:카스티야라만차 지방 출신 인물]][[분류:스페인의 축구선수]] [[분류:비야레알 CF/현역]] [include(틀:비야레알 CF/간략)] ||<-2> [[파일:p98961_t449_2021_1_003_000(21-22).png|width=100%]] || ||<-2> '''{{{#005187 비야레알 CF No. 14 }}}''' || ||<-2> '''{{{#ffe667 {{{+1 마누 트리게로스}}} [br] Manu Trigueros}}}''' || || '''{{{#005187 본명}}}''' ||마누엘 트리게로스 무뇨스 [br] Manuel Trigueros Muñoz || || '''{{{#005187 출생}}}''' ||[[1991년]] [[10월 17일]] ([age(1991-10-17)]세) [br] {{{-1 [[스페인]] 카스티야라만차지방 톨레도 주 탈라베라 데 라 레이나}}} || || '''{{{#005187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 || '''{{{#005187 신체 조건}}}''' ||[[키(신체)|키]] 178cm / [[체중]] 70kg || || '''{{{#005187 포지션}}}''' ||[[미드필더]][* 4-4-2 체제에서 미드필더 전 지역을 소화 가능하다. 또한 투톱에서의 [[세컨드 스트라이커]]나 한 칸 더 내린 [[공격형 미드필더]]에서도 뛸 수 있다. 주 포지션은 [[중앙 미드필더]].] || || '''{{{#005187 주발}}}''' ||오른발 (양발) || || '''{{{#005187 유소년 클럽}}}''' ||탈라베라 CF [br] [[FC 바르셀로나]] (2007~2008) [br] [[레알 무르시아 CF]] (2008~2010) || || '''{{{#005187 소속 클럽}}}''' ||[[레알 무르시아 CF]] B (2009~2010) [br] [[비야레알 CF]] C (2010~2011) [br] [[비야레알 CF]] B (2011~2012) [br] '''[[비야레알 CF]] (2012~ )''' || [목차] [clearfix] == 개요 == [[비야레알]] 소속 스페인의 축구선수. == 클럽 경력 == === [[비야레알 CF]] === 지역 축구팀에서 라 마시아를 거쳐 4부리그 무르시아 B팀에서 성인팀에 데뷔하였다. 이후 4부리그 비야레알 C팀으로 이적하였고 1군까지 콜업되어 [[라리가]]에서 활동하고 있다. 2015-16 시즌에는 주장 [[브루노 소리아노]]와 함께 [[4-4-2]]의 중앙 미드필더로 출전하면서 팀의 빌드업을 담당하는 동시에 두줄 수비의 중추적인 역할을 맡았으나 수준급의 활약을 선보인 브루노와 달리 공수양면에서 한 템포씩 늦는 패스와 움직임, 그리고 빌드업시 부족한 창의성으로 인해 다소 아쉬운 시즌을 보냈다. 2016-17 시즌 [[프란 에스크리바]] 감독 체제에서는 전술적으로 상당한 자유도를 부여받으면서 이전 시즌 [[마르셀리노]] 감독 체제와 비교하면 180도 바뀐 모습을 보이며 공수양면에서 좋은 활약을 펼쳤고 특히 공격적인 부분에서 기량이 만개하여 팀의 핵심으로 자리잡았다. 이러한 맹활약에 힘입어 시즌 종료 후 [[UEFA]]가 선정한 라리가 시즌의 스쿼드에 이름을 올렸다. 2017-18 시즌에는 파트너 브루노가 장기 부상을 당하면서 그의 대체자인 신예 [[로드리]]와 함께 팀의 중원을 책임졌고 경험이 부족한 로드리를 잘 도와주며 팀이 지난 시즌에 이어 다시 한 번 리그 5위로 [[UEFA 유로파 리그]] 티켓을 따내는 데 크게 공헌했다. 2018-19 시즌에는 왼쪽 측부인대 부상을 당해 3개월 가까이 결장하면서 많은 경기를 소화하지 못했고 부상의 여파인지 리그 정상급 활약을 펼친 이전 두 시즌에 비해 떨어지는 활약을 선보였다. 팀 또한 승격 후 최하위인 리그 14위로 마감했다. 2019-20 시즌에는 전방으로 뿌려주는 패스 외에 장점이 없는 키패스 원툴 플레이어로 전락해버렸고 따라서 [[산티 카솔라]], [[앙드레프랑크 잠보 앙귀사]], [[비센테 이보라]], [[모이 고메스]]와의 주전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지 못해 많은 출전 시간을 기록하지 못했다. 2020-21 시즌에는 이전 시즌들에 비해 측면에서 뛰는 비중이 늘어났으며 다시 팀의 주요한 선수로 자리매김했다. 측면과 중앙을 오고가는 전술적인 움직임과 팀내 도움 2위를 기록하는 등의 준수한 활약을 펼쳐 노란 잠수함의 리그 7위와 '''사상 첫 유로파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2021년 11월 11일에 비야레알과 2025년까지 재계약을 체결하였다. 2021-22 시즌에는 커리어 첫 리그 두 자릿수 공격 포인트(6골 4도움)을 기록했으나 좋은 스탯과 별개로 기복이 심한 경기력을 선보였다. 2022년 9월 9일에 치러진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조별리그 C조 1라운드 [[레흐 포즈난]]전에 선발 출전하면서 '''[[비야레알 CF]] 역대 최다 출전 기록을 경신했다.''' [[파일:Manuel Trigueros 426.jpg]] 이후 2022년 9월 17일에 치러진 2022-23시즌 라리가 6라운드 [[세비야 FC]]와의 경기 시작 전 이전 최다 출전 기록(425경기) 보유자인 브루노 소리아노가 신기록을 의미하는 숫자 '''426'''과 트리게로스의 이름이 프린팅된 기념 셔츠를 트리게로스에게 전달하는 작은 행사가 열렸다. == 플레이 스타일 == 가장 크게 돋보이는 것은 바로 '''양발 활용 능력'''. 롱패스는 왼발, 인사이드 패스는 오른발로 할 정도로 완벽에 가까운 양발 사용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양발 사용을 이용한 패스 능력이 좋다. 중앙 지역에서 커버 범위도 넓은 편이라 중원 싸움에 적극 가담해준다. 스페인 출신답게 발 온더볼 능력도 좋고, 스피드도 빨라서 윙어로도 뛸 수 있다. 공수밸런스가 잘 잡혀있는데, 이 점이 20-21 유로파리그 4강 아스날전에서 돋보였다. 또한 오프더볼 능력도 준수하고, 축구지능도 좋아서 다양한 역할 수행과 중앙으로의 박스 안 침투에 강점을 드러낸다. 볼운반 및 드리블도 상당한 수준에 속하며, 키패스 능력도 좋은 편이다. 공격 방향 설정 및 경기 조율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넓은 시야를 바탕으로 자신이 빌드업의 중심이 되어 경기를 풀어나가는 역량도 갖추고 있는 중앙 미드필더이다. 다만, 선수경력 초반에는 체력이 좋지 못해 주로 로테이션 자원으로 나왔으나 해가 지날수록 이 점이 보완되어 점점 주전으로 얼굴을 비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또한 활발한 커버를 하다 파울을 많이 범하는 편이다. 선수 자신의 패싱 능력 및 시야는 상당한 편이나 급한 마음에서 나오는 패스미스 역시 줄일 필요가 있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비야레알 C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