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마다가스카르의 대외관계)] [include(틀:코모로의 대외관계)] ||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width=100%]] || [[파일:코모로 국기.svg|width=100%]] || || [[마다가스카르|{{{#ffffff '''마다가스카르'''}}}]] || [[코모로|{{{#fff '''코모로'''}}}]] || [목차] == 개요 == [[마다가스카르]]와 [[코모로]]의 관계. 양국은 언어, 문화 등에서 여러차례 교류가 활발하다. == 역사적 관계 == === 현대 이전 === [[말라가시인]]들이 마다가스카르에 도착 및 정착한 뒤에 일부가 [[코모로]]에도 정착했다. 마다가스카르와 코모로는 고대부터 교류가 활발했다. 그리고 말라가시인들은 코로모의 [[스와힐리족]]들과 교류 및 무역이 자주 이뤄지기도 했다. [[아랍인]]들이 코모로 지역에 도착한 뒤에 코모로 지역의 주민들은 대부분 [[이슬람교]]를 받아들였다. 말라가시인들도 아랍과의 교역과 교류의 영향으로 [[이슬람교]]를 받아들이고 [[말라가시어]]도 [[아랍 문자]]에 바탕을 둔 문자를 쓰기 시작했다. 종교적으로도 영향을 받았고 여러차례 교류가 활발했다. 19세기부터 [[프랑스]]가 [[메리나 왕국]]을 여러차례 공격했다. 메리나 왕국은 프랑스의 침략과 공격속에서도 근대화를 이뤘다. 하지만 결국 프랑스의 지배를 받았고 [[프랑스령 말라가시]]가 세워졌다. 코모로도 프랑스의 지배를 받을 당시에 프랑스령 말라가시의 일부가 되었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프랑스령 말라가시도 독립 움직임이 활발했다. 그리고 이후에 마다가스카르와 코모로는 프랑스의 식민지배에서 벗어나고 독립국이 되었다. === 현대 === 양국은 [[아프리카 연합]], [[프랑코포니]]의 회원국이고 [[프랑스어]]가 공용어중의 하나에 속해 있다. 코모로는 [[코모로인]]들과 [[말라가시인]]들과 교역 및 교류가 활발했기 때문에 문화적으로도 [[아랍]]의 영향외에도 말라가시인들에 영향을 받았다. == 관련 문서 == * [[마다가스카르/외교]] * [[코모로/외교]] * [[프랑코포니]] * [[아프리카 연합]] * [[말라가시인]] / [[코모로인]] * [[말라가시어]] / [[코모로어]] * [[대국관계일람/아프리카 국가/동아프리카 국가]] [[분류:마다가스카르의 대국관계]][[분류:코모로의 외교]][[분류:프랑코포니]][[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분류:나무위키 아프리카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