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유희왕 OCG]]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마도(유희왕), top2=마도서(유희왕))] || [[파일:魔導法士 ジュノン.jpg|width=100%]] || [[파일:HighPriestessofProphecy-DUPO-EN-UR-1E.png|width=97%]]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마도법사 쥬논, 일어판명칭=魔導法士()ジュノン, 영어판명칭=High Priestess of Prophecy, 레벨=7, 속성=빛, 종족=마법사족, 공격력=2500, 수비력=2100, 효과1=①: 패의 "마도서" 마법 카드 3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1턴에 1번\, 자신의 패 / 묘지에서 "마도서" 마법 카드 1장을 제외하고\,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마도(유희왕)|마도]] 테마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①의 효과는 패의 [[마도서(유희왕)|마도서]] 마법 카드 3장을 공개하고 자신을 특수 소환하는 [[기동효과]]. 그냥 카드를 3장 공개하는 것이 조건이므로 카드 어드밴티지 자체의 소비는 없다. [[기동효과]]라 [[번개왕]], [[신의 심판]] 등에 방해받는 일 없이 특수 소환도 가능하다. 이 카드를 포함해서 4장이나 되는 패가 필요하긴 하지만, 이 카드와 마도서 카드 하나를 챙겨주는 효과를 가진 [[마도(유희왕)#마도교사 시스티|마도교사 시스티]]의 콤보로 난이도를 낮출 수 있다. [[마도서의 신판]]으로 3장 이상 서치 → 시스티 소환 → 바로 제외하고 쥬논 서치로 2턴 이후에 무조건 나갈 수 있다고 봐도 좋을 정도로 안정적인 소환이 가능했다. 1턴에 1번 제약이 없으므로 여러 장이 잡혔다면 여러 장 소환도 가능하고, 신판 시절에는 상대 정룡이 [[라이트 앤드 다크니스 드래곤]]을 소환했을 때 발동 선언을 공격력이 거덜날 때까지 반복하여 돌파하는 경우도 있었다. ②의 효과는 패나 묘지의 [[마도서(유희왕)|마도서]]를 제외하고 카드 1장을 대상 지정 파괴하는 [[기동효과]]. 종류도 따지지 않고 어드밴티지 확보로 이어지므로 범용성은 높다. 서로의 필드에서 선택할 수는 있으니 다양한 콤보로도 적용 가능하다. 코스트로 [[마도서(유희왕)|마도서]]를 제외할 필요가 있지만 어차피 마도 덱은 묘지에 쌓이는 게 마도서고, [[마도서(유희왕)#아르마의 마도서|아르마의 마도서]]를 발동하면 쉽게 회수해올 수 있어 원하는 마도서를 제외해서 써놓고 추후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옛날 카드답게 카드명 제약이 걸려있지 않아, 파괴 효과를 발동하고 링크 소재로 써서 보내고 또 소생해서 쓰고 하는 식으로 여러 번 사용도 가능하다. 패에서 코스트를 지불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단순히 1:1 교환이 되니 [[왕가의 골짜기-네크로밸리]] 등이 깔려서 묘지 제외가 불가능한 상황이 아니라면 가급적 묘지를 코스트로 쓰는 게 좋다. 딱히 [[특수 소환(유희왕)|특수 소환]] 몬스터는 아니니 다른 서포트 카드를 이용한 특수 소환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템페르나 시스티만으로도 서치 수단이 많고, 순수 마도 덱이면 마도서가 15장이 넘어가고 라메이슨으로 한 턴에 두 번씩 드로우하는 마도서 덱의 특성상 소환조건도, 패에 잡는 것도 쉽다. 한참 뒤에 나온 [[매지션즈 소울즈]]를 활용할 경우 코스트로 덱에서 덤핑해서 네크로로 소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전성기 시절에는 마도 덱에서는 2장 정도 채용되는 에이스 몬스터로, 상술했듯 간편한 서치와 소환 조건, 파괴 효과 덕에 만능이었는데다, 무엇보다 선공을 빼앗기고 [[번개왕]]이나 [[라이트 앤드 다크니스 드래곤|라이다]]를 꺼내놓은 상대에게 대응할 수단이 사실상 이것뿐이었다. 2턴 이후에는 거의 무조건 필드에 떨어질 수 있었고 타점도 그럭저럭 되기 때문에 에이스 몬스터로 활약했으나, 10년이나 지난 현재는 바테르는 써도 쥬논은 거의 안 쓰거나 쓰더라도 1장만 쓰는 추세다. 신판 금지가 해제되어 마도서 3장을 모으는 건 쉬워졌으나 나와도 2턴 이후에나 나온다는게 요즘 메타에서는 너무 느리고, 에이스 몹으로 채용하자니 고질적인 타점 문제는 링크 몹으로 해결이 가능해진데다 [[요안의 상검사]]같이 좀 더 범용적인 최상급 마법사족도 많아진 탓이다. 게다가 마도서를 20장 넘게 채용해서 선턴에도 3장 모으기가 쉬워진 옛날과 달리, 범용 케어 카드들과 견제 카드들이 많아진 지금은 마도서 비중도 그만큼 줄어들어 선턴에 쥬논 + 3마도서를 잡기가 쉽지 않기에 패에 잡히면 드라이버가 된다는 게 문제. 다만 자체 특소가 어려워졌다 뿐이지 안정적인 공격력 + 범용성 높은 파괴 효과는 그대로이므로 여전히 투입할 가치는 있다. 게다가 마도서 제외 효과 중 그나마 실전성 있는게 게테와 이 카드 뿐이라 아르마 사이클을 돌리기에도 간편하고, 카드명 제약이 없어서 온갖 1턴에 1번 제약이 달린 마도 덱에서 소생과 링크 소재를 반복하며 여러 번 쓸 수 있다는 것도 좋은 장점이다. [[일루전 오브 카오스]]의 발매 이후에는 패에 잡힌 이 카드를 덱으로 돌리고 소울즈로 바꿔먹는 게 가능해져 어느 정도 안정성이 생겼다. 마도 메인 몬스터들 중 재록된 적이 있는 카드는 [[마도서사 바테르]]와 이 카드 뿐이라는 점이 이 카드의 실전성을 어느 정도 증명한다. 마도 테마의 유일한 레벨 7 몬스터인데다 특수 소환도 쉬우니, 이 카드 2장으로 엑시즈 하는 것이 마도의 엑시즈인 마도법황 하이론을 정규 소환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방법. 다만 그럴 바에 그냥 이 카드 2장으로 비트하는게 더 나은 경우가 많고, 7축 엑시즈를 써도 훨씬 좋은 몬스터가 많아서 선호되지 않았다. TCG에서는 시크릿 레어로 레어도가 급상승. 덕분에 카드샵에서는 영판이 '''96000원'''으로 거래된 적이 있다. 전성기 때의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 영판 시크와 거의 맞먹는 값이다. 다만 마도서의 신판의 금지로 마도 테마가 한방에 가버리면서 시세가 폭락했다. 동서양 막론하고 이후 [[링크 브레인즈 팩]]에서 '''[[레어]]'''로 복각되어 가격이 폭락했다. 속성 이외의 능력치는 [[어둠의 유우기]]의 에이스 몬스터인 [[블랙 매지션]]과 일치한다. [[타로 카드]]로서의 모티브 및 이름의 유래는 메이저 아르카나의 2번 THE HIGH PRIESTESS(여교황). 특이한 점은 다른 마도 몬스터는 마르세유 타로의 표기를 음차하여 이름으로 사용하는데, 이 카드의 카드명은 프랑스어 표기(La Papesse)와는 무관하다. 마찬가지로 [[마도(유희왕)#마도법황 하이론|마도법황 하이론]]도 프랑스어 표기(Le Pape)와는 다르다. 이는 정식 마르세유 타로가 아닌 브장송 타로(Tarot de Besançon)를 모티브로 했기 때문으로 추정되는데, 브장송 타로는 여교황(2번) / 교황(5번) 카드가 각각 [[유노]] / [[유피테르]]로 변경되어있고, 이것 때문에 JJ 타로(주노와 주피터에서 앞글자를 땀)라고도 불린다. 이 카드의 이름은 유노의 프랑스어 표기인 Junon에서 따온 듯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RETURN OF THE DUELIST]] || REDU-JP020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링크 브레인즈 팩|LINK VRAINS PACK]] || LVP1-JP037 || [[레어]] || 일본 || ||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Return of the Duelist]] || REDU-EN020 ||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War of the Giants: Round 2 || BPW2-EN100 || [[울트라 레어]] || 북미 || || || Duel Power || DUPO-EN081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 || REDU-KR020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링크 브레인즈 팩]] || LVP1-KR037 || [[레어]] || 한국 || || [[분류:유희왕/OCG/마법사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