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마돈나)] [include(틀:마돈나)] [목차] == 개요 == 미국의 전설적인 팝 가수 [[마돈나]]의 음반(앨범, 싱글, EP 등) 목록을 정리한 문서다. == 상세 == 전 세계 2억 장 이상의 앨범 판매고와 3억 장 이상의 레코드 판매고를 기록하며 [[비틀즈]], [[마이클 잭슨]], [[엘비스 프레슬리]], [[엘튼 존]]에 이어 역사상 가장 많은 음반 판매량을 기록한 아티스트 5위이자 '''역사상 가장 많은 음반 판매량을 기록한 여성 아티스트'''로 집계되었다. 미국에서는 [[머라이어캐리]], [[바브라 스트라이샌드]]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마돈나는 긴 활동 기간만큼 커리어에 부침도 꽤 있었고, 시기별로 주로 내세웠던 음악성도 다양했다. 그래서 붙은 별명이 '''재창조의 여왕'''(Queen of Reinvention). 한편 유럽 지역에서의 인기가 가히 어마어마했다. 실제로 대표작 중 하나인 [[Confessions On A Dance Floor]]는 작업을 아예 유럽에서 했다. 그래서 이 문서에서는 US 차트뿐만 아니라 UK 차트 기록도 함께 싣는다. * 80년대: 누구나 인정하는 마돈나의 전성기. 사실상 아무 거나 하면 다 되던 시기다. 영화 OST도 싱글 차트 1위를 찍는 수준으로, 이 시기에 낸 싱글의 대부분은 빌보드 10위 내에 있다. 이 전성기는 90년에 낸 베스트 앨범《The Immaculative Collection》의 싱글 'Justify My Love'까지 이어지게 된다. 데뷔 초기에는 [[디스코]] 풍 댄스곡으로 인기를 얻었으나 이후 [[록 음악]]적인 요소를 상당부분 이식하게 된다. \''''[[Like a Virgin(싱글)|Like a Virgin]]'''', '[[Material Girl]]', '[[Crazy for You]]', '[[Into the Groove]]', '[[Live to Tell]]', '[[Papa Don't Preach]]', '[[Open Your Heart(마돈나)|Open Your Heart]]', '[[La Isla Bonita]]', '[[Like a Prayer(싱글)|Like a Prayer]]', '[[Express Yourself(마돈나)|Express Yourself]]', 'Cherish', \''''[[Vogue(마돈나)|Vogue]]'''', 'Justify My Love' 등이 이 시기의 대표곡. * 90년대 초~중반: 음악 이외에 다른 활동(특히 영화)에 집중하던 시기. 물론 영화는 대체적으로 망했다. 'Justify My Love'에서 재미를 본 과격한 섹시 컨셉을 내세웠으나 결정적으로 차트에서는 외면받았다. 이에 대해 마돈나는 누드집 《SEX》 발간으로 응수했다. 뮤지컬 영화 [[에비타(영화)|에비타]] 출연으로 음악성과 이미지 측면에서 재기의 발판을 마련했다. 80년대와는 달리 90년대 마돈나의 음악은 [[하우스(음악)|하우스]]와 [[컨템퍼러리 R&B|R&B]]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 시기의 대표곡은 'Erotica', 'This Used To Be My Playgrond', 'Secret', '[[Take a Bow|Take A Bow]]', 'Human Nature' 등. 또한 이 시기에 배출한 빌보드 1위 곡은 대부분 발라드 넘버이다. * 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 위기에 빠져있던 마돈나는 당시 유럽에서 인기였으나 미국에서는 낯선 장르였던 [[일렉트로니카]]를 적극적으로 도입했고 성공을 거두게 된다. 마돈나가 일렉트로니카를 처음 시도했다거나 한 것은 아니지만, 일렉트로니카를 팝의 영역으로 끌어들여 대중성 있는 음악장르로 탄생시킨 공은 반드시 언급해야 할 부분. 크게 성공한《Music》앨범의 'Music'은 현재까지 마돈나의 마지막 빌보드 차트 1위 곡이다. 그러나 일렉트로-[[포크]]를 시도했던 9집《American Life》가 대실패하며[* [[마돈나(가수)#s-5.6|마돈나]]항목에 서술된 것 처럼, 이라크전쟁을 비판했던 마돈나에 대한 외면이 큰 원인이었다. 실제로 이 시기 이후 마돈나의 라디오 에어플레이는 급감했고, 이후로 차트 상위권에 오르지 못하고 있다.] 다시 한 번 위기를 맞게 된다. 'Frozen', 'Ray Of Light', 'Beautiful Stranger', 'Music', 'Die Another Day' 등이 대표곡. * 2000년대 중~후반: 절치부심했던 마돈나는 자신의 초기 장르였던 [[디스코]]와 음악계의 대세인 [[일렉트로니카]]를 바탕으로 다시 춤추기 좋은 음악을 만들었다. 10집의 제목 '댄스 플로어에서의 고백(confessions on a dance floor)'는 이런 의미가 담겨있다. [[ABBA]]의 'Gimme! Gimme! Gimme!'를 샘플링한 리드 싱글 'Hung Up'은 음악적으로도 성공했으며 전세계적으로도 유례없는 성공을 거두었다. 이 시기 이후 마돈나는 라이브 투어에 집중하게 되며, 이후 투어를 할 때마다 '가장 성공적인 여성 뮤지션의 투어'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는 중. 이 시기의 대표곡은 'Hung Up', 'Sorry', 'Jump', '4 Minutes' 등. * 2010년대: 데뷔 이후 함께했던 [[워너브라더스]]와의 계약이 끝난 뒤, 마돈나는 라이브 투어 전문 회사인 'Live Nation'과 계약을 맺었다. 마돈나 같은 거물급 가수가 공연 전문 기획사와 계약을 한 것은 이것이 첫 사례인데, 이는 2010년대 음악의 중심이 라이브 투어임을 재빠르게 캐치하고 싱글 에어플레이보다는 라이브 공연에 집중하고자 하는 것. 음악적으로는 2010년대 중반까지 EDM/트랩의 트렌드를 따라갔으나 2019년 발표한 Madame X로 다시금 실험적인 음악을 시도했다. 대표곡은 'Girl Gone Wild', 'Living for Love', 'Ghosttown', 'Medellin' 등. == 앨범 == === 정규 앨범 === ||<-5>
'''{{{#fff 정규 앨범}}}''' || || '''발매일''' || '''제목''' || '''US''' || '''UK''' || '''판매량''' || ||1983.07.27.||[[Madonna(음반)|Madonna]]||8위||6위||세계: 1000만 장[br]미국: 5백만 장|| ||1984.11.12.||[[Like a Virgin(앨범)|Like A Virgin]]||1위||1위||세계: 2150만 장[br]미국: 1천만 장|| ||1986.06.30.||[[True Blue(마돈나)|True Blue]]||1위||1위||세계: 2500만 장[br]미국: 7백만 장|| ||1989.03.21.||[[Like A Prayer]]||1위||1위||세계: 1500만 장[br]미국: 5백만 장|| ||1992.10.20.||[[Erotica]]||2위||2위||세계: 700만 장[br]미국: 2백만 장|| ||1994.10.25.||[[Bedtime Stories]]||3위||2위||세계: 800만 장[br]미국: 3백만 장|| ||1998.03.03.||[[Ray Of Light]]||2위||1위||세계: 1600만 장[br]미국: 4.3백만 장|| ||2000.09.19.||[[Music]]||1위||1위||세계: 1100만 장[br]미국: 3백만 장|| ||2003.04.22.||[[American Life]]||1위||1위||세계: 500만 장[br]미국: 70만 장|| ||2005.11.11.||[[Confessions On A Dance Floor]]||1위||1위||세계: 1000만 장[br]미국: 1.7백만 장|| ||2008.04.19.||[[Hard Candy]]||1위||1위||세계: 400만 장[br]미국: 75만 장|| ||2012.03.23.||[[MDNA]]||1위||1위||세계: 200만 장[br]미국: 54만 장|| ||2015.03.06.||[[Rebel Heart]]||2위||2위||세계: 100만 장[br]미국: 24만 장|| ||2019.06.14.||[[Madame X]]||1위||2위||세계: 50만 장[br]미국: 16만 장|| === 사운드트랙 앨범 === ||<-5>
'''{{{#fff 사운드트랙 앨범}}}''' || || '''발매일''' || '''제목''' || '''US''' || '''UK''' || '''판매량''' || ||1987.07.21.||Who's That Girl||7위||4위||세계: 600만 장[br]미국: 1.4백만 장|| ||1990.05.22.||I'm Breathless||2위||2위||세계: 700만 장[br]미국: 3.2백만 장|| ||1996.11.12.||[[에비타(영화)|Evita]]||2위||1위||세계: 650만 장[br]미국: 2백만 장|| === 컴필레이션 앨범 === ||<-6>
'''{{{#fff 컴필레이션 앨범}}}''' || || '''발매일''' || '''제목''' || '''US''' || '''UK''' || '''판매량''' || '''비고''' || ||1987.11.17.||You Can Dance||14위||5위||세계: 580만 장[br]미국: 1.5백만 장||리믹스 앨범|| ||1990.11.09.||The Immaculate Collection||2위||1위||세계: 3000만 장[br]미국: 1100만 장|| || ||1995.11.07.||Something to Remember||6위||3위||세계: 1000만 장[br]미국: 3백만 장|| || ||2001.11.13.||GHV2||7위||2위||세계: 7백만 장[br]미국: 1.560만 장|| || ||2003.11.24.||Remixed & Revisited||115위||ㅡ||미국: 11만 장||리믹스 EP|| ||2009.09.18.||Celebration||7위||1위||세계: 310만 장[br]미국: 27만 장|| || ||2022.08.19.||Finally Enough Love: 50 Number Ones||8위 ||3위 ||영국: 10만 장||리믹스 앨범|| 마돈나는 베스트 앨범이 3장, 발라드 베스트를 포함해도 4장으로 매우 깔끔한 디스코그래피를 자랑하는데 본인의 입김이 셌기 때문에 이런저런 잡다한 컴필레이션 음반이 나오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 * The Immaculate Collection: 80년대의 히트곡을 총망라한 마돈나의 베스트 앨범이며, 3000만 장[* [[https://www.mtv.com/news/3uuw8u/happy-birthday-madonna|MTV]]]이 넘는 판매고로 마돈나 커리어 중 최다 판매 앨범이자 '''역대 여가수 베스트 앨범 중 최다 판매량 기록'''을 가진 앨범이다. 직역하면 '순결한 컬렉션'이라는 뜻인데, 원래 'immaculate'는 [[성모 마리아]]의 무원죄잉태설(Immaculate Conception)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즉 일종의 신성모독적인 말장난. 마돈나 본인의 이름이 '성모 마리아'를 뜻한다는 점도 일조했을 것이다. 이 앨범의 신곡 Justify My Love는 과격한 섹시 컨셉이 특징으로, 뮤직비디오는 너무 수위가 높아서 [[MTV]]에서 방영이 금지되기까지 했다. 이 뮤직비디오는 [[비욘세]]의 "Haunted", [[트로이 시반]]의 "My My My!" 등 훗날 여러 뮤직비디오의 영감이 되었다. * Something to Remember: 발라드 히트곡만을 모아놓은 컴필레이션 앨범. 단순히 흔해 빠진 기획반이라고 하기에는 큰 의미가 있으며, 특히 상업적인 댄스 가수 이미지와 SEX 사진집의 과격한 이미지를 중화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다. 정규 앨범에 안 들어간 OST 참여곡이 많으며 이 앨범에서만 들을 수 있는 곡도 있다. 에비타와 함께 마돈나의 재기의 발판이 된 베스트 앨범으로서 1천만여 장 이상이 팔린 것으로 추산된다. * GHV2: 마돈나의 90년대 곡들을 총망라하는 두 번째 베스트 앨범(Greatest Hits Volume 2)이다. Erotica, Bedtime Stories, Ray Of Light, Music 네 앨범의 싱글들과 함께 오스틴 파워 주제가 Beautiful Stranger와 에비타 수록곡 Don't Cry for Me Argentina가 수록되었다. 두 장의 히트 앨범 이후 발매된 덕분에 신곡이 없음에도 그럭저럭 준수하게 팔려나갔다. 또한 당시에 성대 이상으로 은퇴한다는 루머가 꽤 크게 퍼져서 판매량 상승에 영향을 주었다. * Remixed & Revisited: 이라크 전쟁 비판으로 라디오 에어플레이어가 급감하며 차트에서 자취를 감춘 뒤 절치부심해서 'Re-Invention' 투어를 진행한다. 이전과 이후의 대형 무대장치와 수많은 댄서들을 동원하는 투어와는 달리 다소 밋밋한 중대형 투어로 시작했지만 다행히 투어가 대박을 내며 그 여세를 몰아 발매한 리믹스 미니 앨범이다. * Celebration: 80~00년대를 망라하고 있으며, 많은 히트곡을 배출한 마돈나답게 2CD 구성이다. 80년대에 살짝 치우쳐있기는 하지만 입문용으로 좋은 선곡으로 구성되었으며, 덕분에 발매 이후 수 년이 지난 시점까지도 영국/미국 차트에 간혹 나타났다. 'Celebration'과 'Revolver' 두 곡의 신곡이 추가되었다. 두 곡은 2009년 당시의 트렌드를 반영한 일렉트로니카 댄스곡이며 특히 Celebration은 당시 잘 나가던 DJ 폴 오큰필드가 프로듀스했다. 차트 성적은 좋은 편은 아니었다. 다만 80, 90년대 음악이 현대 감각으로 리마스터링 되었기에 음질은 좋은 편. * Finally Enough Love: 50 Number Ones: 리믹스 앨범. 3 CD. 빌보드 댄스 클럽 송 차트에서 50개의 1위곡을 달성한 기념. === 라이브 실황 앨범 === ||<-5>
'''{{{#fff 라이브 실황 앨범}}}''' || || '''발매일''' || '''제목''' || '''US''' || '''UK''' || '''판매량''' || ||2006.06.20.||I'm Going to Tell You a Secret||33위||18위||미국: 8.5만 장|| ||2007.01.30.||The Confessions Tour||15위||7위||세계: 1.2백만 장[br]미국: 15만 장|| ||2010.03.30.||Sticky & Sweet Tour||10위||17위||미국: 8.2만 장|| ||2013.09.09.||MDNA World Tour||90위||55위||미국: 1.8만 장|| ||2017.09.15.||Rebel Heart Tour||ㅡ||42위||프랑스: 1만 장 || == 싱글 == ||<-7>
'''{{{#fff 싱글}}}''' || || '''연도''' || '''제목''' || '''US''' || '''US 댄스''' || '''UK''' || '''판매량''' || '''수록''' || ||1982||Everybody||ㅡ||3위||ㅡ|| ||<|5>[[Madonna(음반)|Madonna]]|| ||<|3>1983||Burning Up||ㅡ||3위||ㅡ|| || ||Holiday||16위||1위||2위||영국: 72만 장|| ||Lucky Star||4위||1위||14위||영국: 12만 장|| ||<|2>1984||Borderline||10위||4위||2위||영국: 31만 장|| ||[[Like a Virgin(싱글)|Like a Virgin]]||1위||1위||3위||미국: 1.9백만 장[br]영국: 78만 장||<|2>Like A Virgin|| ||<|6>1985||[[Material Girl]]||2위||1위||3위||영국: 40만 장|| ||[[Crazy for You]]||1위||ㅡ||2위||미국: 2백만 장[br]영국: 67만 장||Vision Quest OST|| ||Angel||5위||1위||5위||영국: 20만 장||<|3>Like A Virgin|| ||[[Into the Groove]][* "수잔을 찾아서" OST. 북미판 Like A Virgin에는 수록되어 있지 않고, 1985년 전세계 발매용으로 재발매된 Like A Virgin에만 수록되어 있다.]||ㅡ||1위||1위||영국: 88만 장|| ||Dress You Up||5위||3위||5위||영국: 21만 장|| ||Gambler||ㅡ||ㅡ||4위||영국: 30만 장||Vision Quest OST|| ||<|4>1986||[[Live to Tell]]||1위||ㅡ||2위||영국: 28만 장||<|5>True Blue|| ||[[Papa Don't Preach]]||1위||4위||1위||영국: 65만 장|| ||[[True Blue(노래)|True Blue]]||3위||6위||1위||영국: 54만 장|| ||[[Open Your Heart(마돈나)|Open Your Heart]]||1위||1위||4위||영국: 20만 장|| ||<|4>1987||[[La Isla Bonita]]||4위||10위||1위||영국: 43만 장|| ||Who's That Girl||1위||44위||1위||영국: 38만 장||<|3>Who's That Girl|| ||Causing a Commotion||2위||1위||4위|| ||The Look of Love||ㅡ||ㅡ||9위||영국: 12만 장|| ||1988||Spotlight[* 일본에서만 싱글로 발매된 곡.]||ㅡ||ㅡ||ㅡ||ㅡ||You Can Dance|| ||<|5>1989||[[Like a Prayer(싱글)|Like A Prayer]]||1위||1위||1위||세계: 5백만 장[br]미국: 2.1백만 장[br]영국: 62만 장||<|6>Like A Prayer|| ||[[Express Yourself(마돈나)|Express Yourself]]||2위||1위||5위||영국: 20만 장|| ||Cherish||2위||ㅡ||3위||영국: 20만 장|| ||Oh Father||20위||ㅡ||16위||영국: 5.8만 장|| ||Dear Jessie||ㅡ||ㅡ||5위||영국: 25만 장|| ||<|4>1990||Keep It Together||8위||1위||ㅡ|| || ||[[Vogue(마돈나)|Vogue]]||1위||1위||1위||세계: 6백만 장[br]미국: 2.3백만 장[br]영국: 53만 장||<|2>I'm Breathless|| ||[[Hanky Panky(마돈나)|Hanky Panky]]||10위||ㅡ||2위||영국: 21만 장|| ||Justify My Love||1위||1위||2위||영국: 23만 장||<|2>The Immaculate Collection|| ||1991||Rescue Me||9위||6위||3위||영국: 13만 장|| ||<|3>1992||This Used to Be My Playground||1위||ㅡ||3위||영국: 27.5만 장||[[그들만의 리그(영화)|그들만의 리그]] OST|| ||Erotica||3위||1위||3위||영국: 27만 장||<|6>Erotica|| ||Deeper and Deeper||7위||1위||6위||영국: 13만 장|| ||<|4>1993||Bad Girl||36위||ㅡ||10위||영국: 7.5만 장|| ||Fever||ㅡ||1위||6위||영국: 8.6만 장|| ||Rain||14위||ㅡ||7위||영국: 13만 장|| ||Bye Bye Baby||ㅡ||ㅡ||ㅡ|| || ||<|3>1994||I'll Remember||2위||ㅡ||7위||미국: 50만 장[br]영국: 10만 장||하버드 졸업반 OST|| ||Secret||3위||1위||5위||영국: 11.7만 장||<|4>Bedtime Stories|| ||[[Take a Bow|Take A Bow]]||1위||ㅡ||16위||미국: 50만 장[br]영국: 10만 장|| ||<|3>1995||Bedtime Story||42위||1위||4위||영국: 9.7만 장|| ||Human Nature||46위||2위||8위||영국: 8만 장|| ||You'll See||6위||ㅡ||5위||영국: 30만 장||<|3>Something to Remember|| ||<|3>1996||One More Chance||ㅡ||ㅡ||11위||영국: 5.6만 장|| ||Love Don't Live Here Anymore||78위||16위||ㅡ|| || ||You Must Love Me||18위||ㅡ||10위||영국: 9만 장||<|3>[[에비타(영화)|에비타]] OST|| ||<|2>1997||Don't Cry for Me Argentina||8위||1위||3위||영국: 34만 장|| ||Another Suitcase in Another Hell||ㅡ||ㅡ||7위||영국: 7.5만 장|| ||<|4>1998||Frozen||2위||1위||1위||미국: 60만 장[br]영국: 56만 장||<|5>Ray Of Light|| ||Ray Of Light||5위||1위||2위||미국: 79만 장[br]영국: 27만 장|| ||Drowned World/Substitute for Love||ㅡ||ㅡ||10위|| || ||The Power of Good-bye||11위||ㅡ||6위||영국: 18만 장|| ||<|2>1999||Nothing Really Matters||93위||1위||7위||영국: 13만 장|| ||Beautiful Stranger||19위||1위||2위||영국: 53만 장||[[오스틴 파워]] OST|| ||<|3>2000||American Pie||29위||1위||1위||영국: 40만 장||넥스트 베스트 씽 OST|| ||Music||1위||1위||1위||미국: 121만 장[br]영국: 41.5만 장||<|3>Music|| ||Don't Tell Me||4위||1위||4위||영국: 18.5만 장|| ||2001||What It Feels Like for a Girl||23위||1위||7위||영국: 8.7만 장|| ||2002||Die Another Day||8위||1위||3위||영국: 17.5만 장||[[007 어나더데이]] OST|| ||<|4>2003||American Life||37위||1위||2위||영국: 7.2만 장||<|4>American Life|| ||Hollywood||ㅡ||1위||2위||영국: 6만 장|| ||Nothing Fails[* 영국에서는 Love Profusion과 양A면으로 발매]||ㅡ||1위||<|2>11위|| || ||Love Profusion||ㅡ||1위|| || ||2005||Hung Up||7위||1위||1위||세계: 900만 장/건[br]미국: 140만 장/건[br]영국: 62만 장/건||<|4>Confessions On A Dance Floor|| ||<|3>2006||Sorry||58위||1위||1위||미국: 36만 장/건[br]영국: 20만 장/건|| ||Get Together||106위||1위||7위||영국: 6.7만 장/건|| ||Jump||105위||1위||9위||영국: 5.2만 장/건|| ||2007||Hey You||ㅡ||ㅡ||187위|| ||Live Earth 자선 싱글|| ||<|3>2008||4 Minutes||3위||1위||1위||미국: 3.1백만 장/건[br]영국: 57.5만 장/건||<|3>Hard Candy|| ||Give It 2 Me||57위||1위||7위||미국: 31.6만 장/건[br]영국: 17만 장/건|| ||Miles Away||ㅡ||2위||39위|| || ||<|2>2009||Celebration||71위||1위||3위||미국: 19.2만 장/건||<|2>Celebration|| ||Revolver||ㅡ||4위||130위|| ||<|4>2012||[[Give Me All Your Luvin']]||10위||1위||37위|| ||<|4>MDNA|| ||[[Girl Gone Wild]]||106위||1위||73위|| || ||[[Masterpiece]][* 영국에서만 싱글로 발매된 곡.]||ㅡ||ㅡ||68위|| || ||[[Turn Up the Radio]]||ㅡ||1위||175위|| ||2014||Living For Love||108위||1위||26위|| ||<|4>Rebel Heart|| ||<|3>2015||Ghosttown||ㅡ||1위||117위|| || ||Bitch I'm Madonna||84위||1위||ㅡ|| || ||Hold Tight[* 이탈리아에서만 싱글로 발매된 곡.]||ㅡ||ㅡ||ㅡ|| || ||<|2>2019||Medellin||ㅡ||1위||87위|| ||<|2>Madame X|| ||Crave||ㅡ||ㅡ||ㅡ|| || ||<|2>2023||Popular[* [[The Weeknd]], [[Playboi Carti]]와 공동 명의로 참여한 드라마 "The Idol"의 사운드트랙 앨범의 두 번째 싱글]||ㅡ||ㅡ||ㅡ|| ||[[The Idol]] Vol.1|| ||[[VULGAR]]||ㅡ||ㅡ||69위|| ||[* with [[샘 스미스]]|| === 프로모션 싱글 === == 피처링 == * Be Careful (Cuidado Con Mi Corazón) (1999) : [[리키 마틴]] featuring Madonna * [[Me Against The Music]] (2003): [[브리트니 스피어스|Britney Spears]] featuring Madonna * Champagne Rosé (2019): [[Quavo]] featuring Madonna and [[Cardi B]] * Soltera (2019): [[말루마|Maluma]] featuring Madonna * [[Levitating]] (The Blessed Madonna Remix) (2020) : [[Dua Lipa]] featuring Madonna and [[Missy Elliott]] == 비공식 음반 == ||||
[[마돈나(가수)|[[파일:11DA9AAF-601D-4FA0-8596-B5B8E3E135A4.png|width=120]]]] || ||||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C2C69937-6DED-44AE-9BC6-16C88BEB7ED0.jpg|width=100%]]}}} || || '''발매일''' ||1997년 6월 10일|| || '''녹음''' ||1980년 ~ 1981년|| || '''스튜디오''' ||뉴욕 뮤직 빌딩 스튜디오|| || '''장르''' ||팝|| || '''레이블''' ||Soultune|| || '''곡수''' ||10곡|| || '''재생시간''' ||47:27|| || '''프로듀서''' ||닉 매조키스, 로버트 리치, 스티븐 브레이, 토니 셰퍼드|| 데뷔 앨범인 Madonna 이전에 마돈나가 제작했던 곡과 데모 음원들을 모은 음반. 마돈나가 "브렉퍼스트 클럽" 등의 밴드에서 활동하며 음악계에 진입을 시도하던 70년대 후반, 당시 남자친구였던 스티븐 브레이와 함께 만든 곡들이 담겨있다. 이 앨범의 곡들은 거의 모두 마돈나가 단독으로 작곡했고, 스티븐 브레이가 프로듀싱했다. 1집 수록곡 "Burning Up"과 "Everybody"의 초기 데모를 비롯한 이런저런 음원들이 들어있는 이 음반은 표지에 대놓고 "Unauthorized"라고 써있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마돈나의 명시적 동의 없이 발표된 것이다. 97년 당시는 마돈나가 인기 부활의 조짐을 보이던 시기이며 여기에 맞춰서 발표된 것으로 보인다. 어찌된 영문인지 한국 음원 사이트 [[FLO]]에도 서비스되고 있다. == 뮤직비디오 == 마돈나의 모든 뮤직비디오를 시대순으로 보려면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vHf4SnA7f8tNfydi9tJVbEzeq4TdQGIO|이 유튜브 재생 목록]]을 이용하면 된다. 이 문단에서는 대표적인 뮤직비디오만 링크한다. * [[https://youtu.be/aAQZPBwz2CI|4 minutes]] * [[https://youtu.be/7hPMmzKs62w|Bitch I'm Madonna (ft. Nicki Minaj)]] * [[https://youtu.be/Ud3x2wz3WHA|Causing a Commotion]] * [[https://youtu.be/HSyB7I6Lzm4|Cherish]] * [[https://youtu.be/KD_1Z8iUDho|Don't Cry for Me Argentina]] * [[https://youtu.be/GgDxv0Qg_Rg|Ghosttown]] * [[https://youtu.be/6kxLeC9r45k|Girl gone wild]] * [[https://youtu.be/cItHOl5LRWg|Give me all your Luvin']] * [[https://youtu.be/5Rswx2Z7SDw|Holiday]] * [[https://youtu.be/EDwb9jOVRtU|Hung up]] * [[https://youtu.be/qqIIW7nxBgc|La isla bonita]] * [[https://youtu.be/79fzeNUqQbQ|Like A Prayer]] * [[https://youtu.be/IzAO9A9GjgI|Live to Tell]] * [[https://youtu.be/u9h7Teiyvc8|Living for Love]] * [[https://youtu.be/6p-lDYPR2P8|Material Girl]] * [[https://youtu.be/snsTmi9N9Gs|Open your Heart]] * [[https://youtu.be/G333Is7VPOg|Papa don't Preach]] * [[https://youtu.be/P51LunEV3Sk|True Blue]] * [[https://youtu.be/vkYyqxHdwNg|Turn up the Radio]] * [[https://youtu.be/r0qDBYiOBrc|Who's That Girl]] === 뮤직비디오 순위 === ||<-5> [[[[마돈나(가수)|[[파일:마돈나(가수) 로고.svg|width=120]]]] [br] 마돈나 뮤직비디오 조회수 순위[* 2023년 5월 2일 기준] || || 순위 || '''노래''' || 조회수 || 게시일 || 수록 음반 || || 1위 || [[La Isla Bonita]] || 725,009,156 || 2009-10-27 || [[True Blue(마돈나)|True Blue]] || || 2위 || Hung Up || 422,975,729 || 2009-10-27 || [[Confessions On A Dance Floor]] || || 3위 || Bitch, I'm Madonna || 355,934,688 || 2015-06-18 || [[Rebel Heart]] || || 4위 || [[Like a Prayer(싱글)|Like A Prayer]] || 249,120,750 || 2009-10-27 || [[Like A Prayer]] || || 5위 || [[Papa Don't Preach]] || 197,044,293 || 2011-06-30 || [[True Blue(마돈나)|True Blue]] || || 6위 || 4 Minutes || 191,180,444 || 2009-10-27 || [[Hard Candy]] || || 7위 || Frozen || 184,391,957 || 2000-10-27 || [[Ray Of Light]] || || 8위 || [[Vogue(마돈나)|Vogue]] || 156,833,019 || 2009-10-27 || I'm Breathless || || 9위 || [[Material Girl]] || 141,870,471 || 2017-08-26 || [[Like a Virgin]] || || 10위 || [[Like a Virgin(싱글)|Like a Virgin]] || 111,380,411 || 2009-10-27 || [[Like a Virgin]] || || 11위 || [[Live to Tell]] || 97,550,719 || 2011-07-03 || [[True Blue(마돈나)|True Blue]] || || 12위 || Give It 2 Me || 91,352,131 || 2008-06-12 || [[Hard Candy]] || || 13위 || [[Give Me All Your Luvin']] || 83,195,562 || 2012-02-03 || [[MDNA]] || || 14위 || Girl Gone Wild || 72,286,586 || 2012-03-22 || [[MDNA]] || || 15위 || The Power Of Good-Bye || 71,609,966 || 2009-10-27 || [[Ray Of Light]] || || 16위 || Sorry || 69,949,315 || 2009-10-27 || [[Confessions On A Dance Floor]] || || 17위 || [[Into the Groove]] || 67,649,803 || 2013-08-15 || [[Like a Virgin]] || || 18위 || Crazy For You || 61,068,170 || 2009-10-27 || Vision Quest || || 19위 || Celebration || 57,582,948 || 2009-10-15 || Celebration || || 20위 || Medellín || 56,306,890 || 2019-04-25 || [[Madame X]] || || 21위 || [[Me Against The Music]] || 55,004,911 || 2011-03-18 || [[In The Zone]][* [[브리트니 스피어스]]의 4집 앨범] || || 22위 || [[True Blue(노래)|True Blue]] || 54,784,832 || 2011-07-02 || [[True Blue(마돈나)|True Blue]] || || 23위 || [[Open Your Heart(마돈나)|Open Your Heart]] || 49,647,733 || 2011-07-01 || [[True Blue(마돈나)|True Blue]] || || 24위 || Ghosttown || 45,667,981 || 2015-04-09 || [[Rebel Heart]] || || 25위 || Borderline || 44,075,615 || 2009-10-27 || [[Madonna(음반)|Madonna]] || || 26위 || [[Levitating]] || 38,608,586 || 2020-08-14 || -[* 리믹스 버전] || || 27위 || Don't Cry For Me Argentina || 38,039,424 || 2018-04-21 || Evita || || 28위 || Living For Love || 37,450,814 || 2015-02-07 || [[Rebel Heart]] || || 29위 || Don't Tell Me || 36,327,460 || 2009-10-27 || [[Music]] || || 30위 || [[Take a Bow|Take A Bow]] || 35,726,077 || 2009-10-27 || [[Bedtime Stories]] || || 31위 || [[Express Yourself(마돈나)|Express Yourself]] || 35,588,188 || 2009-10-27 || [[Like A Prayer]] || || 32위 || You'll See || 35,260,742 || 2009-10-27 || Something To Remember || || 33위 || Justify My Life || 34,146,137 || 2009-10-27 || The Immaculate Collection || || 34위 || Music || 34,134,720 || 2009-10-27 || [[Music]] || || 35위 || Nothing Really Matters || 28,187,773 || 2009-10-27 || [[Ray Of Light]] |||| || 36위 || Ray Of Light || 26,472,637 || 2009-10-27 || [[Ray Of Light]] || || 37위 || Jump || 25,804,292 || 2009-10-27 || [[Confessions On A Dance Floor]] || || 38위 || Secret || 24,985,830 || 2009-10-27 || [[Bedtime Stories]] || || 39위 || Lucky Star || 24,626,694 || 2009-10-27 || [[Madonna(음반)|Madonna]] || [[분류:마돈나]][[분류:미국의 아티스트별 음반]] [[분류:마돈나]][[분류:미국의 아티스트별 음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