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馬頭驛 / Madu Station}}} ||<-3> {{{+2 '''마 두'''}}} || ||<-3>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30]] || || [[대화역|{{{#!html
대화 방면}}}]][[정발산역|정발산]][br]← 0.9 ㎞ || [[수도권 전철 3호선|{{{#!html
3호선
(312)
}}}]] || [[오금역|{{{#!html
오금 방면}}}]][[백석역|백 석]][br]1.4 ㎞ → || ||<-3>[include(틀:지도, 장소=마두역, 너비=100%, 높이=225px)]||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Madu || || [[한자]] ||<-2> 馬頭 || || [[중국어]] ||<-2> 马头 || || [[일본어]] ||<-2> [ruby(馬頭, ruby=マドゥ)] || ||<-3> '''주소''' || ||<-3>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고양)|중앙로]] 1180 ([[마두동]] 765-1번지) || ||<-3> '''관리역 등급''' || ||<-3> [[무배치간이역]][br]([[문산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서울본부) || ||<-3> '''운영 기관''' || || [[일산선]] ||<-2>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100]]]] || ||<-3> '''개업일''' || || [[일산선]] ||<-2><|2> 1996년 1월 30일 || || [[수도권 전철 3호선|{{{#ffffff 3호선}}}]] || ||<-3> '''역사 구조''' || ||<-3> 지하 3층[* 안내도에는 2층 구조로 나오지만 실제로는 마두역 대기실 위에 지하보도가 있기 때문에 지하 3층에 승강장이 있다.]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3> '''노선거리표''' || || [[지축역|{{{#!html
지축 방면}}}]][[백석역|백 석]][br]← 1.4 ㎞ || '''[[일산선]]'''[br]마 두 || [[대화역|{{{#!html
대화 방면}}}]][[정발산역|정발산]][br]0.9 ㎞ → || [목차] [clearfix] [[수도권 전철 3호선]] 312번[* 개정 전 3번(1996 ~ 2000) → 313번 (2000 ~ 2014)].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고양)|중앙로]] 1180 ([[마두동]] 765-1번지)에 위치해 있다. == 역 정보 == [[파일:madust.jpg|width=500]] 역 안내도. [[일산선]] 최초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역이다. 역 이름의 유래는 이 곳의 주산인 정발산의 생김 모양이 말머리와 같다고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이 역의 계획 및 공사 당시 역명은 '''장항역'''이었다. 중앙로를 경계로 마두동과 장항동이 나뉘기 때문에 장항동에서 따온 것이다. 하지만 기존의 [[장항화물역|장항역]]과 중복되는 이름이었고[* 한자는 이 역이 소재한 장항동은 獐項, 장항역은 長項으로 다르다.][* 지금이야 장항읍과 [[장항선]]이 거의 몰락했지만, 이 장항역은 그냥 흔한 읍 이름을 딴 역이 아니다. 당시 [[영등포역]]마저 통과할 정도로 초호화 열차였던 '''새마을호의 종착역'''이자 대한민국에서 중요도 높은 간선 철도 노선의 명칭 유래가 된, 대단히 규모있는 역이었다. 당시 철도청의 인식으로는 부산, 목포, 광주, 여수 다음가는 중요한 역.], 이 때문에 개통 전인 [[1994년]] '''낙민역'''으로 정해졌으며 동시에 지금의 [[정발산역]]이 마두역으로 확정되었다. '낙민'이라는 명칭은 일산신도시 개발 이전 마두동 일대에 있던 마을 이름으로 현재도 인근의 '낙민초등학교', '낙민공원' 등에 그 흔적이 남아 있다. 그러나 주민들에게 생소한 명칭이었고, 신도시 개발 이후의 행정구역 명칭과 맞지 않는다며 마침내 '''마두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4101100099136008&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4-10-11&officeId=00009&pageNo=36&printNo=8896&publishType=00010|「"일산선 역 이름 바꿔야 「마두」 「낙민」 행정구역과 불일치"」, 1994-10-11, 매일경제]]] 일산선 계획 초기에는 주변 지명 및 시설명을 따서 대화역이 장촌역, 주엽역이 문촌역, 정발산역이 (일산)시청역[* 현재 일산동구청 청사가 일산시청 계획지였다.], 마두역이 낙민역으로 명명되었으나, 계획 및 건설 과정에서 현재의 역명들로 모두 바뀌었다. [[부역명]]을 [[사법연수원]]으로 지정하라는 의견이 많이 나오고 있으나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다.[* 마두역 근처의 큰 건물 3개는 뉴코아백화점, [[차의과학대학교 일산차병원]], [[사법연수원]]이 있다.] 이 정도 중요한 시설이면 [[부역명 유상판매 정책]]이 아닌 그냥 부역명으로 넣어도 문제가 없다. 정발산 방면 승강장 중앙 기둥에 2000년 이전에 사용된 구형 역명판과 방면 표기가 남아 있다.[* 마두역은 개통 당시 영문 표기와 현재 영문 표기가 동일해서 교체를 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다만 역 번호는 312번으로 땜질되어 있다. 또한 백석 방면 승강장 벽에도 남아 있었으나 현재는 새 역명판으로 땜질되었다.] == 역 주변 정보 == [[일산동구]]의 상업 중심지이다. 역 주변은 [[일산신도시]]로 지어진 아파트와 배후 상업지구로 구성되어 있다. 일산의 대표적인 상권인 [[웨스턴돔]]도 가까운 편이긴 하지만 백마로를 건너야 해서 조금 멀게 느껴진다. 차라리 [[정발산역]]에서 웨스턴돔으로 가는 게 빠르다. 그리고 [[백석역]]에 [[고양종합터미널]]이 개장하고 이 쪽으로 상권이 정비되면서 이 역의 입지가 점점 위태로워지고 있다. 근처에 낙민공원이 있으며, [[일산호수공원]]과도 가깝다. 이는 마두역부터 [[주엽역]]까지 모두 해당되는 사항이다. 실제 역명은 근방에 있는 같은 이름의 마두동에서 따온 것이지만, 실제로 지도에서 보면 마두동과 장항동의 경계에 역이 위치해 있다. 실제로 역 근처에는 '''장항2동''' 주민센터가 가까이 있다. 장항2동 주민센터 옆의 호수마을과 [[라페스타]], [[웨스턴돔]], [[사법연수원]] 등등이 전부 장항동 소속이다. 인근에 법률 관련 관공서인 [[의정부지방검찰청 고양지청]], [[의정부지방법원]] 고양지원, [[사법연수원]], [[법원공무원교육원]] 등이 모여 있다. [[고양 BRT]] 마두역 정류소가 인근에 있다. 1~4번 출구는 서울 방면 정류소가, 5~8번 출구는 대화 방면 정류소가 가깝다. 정발산역과 거리가 가까워서 예전에는 날씨가 좋으면 마두역 출구에서 [[정발산역]]이 보이기도 했지만, 2010년대 들어서 [[오피스텔]]같은 고층건물이 많이 들어섰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볼 수 없다. * 1번 출구: 장항2동주민센터, 장항지구대, 일산제일병원 * 2번 출구: 호수초등학교, 일산호수공원, 법원공무원교육원 * 3번 출구: 일산호수공원, 낙민공원 * 4번 출구: 사법연수원, 의정부지방법원 고양지원, 의정부지방검찰청 고양지청, 대한법률구조공단 * 5번 출구: 뉴코아아울렛, 일산동구보건소, kt고양지사, 국민건강보험공단 고양일산지사 * 6번 출구: 마두1동주민센터, 낙민초등학교, 강촌공원, 마두공원, 정발초등학교 * 7번 출구: 마두2동주민센터, 마두지구대, 마두공원 * 8번 출구: 백신중학교, 백석고등학교, 백석초등학교, 금계초등학교, 이마트일산점, 백석동우체국 == 일평균 이용객 == 마두역을 이용하는 광역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10> [[수도권 전철 3호선|{{{#ffffff '''수도권 전철 3호선 (일산선)'''}}}]] || ||<^|1><-10>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6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6> || 1996년 || 1997년 || 1998년 || 1999년 || || 13,436명 || 16,628명 || 17,657명 || 17,390명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 18,368명 || 19,353명 || 20,932명 || 17,169명 || 17,258명 || 17,473명 || 18,326명 || 18,440명 || 17,444명 ||}}}}}}}}}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17,556명 || 17,315명 || 16,977명 || 17,400명 || 17,883명 || 17,544명 || 17,224명 || 16,951명 || 17,047명 || 17,206명 || || 2020년 || || '''12,123명''' || * 출처: [[http://info.korail.com/mbs/www/jsp/board/list.jsp?boardId=9863289&id=www_060700000000|철도통계연보(~2004년)]], [[http://info.korail.com/mbs/www/jsp/board/list.jsp?boardId=10224927&id=www_020203020000|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2005년~)]] * 마두역의 하루 평균 이용객은 약 17,000여 명으로 [[일산신도시]] 3호선 [[일산선]] 구간 5개 역 중에서 가장 낮은 이용객 수를 기록하고 있다. 심지어 13년 늦게 개통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일산역]] 보다 이용객 수가 적다. 또한 2019년 이후로 [[원흥역]]의 이용객 수가 17,000명대로 도달되어 원흥역과 비슷한 승하차 수를 기록하고 있다. * 주 수요처는 마두동과 장항2동 아파트 단지 주민들, 그리고 풍동 지구 주민들이다. 풍동 지구는 [[백마역]]이 훨씬 가까워서 이 쪽의 이용률이 높을 것 같지만 의외로 마두역에서 열차를 타는 수요가 어느 정도 있다. [* 080, 081, 082, M7119, 871번이 마두역 정류장을 지난다.] 이 쪽의 상권이 훨씬 발달한 데다 고양시 전체에서 버스가 가장 많이 다니는 교통 거점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 마두역 정류장[* 일산동부경찰서 정류장과 일산동구청 정류장.]처럼 많이 내리지 않지만, [[고양시]] 최고의 교통 거점으로서 수많은 버스가 밀집한 곳이다. 그 때문에 마두동 주민들의 상당수는 수시로 몰려드는 각종 광역버스들[* [[파주 버스 200|200번]], [[고양 버스 1000|1000번]], [[고양 버스 1100|1100번]], [[고양 버스 1500|1500번]], [[김포 버스 2000|2000번]], [[경기광주, 고양 버스 9700|9700번]], [[서울 버스 9707|9707번]]] 및 엠버스[* [[광역급행버스 M7106|M7106번]], [[광역급행버스 M7119|M7119번]], [[광역급행버스 M7412|M7412번]]], 영등포와 신촌, 김포공항으로 가는 좌석버스[* [[고양 버스 830|830번]], [[고양 버스 871|871번]]] 및 일반버스들[* [[파주 버스 56|56번]], [[고양 버스 66|66번]], [[파주 버스 150|150번]], [[서울 버스 773|773번]], [[서울 버스 7727|7727번]]]을 이용하는 경향이 매우 강하다. * 구파발, 연신내로 크게 돌아가면서 도심 구간에서도 광화문, 시청, 종각, 명동 등의 중심지를 지나가지 않는 3호선의 선형으로 인해 이탈하는 수요가 너무 많다. 특히 주엽~마두 구간이 인근 경의·중앙선의 역으로 대체가 가능한 일산~백마 구간으로 이탈하면서 이 3역의 수요 감소가 눈에 띈다. 서울로의 수요는 물론이고 같은 고양시 내에서의 이동 또한 분담률이 높지 않다. * 2023년 [[수도권 전철 서해선]]이 고양시까지 연장 운행되면, 이용객 수가 소폭 증가될 것으로 예측된다. == 승강장 == [[파일:attachment/akendur.png|width=500]] ||<-4> [[정발산역|정발산]]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백석역|백석]]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정발산역|정발산]]·[[주엽역|주엽]]·[[대화역|대화]] 방면|| || {{{#ffffff 하}}} ||[[구파발역|구파발]]·[[충무로역|충무로]]·[[교대역(서울)|교대]]·[[오금역|오금]] 방면|| === 버스교통 === ||<-2> 운행 버스 || || [[시외버스|{{{#000000,#ffffff 시외버스}}}]] || [[시외버스 3000|3000]][*A 가변차로에 정차] · [[시외버스 5000|5000]][*A] || || [[공항버스|{{{#ffffff 공항버스}}}]] || [[공항버스 7300|7300]] || || [[광역급행버스|{{{#00bfff 광역급행버스}}}]] || [[광역급행버스 M7106|M7106]] · [[광역급행버스 M7119|M7119]] · [[광역급행버스 M7412|M7412]] || || [[경기순환버스|{{{#ffffff 경기순환버스}}}]] {{{#ffffff ·}}} [[간선급행버스|{{{#ffffff 간선급행버스}}}]] {{{#ffffff ·}}} [[직행좌석버스|{{{#ffffff 직행좌석버스}}}]] || [[고양 버스 1000|1000]] · [[고양 버스 1100|1100]] · [[고양 버스 1500|1500]] · [[파주 버스 200|200]] · [[김포 버스 2000(선진버스)|2000]] · [[공항버스 3300|3300]] · [[경기순환버스 8109|8109]] · --[[경기순환버스 8407|8407]]---- · [[경기광주 버스 9700|9700]] · [[서울 버스 9701|9701]] · [[서울 버스 9707|9707]] · [[서울 버스 9711|9711]] · [[서울 버스 9714|9714]] || || [[일반좌석버스#s-3.2|{{{#ffffff 일반좌석버스}}}]] {{{#ffffff ·}}} [[간선버스(서울)|{{{#ffffff 간선버스}}}]] || [[서울 버스 707|707]] · [[고양 버스 830|830]] · [[고양 버스 871|871]] || || [[시내버스|{{{#ffffff 일반시내버스}}}]] {{{#ffffff ·}}}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버스}}}]] || [[고양 버스 11|11]] · [[파주 버스 150|150]] · [[파주 버스 56|56]] · [[고양 버스 66|66]] · [[고양 버스 77|77]] · [[서울 버스 7727|7727]] · [[파주 버스 80|80]] · [[고양 버스 88|88A]] · [[고양 버스 88|88B]] · [[파주 버스 90|90]] · [[고양 버스 95|95]] · [[고양 버스 96|96]] || || [[마을버스#s-2.2|{{{#ffffff 마을버스}}}]] || [[고양 버스 010|010]] · [[고양 버스 056|056(도촌)]] · [[고양 버스 056|056(멱절)]] · [[고양 버스 056|056(서촌)]] · [[고양 버스 066|066]] · [[고양 버스 070|070]] · [[고양 버스 078|078]] · [[고양 버스 080|080]] · [[고양 버스 081|081]] · [[고양 버스 082|082]] · [[고양 버스 089|089]] || == 기타 == * MBC [[무한도전]]의 [[https://youtu.be/QU0ZpyROppE?t=7692|자리재배치 특집]]에서 [[유재석]]이 [[하하(가수)|하하]]에게 2번이나 배신당하고 해메다 택시를 타고 모델하우스로 돌아가는 과정에서 이 곳이 언급된다. ~~나 [[2005년|5년 전]]에 여기 와봤어요~~ ~~동훈씨 나 알죠?~~ * [[굽시니스트]]가 [[본격 시사인 만화]]에서 [[니콜라스 마두로|'''마두'''로]]와 엮은 드립을 날린 적이 있다. [[https://sisain.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32622|#1]], [[https://sisain.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34014|#2]] [include(틀:고양시의 교통)] [[분류:1996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수도권 전철 3호선]][[분류:일산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일산동구]][[분류:고양시의 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