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남아시아의 민족)] [include(틀:인도이란인)] [[파일:Maratha Light Infantry Legiment.jpg]] * 마라타 경보병 연대 [목차] [clearfix] == 개요 == 마라티인은 [[인도]]의 [[데칸 고원]]에 위치한 [[마하라슈트라]] 주의 주 민족으로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며, [[인도아리아어군]] [[마라티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뜻한다. 마라티인들은 북인도의 [[인도아리아인]]과 남인도의 [[드라비다어족]] 언어를 쓰는 민족들 사이의 경계에 있다. 인구는 8천3백만여 명에 달하며 이 중 대부분이 마하라슈트라 주 및 그 주변 지역에 거주한다. 과거에는 상당히 빈곤한 편이었으나, [[데칸 술탄국]]과 [[마라타 동맹]]을 거치며 점점 세력을 키워 오늘날에는 [[뭄바이]]를 중심으로 마하라슈트라 지방 경제가 번영하면서 비교적 잘 사는 편에 속한다. 이러한 영향으로 마라티인 중에는 인도 내 다른 지방으로 이민하는 경우가 드문 편이다. == 기원과 역사 == 데칸 고원은 척박하고 교통이 불편하여 고대에는 북인도에 비교하면 매우 빈곤한 지방에 속하였다. 밀과 쌀 대신에 [[수수]]와 [[기장(식물)|기장]]을 주식으로 삼았으며 내륙 지방의 경우 소금이 부족하여 생존이 힘든 수준이었다. 인도를 침공한 [[인도아리아인]]들은 데칸 고원 북부에 해당하는 마하라슈트라 지방까지 진출하긴 했으나, 보다 남쪽의 남부의 [[카르나타카]], [[안드라프라데시]]에 해당하는 지역은 공략을 포기했다. 기원전 3세기부터는 [[사타바하나 왕조]]가 왕조가 들어서며 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불교 문화가 번성하기 시작했고 이후 서기 3세기 이후 [[바카타카 왕조]] 시대부터 힌두교가 번성하기 시작했다. 13세기 [[야다바 왕조]] 시기에 이르러 [[마라티어]] 문학이 발전하기 시작하고 이 시기 즈음 되면 불교가 힌두교에 밀려 완전히 쇠락하였다. 이슬람 왕조 [[델리 술탄 왕조]]에서 갈라져나온 [[바흐마니 술탄국]], [[데칸 술탄국]]의 지배를 거치면서 마라티인 문화에는 페르시아-순니 이슬람 문화의 요소가 상당 부분 유입되었다. 데칸 술탄국의 지배자들은 힌두교도들을 이슬람으로 전부 개종시키는 것보다는 카스트 제도에 바탕을 둔 전문화된 분업 경제 체제를 활용하여 최대한 많은 세금을 산출하는데 관심을 두었기 때문에 당시 마라티인 피지배층 대부분은 힌두교를 그대로 유지하고 이슬람 문화의 일부 요소만 받아들이는데 그쳤다. 대항해시대 포르투갈이 [[고아(인도)]]에 이어 16세기 초반 당시 소도시였던 [[뭄바이]]를 장악하면서 토마토와 감자 같은 신대륙 작물들이 인도로 전래되었는데, '''새로 유입된 [[감자]]가 척박한 데칸 고원에서도 높은 생산성을 자랑했기 때문에 이후 마라티인 인구는 빠른 속도로 증가되고 경제력과 생활수준도 전반적으로 향상되기 시작했다.''' 데칸 술탄국은 무굴 제국에 병합되었지만, 무굴 제국의 지배를 받던 마라타인들은 힘을 합쳐 [[마라타 동맹]]을 세우고 데칸 고원에서 육성한 경기병 전력을 바탕으로 인도 각지에서 무굴 제국을 쳐부수기 시작했다. 특히 무굴 제국의 주요 무역 항구이자 세입원이었던 [[구자라트]]의 [[수라트]]를 공격하여 약탈하면서 해상 무역의 중심지는 마하라슈트라의 뭄바이로 이동하였고, 이는 마하라슈트라 지방의 무역이 더 번성하고 경제가 급성장하는 결과를 낳았다. 수라트가 초토화되자 영국의 동인도회사는 1687년 중심지를 수라트에서 뭄바이로 이동하였다. 당시 영국은 포르투갈로부터 뭄바이를 넘겨받았던 상황이었다. 전성기를 누리던 [[마라타 동맹]]은 아프간인들과 영국의 공격으로 몰락하여 속국이 되었지만, 마라타인들은 인도 내에서 입지를 강화하는데 성공하였다. 마하라슈트라 지방 역시 [[영국령 인도 제국]] 시기 다른 지방들에 비해 식민 지배 정책의 타격을 비교적 적게 받으면서 오늘날 기준 인도에서 가장 부유한 핵심 지역이 되었다. == 종교 == 마라티인 인구 80% 가까이는 [[힌두교]]를 믿고 있지만 과거 데칸 술탄국의 영향으로 [[순니파]] [[이슬람]]을 믿는 무슬림 인구도 11% 이상을 차지하는 편이다. 이 외에도 [[빔라오 람지 암베드카르]] 박사에 의해 불가촉천민에서 불교로 개종한 신불교도(Neo Buddhists) 인구도 5% 이상 차지하며 불가촉천민 외에도 불교로 개종한 인구도 약간 있다. 암베드카르가 창시한 나바야나 불교 신도는 대개 마하르족 출신으로, 인도 전체 불교 인구의 87%가 마하라슈트라 주에 거주하는 상황이다. 마하라슈트라 주가 인도 내에서 비교적 교육 수준이나 소득 수준이 높은 지역인 영향으로 인도 불교도들의 평균 문해율 역시 인도 평균에 비해서 높은 편이다. 뭄바이가 경제적으로 부흥하면서 [[자이나교]] 신도들도 상당수 정착하여 전체 인구의 1.25%를 차지하며, [[인도 유대인]] 베네 이스라엘도 6만여 명에 달한다.[* 베네 이스라엘의 경우 상당수가 이스라엘로 이주한 상황이다.] 마하라슈트라 지방과 카르나타카 지방의 경계에 위치한 해안 도시 고아의 [[콘칸인]]들은 마라티인들과 근연 관계의 민족으로 가톨릭을 믿는다. 마하라슈트라 내 인구 중에서도 영국 지배 영향으로 개신교로 개종한 경우도 있으나 전체 인구의 1% 이하이다 또한 사회주의 영향을 받아 무종교인인 경우도 존재한다. 인도 내 다른 지역, 다른 민족들과 마찬가지로 마라티인 힌두교도는 데샤스타(사제) 쿤비(소작농), 단가르(목동), 로하르(대장장이), 수타르(목수) 등 직업에 따라 자티가 분화되었다. 원래 마라타는 평민 계층을 지칭하던 용어였으며 상층 카스트 상당수는 중세 야다브 왕조 시절 구자라트 지역에서 이주해온 사람들의 후손이라고 한다. 과거 힌두교 국가 [[마라타 동맹]]이 이슬람 [[무굴 제국]]을 격파한 역사 때문에 오늘날에는 힌두 민족주의자들의 세가 좀 강한 편이다. [각주] [[분류:인도아리아인]][[분류:인도의 민족]][[분류:마하라슈트라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