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NAR 그랑프리 특별 표창마)]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마르슈 로렌 브리더스컵.jpg|width=100%]]}}} || ||<-2> 이름 || マルシュロレーヌ[br]Marche Lorraine || ||<-2> 출생 || [[2016년]] [[2월 4일]] ([age(2016-01-01)]세) || ||<-2> 성별 || 암컷 || ||<-2> 털색 || 갈색 (鹿毛, 카게) || ||<-2> 아비 || [[오르페브르]] || ||<-2> 어미 || 비트 마르슈(ヴィートマルシェ) || ||<-2> 외조부 || 프렌치 데퓨티(French Deputy)[* [[쿠로후네]]의 부마다.] || ||<-2> 생산자 || [[샤다이 그룹#노던 팜|노던 팜]] || ||<-2> 마주 || [[샤다이 그룹#캐럿 팜|캐럿 팜]] || ||<-2> 조교사 || [[야하기 요시토]] (릿토) || ||<-2> 성적 || 22전 9승 (9-2-2-9)[br]14전 4승[*중앙][br]6전 4승[*지방][br]1전 1승[*NA][br]1전 0승[*SAU] || ||<-2> 총상금 || 3억 8095만 2200엔[br]6607만 9000엔[*중앙][br]1억 2720만엔[*지방][br]100만 미국 달러[*NA][br]64만 미국 달러[*SAU] || ||<|3> 주요[br]우승 || G1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브리더스컵]] 디스태프 (2021)''' || || Jpn2 || [[레이디스 프렐류드]] (2020)[br][[엠프레스배]] (2021) || || Jpn3 || [[TCK 여왕배]] (2021)[br][[브리더스 골드 컵]] (2021) || ||<-2> 상세 정보 || [[https://db.netkeiba.com/horse/2016104426/|[[파일:netkeiba_logo.png|width=85]]]] | [[https://www.jbis.jp/horse/0001215728/|JBIS]]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경주마. [[샤다이 그룹]] 계열 노던 팜 생산마이며, 마주는 노던 팜 산하 캐럿 팜이다. 마명의 유례는 프랑스의 행진곡 로렌에서 따왔다. 모마 비트 마르슈의 이름에서 연상했다. 일본 조교마 중 사상 처음으로 해외 더트 G1을 제패한 경주마이기도 하다. 상단 사진에서 맨 왼쪽의 말이다.[* 오른쪽의 말은 당시 브리더스컵 디스태프에서 2착을 기록한 말이자 이 경기가 은퇴 경기였던 던바 로드. 2019년에 앨라배마 스테이크스를 우승한 G1 우승마다.]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오르페브르]][br]{{{-2 オルフェーヴル[br]2008}}}||<|2>[[스테이 골드]][br]{{{-2 ステイゴールド[br]1994}}}||[[선데이 사일런스]][br]{{{-2 Sunday Silence}}}|| ||골든 새시[br]{{{-2 ゴールデンサッシュ}}}|| ||<|2>오리엔탈 아트[br]{{{-2 オリエンタルアート[br]1997}}}||[[메지로 맥퀸]][br]{{{-2 メジロマックイーン}}}|| ||일렉트로 아트[br]{{{-2 エレクトロアート}}}|| ||<|4>비트 마르슈[br]{{{-2 ヴィートマルシェ[br]2002}}}||<|2>프렌치 데퓨티[br]{{{-2 French Deputy[br]1992}}}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데퓨티 미니스터[br]{{{-2 Deputy Minister}}}|| ||미테랑[br]{{{-2 Mitterand}}}|| ||<|2>[[쿄에이 마치]][br]{{{-2 キョウエイマーチ[br]1994}}}||[[댄싱 브레이브]][br]{{{-2 Dancing Brave}}}|| ||인터 샤르망[br]{{{-2 インターシャルマン}}}|| ||<-3>* [[노던 테이스트|Northern Taste]] 5×4 9.375%[br]* [[노던 댄서|Northern Dancer]] 5×5×5 9.375%|| 어미 비트 마르슈는 [[메지로 도베르]]를 꺾고 1997년 오카상을 우승했으며 당대의 명 마일러중 하나였던 [[쿄에이 마치]]의 초년도 산구이자 비교적 이른 나이에 죽은 쿄에이 마치[* 2007년 사망, 사인은 대장변위.]가 세상에 남긴 자마 4마리 중 유일한 암말이다. 쿄에이 마치도 자식을 둘 밖에 남기지 못하고 행방불명된 어미 인터 샤르망의 유일한 딸이므로,[* 쿄에이 마치를 포함한 산구 두 마리가 전부 심각한 각부 불안을 안고 태어났던데다 쿄에이 마치의 형제마는 데뷔조차 하지 못했을 정도로 상태가 좋지 않았다. 심지어 이후로 임신도 연속으로 실패하자 용도 변경 후 행방불명.] 어렵게 이어진 혈통에서 사상 첫 일본 조교마의 해외 더트 G1 제패라는 대박이 터진 것. 더트 적성도 모계에서 이어받았는데, 외조부 프렌치 데퓨티는 [[쿠로후네(말)|쿠로후네]]를 필두로 더트, 터프를 가리지 않고 여러 중상마를 내온 명 종마이며 외조모 쿄에이 마치도 신마 시절 더트 코스에서 압도적인 도주를 보여주었고 커리어 중후반에는 더트 중상에도 가끔씩 깜짝 등판해 G1급 대회인 마일 챔피언십 남부배 2착 등의 성적을 거두며 더트 적성의 편린을 보였던 바가 있다. == 커리어 == 데뷔도 늦은데다 잔디에선 그저 그런 성적을 보이던 준오픈 클래스의 경주마였으나, 4세 가을을 기점으로 더트로 전환하면서 혈통 속 더트 재능이 개화해 커리어가 크게 변하게 된다. 더트 데뷔전이었던 사쿠라지마 스테이크스에서 단번에 우승을 차지, 그 뒤로 지방과 중앙의 여러 더트 중상에 도전해 출주한 중상 6전 중에서 세번을 우승하는 기염을 토했다. 2021년 8월 몬베츠에서 열린 브리더스 골드 컵을 우승하고 네번째 더트 중상 우승을 달성한 뒤 늦은 여름 휴가를 떠났다 돌아와 갑자기 마방 동료 [[러브즈 온리 유]]와 함께 미국 원정길에 올라 2021년 [[브리더스컵]] 디스태프에 9번 인기로 참가하는데… 참가한 브리더스컵 디스태프에서는 스타트 이후 최종 코너 전까지 후방 3번째에서 힘을 비축하다가, 최종 코너 & 직선에서 강렬한 스퍼트로 선두로 치고 올라오더니, 던바 로드와 동시에 골인, 사진 판독 결과 코 차이로 우승하면서 대역전 우승했다. 원래는 마방 동기이자 친한 친구 사이인 [[러브즈 온리 유]]의 외로움을 잘 타는 성격 때문에 멘탈 케어를 위해 같이 데려갔는데, 이것이 주효해서 러브즈 온리 유는 빠르게 현지적응에 성공해 브리더스컵 필리&메어 터프를 우승했고 이쪽도 대박을 터뜨렸다. 더트로 전환하고 1년이 채 되지 않는 짧은 기간 안에 더트 중상을 네번이나 우승하긴 했지만, 태반이 지방의 교류 더트 중상이었으며 그 와중에도 G1급은 우승하지 못해 다들 큰 기대를 하지 않았던지라 그야말로 대박. 현지 언론에서도 ‘충격적인 [[업셋]]’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https://www.americasbestracing.net/the-sport/2021-marche-lorraine-pulls-shocking-upset-longines-distaff|#]], 그외에도 현지에선 선데이 사일런스의 직계인 점으로도 관심을 받았다고. 2021년 연도대표마 투표에서 1표를 받았다. 최우수 더트 호스에선 [[챔피언스 컵]]을 우승한 티오 케인스에게 밀렸고, 특별상이라도 주자는 의견이 나왔으나 위원회에서 티오 케인스와의 득표차가 너무 큰데다 라이트 팬들에게 인지도가 낮다는 이유로 거부되었다.[[https://news.yahoo.co.jp/articles/1e991a10b6733519df207fcfae5e3ecc79e16d53|#]] 하지만 올웨더로 개최된 두바이 월드컵을 승리한 [[빅투아르 피사]]를 제외하면 일본 최초로 해외의 더트 G1을 그것도 더트 경마 최강국인 미국의 대회를 제패한 마르슈 로렌이 아무런 상도 받지 못한다는 건 말도 안된다고 반발하는 의견도 많다. 다만 어느정도 수긍하는 사람들도 있는 편. 브리더스컵 클래식이 아닌, 상대적으로 평가를 낮게 치는 암말 한정 경주라는 점, 티오 케인즈가 우승했던 제왕상에서 무려 8착으로 침몰한 전적이 있기 때문.[[https://news.yahoo.co.jp/articles/31f9fb20888202af4a5a77500e1310c1b0476055|#]] 그래도 [[러브즈 온리 유]]와 같이 NTRA(전미 서러브레드 협회)에서 주관하는 [[이클립스(말)|이클립스]] 어워드 최종 후보에 이름을 올리면서 특별상을 받지 못한 설움을 털어냈다. 최종 후보에 오르는 거 자체부터가 여러 북미 및 유럽 말들을 상대로 경쟁을 하면서 이겼기 때문에 그거만 해도 대단한 업적이다. 2022년에는 당해 처음 국제 G1으로 승격된 사우디 컵에 출주, 6착을 기록했다. 사우디 컵을 끝으로 커리어를 마치고 은퇴하게 되었다. 2022년 3월 9일 경주마 등록이 말소되었다고 하며, 노던 팜에서 번식 암말로 지내게 된다. == 여담 == * 아비와는 반대로 붙임성이 매우 좋은 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외로움을 매우 잘 타는 마방 친구 [[러브즈 온리 유]]가 미국 현지에 이례적으로 빨리 적응할 수 있었으며, 브리더스컵 디스태프 우승 직후 인터뷰를 할 때 기자가 탄 말(물론 서로 초면)에게도 친한척을 할 정도였다. 다만 호기심도 지나치고 산만한 데가 있어서, 미국 원정에서 처음으로 일본과는 달리 일반 경주마에 준할 정도로 덩치가 큰 미국 포니를 보고 발광에 가까운(...) 호들갑을 떨었다. (호들갑을 멈춘 뒤로는 서로 잘 지냈다고 한다.)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경주일 || 경마장 || {{{#!wiki style="min-width: 130px" 경기명}}} || 그레이드 || {{{#!wiki style="min-width: 80px" 트랙}}} || 배당[br](odds)[* 서양권에서 사용하는 배당 표기 값이다. 분수로 표기하며, 한국/일본에서 사용하는 배당율과 달리 원금을 제외하므로 값이 1만큼 작다.] || 인기|| 착순 || 기수 || 1착마[br](2착마) || ||<-10> 2019년 {{{-1 (3세)}}} || || 2.3 || [[교토 경마장|교토]] || 3세 신마 || || 잔디 1600m || 8.9 || 4 || 2착 || [[이케조에 켄이치]] || 아이 러브 테일러 || || 2.23 || [[한신 경마장|한신]] || 3세 미승리 || || 잔디 1800m || 6.3 || 5 || 5착 || 사카이 류세이 || 다논 테이오 || || 5.25 || 교토 || 3세 미승리 || || 잔디 1600m || 9.1 || 4 || 9착 || [[이케조에 켄이치]] || 미드서머 하우스 || || 7.21 || [[주쿄 경마장|주쿄]] || 3세 미승리 || || 잔디 1600m || 3.9 || 3 || 5착 ||<|2> [[후쿠나가 유이치]] || 마니 || || 8.10 || [[코쿠라 경마장|코쿠라]] || 3세 미승리 || || 잔디 1800m || 7.0 || 4 || '''{{{#red 1착}}}''' || (에센차) || || 10.19 || [[니가타 경마장|니가타]] || 3세 이상 1승 클래스 || || 잔디 1600m || 6.6 || 2 || 6착 || 타나카 카츠하루 || 캔디 스톰 || || 11.3 || [[후쿠시마 경마장|후쿠시마]] || 3세 이상 1승 클래스 || || 잔디 2000m || 6.5 || 4 || '''{{{#red 1착}}}''' || 이시카와 유키토 || (라레종) || ||<-10> 2020년 {{{-1 (4세)}}} || || 3.29 || 한신 || 시코쿠신문배 || 2승 || 잔디 2000m || 9.1 || 5 || '''{{{#red 1착}}}''' ||<|2> 사카이 류세이 || (럼블링 앨리) || || 4.25 || 후쿠시마 || [[후쿠시마 암말 스테이크스]] || GIII || 잔디 1800m || 20.4 || 8 || 9착 || 페어리 폴카 || || 5.16 || 니가타 || 펄 스테이크스 || 3승 || 잔디 1800m || 9.4 || 4 || 12착 || 나카타니 유타 || 안드라스테 || || 6.14 || 한신 || [[머메이드 스테이크스]] || GIII || 잔디 2000m || 29.2 || 13 || 6착 || 타카쿠라 료 || 서머 센트 || || 8.16 || 코쿠라 || 하카타(博多) 스테이크스 || 3승 || 잔디 2000m || 6.0 || 3 || 2착 || [[타케 유타카]] || 캐서드럴 벨 || || 9.5 || 코쿠라 || 사쿠라지마(桜島) 스테이크스 || 3승 || 더트 1700m || 3.8 || 2 || '''{{{#red 1착}}}''' ||<|3> [[카와다 유가]] || (쿠리노 플래시) || || 10.8 || [[오이 경마장|오이]] || 레이디스 프렐류드 || JpnII || 더트 1800m || 2.3 || 1 || '''{{{#red 1착}}}''' || (마드라스 체크) || || 11.3 || 오이 || [[JBC 레이디스 클래식]] || '''JpnI''' || 더트 1800m || 1.3 || 1 || 3착 || 패셔니스타 || ||<-10> 2021년 {{{-1 (5세)}}} || || 1.20 || 오이 || TCK 여왕배 || JpnIII || 더트 1800m || 1.9 || 1 || '''{{{#red 1착}}}''' ||<|3> 카와다 유가 || 렌 블랑슈 || || 3.4 || 오이 || 엠프레스배 || JpnII || 더트 2100m || 2.3 || 1 || '''{{{#red 1착}}}''' || (살사 디오네) || || 5.22 || 주쿄 || [[헤이안 스테이크스]] || GIII || 더트 1900m || 4.1 || 3 || 3착 || 오베르뉴[* 일본의 경주마. [[스마트 팔콘]]의 대표 산구. 2021년에 G2 토카이 스테이크스를 우승했다. 외조부가 [[타니노 김렛]]이다.] || || 6.30 || 오이 || [[제왕상]] || '''JpnI''' || 더트 2000m || 55.0 || 9 || 8착 || 모리 타이토 || [[티오 케인스]] || || 8.12 || 몬베츠 || 브리더스 골드 컵 || JpnIII || 더트 2000m || 1.5 || 1 || '''{{{#red 1착}}}''' || 카와다 유가 || (리넨 패션) || || 11.6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델마 || '''[[브리더스컵]] 디스태프''' || '''GI''' || 더트 9f[* 약 1811m] || (45/1) || 9 || '''{{{#red 1착}}}''' || 오이신 머피 || (던바 로드)[* 미국의 경주마. 2019년 앨라배마 스테이크스를 우승했다.] || ||<-10> 2022년 {{{-1 (6세)}}} || || 2.26 || [[사우디아라비아|[[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25px]]]] 킹 압둘아지즈 || [[사우디 컵]] || '''G1''' || 더트 1800m |||| 미발매 || 6착 || [[크리스토프 수미용]] || 엠블럼 로드[* 미국에서 생산된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주마. 사우디 조교마로는 처음으로 사우디 컵을 우승해서 사우디 총대장으로 불리기도 했다. 현재는 프랑스로 거점을 옮겼다.] ||}}} [include(틀:브리더스컵 디스태프,grade=GI)] ---- [include(틀:레이디스 프렐류드,grade=JpnII)] [include(틀:엠프레스배,grade=JpnII)] ---- [include(틀:TCK 여왕배,grade=JpnIII)] [include(틀:브리더스 골드 컵,grade=JpnIII)] [[분류:경주마/일본 생산]][[분류:경주마/일본 조교]][[분류:씨암말/일본]][[분류:2016년 출생/경주마]][[분류:릿토 트레이닝 센터 소속/경주마]][[분류:스테이 골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