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기원전 2세기 집정관]][[분류:로마 공화국 집정관]] [include(틀:역대 로마 집정관/기원전 2세기)] ||||<#800080> {{{#ffffff {{{+3 '''마르쿠스 바이비우스 탐필루스''' }}}[br]{{{-1 [[라틴어]]: Marcus Baebius Tamphilus }}} }}} || ||<#800080> {{{#ffffff '''생몰년도''' }}} ||미상 ~ 미상 || ||<#800080> {{{#ffffff '''출생지''' }}} ||이탈리아 로마 || ||<#800080> {{{#ffffff '''사망지''' }}} ||이탈리아 로마 || ||<#800080> {{{#ffffff '''지위''' }}} ||노부스 호모(Novus Homo: 신참자) || ||<#800080> {{{#ffffff '''국가''' }}} ||[[로마 공화정]] || ||<#800080> {{{#ffffff '''가족''' }}} ||그나이우스 바이비우스 탐필루스[br]퀸투스 바이비우스 탐필루스(아버지)[br][[그나이우스 바이비우스 탐필루스]](형제) || ||<#800080> {{{#ffffff '''직업''' }}} ||[[로마 공화정]] [[집정관]] || ||||<#800080> {{{#ffffff '''로마 공화정 집정관''' }}} || ||<#800080> {{{#ffffff '''임기''' }}} || 기원전 181년 || ||<#800080> {{{#ffffff '''전임''' }}} ||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파울루스 마케도니쿠스]][br][[그나이우스 바이비우스 탐필루스]] || ||<#800080> {{{#ffffff '''동기''' }}} ||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케테구스]] || ||<#800080> {{{#ffffff '''후임''' }}} || [[아울루스 포스투미우스 알비누스 루스쿠스]][br][[가이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기원전 180년 집정관)|가이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 || [목차] [clearfix] == 개요 == [[로마 공화국]] [[집정관]]. == 생애 == 고대 로마의 [[플레브스]] 집안인 바이비우스 씨족의 일원이다. [[파스티 카피톨리니]]에 따르면, 조부는 그나이우스, 아버지는 퀸투스라는 프라이노멘을 사용했다고 한다. 퀸투스 바이비우스 탐필루스는 기원전 219년 [[한니발 바르카]]의 [[사군툼 공방전]]에 항의하기 위해 카르타고를 방문하고 나중에 카르타고에 전쟁을 선포한 사절단의 일원으로 알려졌다. 형제로 기원전 182년 집정관을 역임한 [[그나이우스 바이비우스 탐필루스]]가 있었다. 기원전 194년 시푼타 시를 새로 건설하는 임무를 맡은 위원회의 일원이 되었다. 기원전 192년 [[법무관]]에 선임된 뒤 히스파니아 속주에 부임했지만, 나중에 [[셀레우코스 제국]]의 [[안티오코스 3세]]와 로마간의 전쟁이 임박하자 브루티움으로 옮겨져 2개의 로마 군단과 15,500명의 동맹군을 이끌었다. 이후 타렌툼과 브룬디시움으로 군대를 이동시킨 뒤 에페이로스로 수송하여 아폴로니아에 숙영지를 세웠다. 이듬해 임기를 연장받은 뒤 로마 편에 선 마케도니아 국왕 [[필리포스 5세]]와 함께 테살리아를 침공해 안티오코스 3세를 지원하는 여러 도시를 점령했다. 이후 집정관 [[마니우스 아킬리우스 글라브리오(기원전 191년 집정관)|마니우스 아킬리우스 글라브리오]]의 지휘를 받으며 헤라클레아 포위전에 참여해 일부 부대를 이끌었다. 기원전 185년 필리포스 5세에 대한 여러 도시 국가들의 불만 사항을 접수하기 위해 그리스로 파견된 3명의 사절단 중 한 명이었다. 그들은 템피 계곡에서 열린 회의에서 필리포스 5세가 최근 수년간 점령한 모든 도시에서 군대를 철수시키기로 합의했다. 이후 필리포스 5세가 점령하고 있던 트라키아의 두 도시인 에노스와 마로네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테살로니카로 향했다. 사절단은 두 도시를 [[페르가몬 왕국]]의 [[에우메네스 2세]]에게 넘기기로 했다. [[티투스 리비우스 파타비누스]]는 이 결정은 필리포스 5세에게 심각한 모욕을 안겼으며, 마케도니아인들이 마음 속에 분노를 품게 만들어 [[제3차 마케도니아 전쟁]]이 발발한 원인이 되었다고 주장했다. 기원전 181년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케테구스]]와 함께 집정관에 선임된 뒤 동료와 함께 리구리아를 임지로 부여받아 기원전 180년까지 통치를 수행하면서 알프스 부족들을 무력이 아닌 말로 설득해 복종시킨 뒤 삼니움에 재정착시켰다. 이후 로마로 돌아와서 [[개선식]]을 거행했다. 이는 군사적 승리 이외의 이유로 개선식이 거행된 최초의 사례였다. 이후의 행적은 전해지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