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로마 집정관/2세기)] ||<-2><#8B0000> '''{{{+1 {{{#fecd21 Mamertinus [br] 마메르티누스}}}}}}''' || || '''전체 이름''' ||마르쿠스 페트로니우스 수라 마메르티누스[br]Marcus Petronius Sura Mamertinus || || '''출생''' ||미상 || || '''사망''' ||192년 || || '''직위''' ||원로원 의원, [[집정관]] || || '''가족'''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장인)[br][[소 파우스티나]](장모)[br] [[코르니피키아]](아내)[br]페트로니우스 안토니누스(아들) || [목차] [clearfix] == 개요 == [[로마제국]]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시기의 원로원 의원, 서기 182년 정규 집정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의 사위로, 로마 제국의 서기 2세기 ~ 4세기에 살았던 원로원 의원 중 그리스, 아나톨리아와 함께 가장 부유하고 보수적인 푸닉 지방의 재벌 귀족의 대표주자로 유명하다. 아내 코르니피키아 공주의 1살 아래 동생인 [[콤모두스]]의 신임 아래, 서기 182년 집정관이 됐다. 그렇지만 그는 처남의 신임을 저버리고, 이 음모에 간접개입했다. 따라서 이 사건 후, 본래부터 사이가 좋지 않던 아내와 사이가 최악이 됐고, 아내와 별거했다. 그러다가 192년, 콤모두스를 노린 모종의 반역죄를 주도한 혐의 등으로 아들, 남동생, 누나 일가와 함께 몰살됐다. == 생애 == [[도미티아누스]] 시대부터 로마 제국과 원로원 안에서 그리스, 아나톨리아, 시리아와 함께 매우 보수적이고, 부를 독차지한 푸닉 지방 출신에서도, 재벌 신흥귀족 출신이다. 이름에서 드러나듯이, 그 조상은 이탈리아에서 [[포에니 전쟁]] 후 옛 카르타고 본토로 건너간 이탈리아계 푸닉인이다. 다만, 그의 성장 과정 등에서 확인되듯이, 푸닉 지방을 본적으로 두면서 그 가족은 로마와 푸닉을 오가면서 살았다. 아버지는 마르쿠스 페트로니우스 마메르티누스는 서기 150년 보결 집정관이었고, 출신 가문은 아프리카 속주와 황제령 아이깁투스 등지에 가진 사업체가 많고 진짜 부유하면서도, 그 인맥이 제국 전역에 펼쳐져 있었다. 그의 친척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루키우스 베루스]] 형제가 진심으로 존경한 문법가이자 교육자 [[마르쿠스 코르넬리우스 프론토]]였다. 이런 배경 덕분에, 친척어른 프론토의 제자인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의 딸 소(小) 안니아 코르니피키아 파우스티나 공주와 로마에서 약혼 후 결혼했다. 두 사람은 173년 결혼 후, 사이에서 외아들 페트로니우스 안토니누스를 낳았다. 형제로는 서기 190년 집정관을 지낸 마르쿠스 페트로니우스 수라 셉티미아누스가 있었고, 이름 미상의 누이는 저명하고 부유한 원로원 의원으로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방계 황족 마르쿠스 안토니누스 안티우스 루푸스의 아내였다. 대개의 정략혼처럼 아내 [[코르니피키아]] 공주와는 사이가 최악이었다고 한다. 그렇지만 아내의 1살 아래 남동생 [[콤모두스]]와는 사이가 좋아 그의 친구로 있으면서 장인 생전부터 그의 추천을 받았다. 180년 장인이 서거하고, [[콤모두스]]가 제위에 오른 뒤, 그의 신임 아래 승승장구했다. 그는 182년 처남의 추천 아래 집정관이 됐다. 하지만 마메르티누스는 처형 [[루킬라]]가 주도해 꾸민 182년 음모([[콜로세움 암살미수 사건]])에 간접적으로 개입했고, 이는 두 사람의 관계를 파탄으로 몰고 갔다. 그렇지만 확실한 증거도 없고, 마메르티누스가 직접 개입은 하지 않아, 처형은 면했다. 이는 그와 그의 아내 코르니피키아 공주가 콤모두스와 사이가 각별했기 때문으로 보이는데, 어쨌든 이 사건 이후부터 마메르티누스는 콤모두스에게 완전히 신임을 잃었다. 따라서 부부 사이도 최악이 됐고, 이때부터 그는 아들과 함께 살고 아내는 따로 살게 됐다. 그러다가 190년 혹은 192년, 아내에게 이혼 당한 뒤, 모종의 사건 후 [[콤모두스]]의 명에 따라 처형됐다. 이때 죄목은 그가 아들, 형제자매와 함께 콤모두스와 그 일가 전체를 노린 반란을 꾸몄다는 혐의였는데, 정황상 콤모두스가 그의 재산을 노리고 죄를 뒤집어 씌웠거나, 그가 182년 이후 자신의 누명이 해소되지 않자 콤모두스 살해를 기획해 벌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때 그의 아들 페트로니우스 안토니누스, 형제 셈티미아누스, 누이와 그 가족 전체도 반역죄로 몰살됐다. 아내 코르니피키아 공주와 사이가 최악이었고, 별거 생활 중이었다. 그래서 그녀는 전 남편과 아들이 처형됨에도 사건 직후, 잘생기고 부유한 귀족 청년 루키우스 디디우스 마리누스와 재혼했다. [[분류:로마 제국 집정관]][[분류:2세기 집정관]][[분류:192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