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기원전 2세기 집정관]][[분류:로마 공화국 집정관]][[분류:로마 출신 인물]] [include(틀:역대 로마 집정관/기원전 2세기)] ||||<#800080> {{{#ffffff {{{+3 '''마르쿠스 플라우티우스 힙사이우스''' }}}[br]{{{-1 [[라틴어]]: Marcus Plautius Hypsaeus }}} }}} || ||<#800080> {{{#ffffff '''생몰년도''' }}} ||미상 ~ 미상 || ||<#800080> {{{#ffffff '''출생지''' }}} ||이탈리아 로마 || ||<#800080> {{{#ffffff '''사망지''' }}} ||이탈리아 로마 || ||<#800080> {{{#ffffff '''지위''' }}} ||[[노빌레스]] || ||<#800080> {{{#ffffff '''국가''' }}} ||[[로마 공화정]] || ||<#800080> {{{#ffffff '''가족''' }}} ||미상 || ||||<#800080> {{{#ffffff '''로마 공화정 집정관''' }}} || ||<#800080> {{{#ffffff '''임기''' }}} || 기원전 125년 || ||<#800080> {{{#ffffff '''전임''' }}} ||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기원전 126년 집정관)|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br][[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오레스테스(기원전 126년 집정관)|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오레스테스]] || ||<#800080> {{{#ffffff '''동기''' }}} || [[마르쿠스 풀비우스 플라쿠스(기원전 125년 집정관)|마르쿠스 풀비우스 플라쿠스]] || ||<#800080> {{{#ffffff '''후임''' }}} || [[가이우스 카시우스 롱기누스(기원전 124년 집정관)|가이우스 카시우스 롱기누스]][br][[가이우스 섹스티우스 칼비누스]] || [목차] [clearfix] == 개요 == [[로마 공화국]] [[집정관]]. == 생애 == 고대 로마의 [[노빌레스]] 가문인 플라우티우스 씨족의 일원이다. 하지만 [[파스티 카피톨리니]]에 그의 조부와 아버지에 대한 인적사항이 적혀 있지 않기 때문에 가족 관계는 알 수 없다.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는 저서 <웅변가에 대하여>에서 그를 민법 전문가라고 평하면서도, 연설 실력은 '옹알이'에 불과했다고 주장했다. 현대 학자들은 고위 행정관의 재임 간격을 설정한 빌리우스 법에 근거해 기원전 128년이전에 [[법무관]]을 역임했으리라 추정한다. 이후 그는 법무관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 아게라스투스가 판사를 맡고 전임 집정관 [[그나이우스 옥타비우스(기원전 128년 집정관)|그나이우스 옥타비우스]]가 검사를 맡은 양육권 문제를 둘러싼 재판에 변호인으로 참석했다. 키케로에 따르면, 그는 소리를 크게 지를 뿐 장황하고 두서 없는 주장을 늘어놓았고, 그에게 변호를 맡겼던 의뢰인은 절망에 빠져 법무관 크라수스에게 패소를 받아들일 테니 재판을 끝내달라고 간청했다고 한다. 기원전 125년 [[마르쿠스 풀비우스 플라쿠스(기원전 125년 집정관)|마르쿠스 풀비우스 플라쿠스]]와 함께 집정관에 선임되었다. 플라쿠스가 갈리아 트란살피나 속주로 파견되었을 때, 그 역시 다른 지방으로 파견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같은 해 이탈리아 도시 프레겔라 시가 로마에 반기를 들었을 때, 이를 진압하는 임무는 법무관에게 부여되었다. 현대 학자들은 이 시기에 아시아에서 돌아온 [[마니우스 아퀼리우스(기원전 129년 집정관)|마니우스 아퀼리우스]]를 대신해 아시아에 부임했을 거라 추정한다. 이후의 행적은 전해지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