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나치 독일의 전쟁범죄)] ||<-2> {{{#!wiki style="margin: -4px -9px" [[파일:마르틴 잔트베르거.jpg|width=100%]]}}}|||| ||<#666> {{{#FFF 이름}}} ||<(>'''Martin Sandberger'''[br] 마르틴 잔트베르거|| ||<#666> {{{#FFF 출생}}} ||<(>[[1911년]] [[8월 17일]], [[독일 제국]] 베를린 || ||<#666> {{{#FFF 사망}}} ||<(>[[2010년]] [[3월 30일]] '''(향년 98세)''', [[독일]] 슈투트가르트 || ||<#666> {{{#FFF 복무}}} ||<(>[[친위대(나치 독일)|친위대]] (1936년 ~ 1945년) || ||<#666> {{{#FFF 최종계급}}} ||<(>[[친위대(나치 독일)|친위대]] '''[[아인자츠그루펜]] A''' [[대령]] (연대지도자) || ||<#666> {{{#FFF 주요 참전}}} ||<(>[[제2차 세계 대전]]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잔트베르거2.jpg|width=100%]] || || '''마르틴 잔트베르거 (Martin Sandberger)''' || [[나치 독일]]의 [[아인자츠그루펜]] [[대령]]. == 초기 행적 == [[베를린]]에서 태어난 잔트베르거는 당시 거대약품회사이던 [[이게파르벤]]의 사장의 아들로 부유하게 자라 [[뮌헨 대학교]], [[쾰른 대학교]], 튜빙겐 대학교 등에서 법학을 공부했다. == [[나치당]] 입당 == 재학중인 20살 때, [[나치당]]에 입당한 그는 돌격대의 대원이 되었다. 튜빙겐 대학에서 나치당 학생조직의 지도자였던 잔트베르거는 [[1933년]]에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국가사회주의 독일학생연맹의 직원이 되어 대학의 검사관이 되었다. [[1936년]]에 친위대에 입대한 잔트베르거는 [[구스타프 아돌프 셸]] 사령관 아래에서 뷔텐베르크의 부대에서 근무했는데 [[1938년]]에 친위대 소령으로 승진하여 [[1939년]] [[10월 13일]]에 친위대 전국지도자인 [[하인리히 힘러]]에 의해 북동이민중앙국의 국장으로 임명되어 새로 구획된 동부지배지역의 독일주민 이주사업에 종사했다. == [[제2차 세계 대전]] == [[독소전쟁]]이 발발한 후인 [[1941년]] [[6월]]에 특공대 1a 부대의 지휘관이 되어 발트 3국 등에서 유대인 및 민간인의 대량학살을 지휘한 잔트베르거는 [[1941년]] [[12월 3일]]에 [[에스토니아]]의 보안경찰 겸 친위대 지휘관도 겸직했다. [[1944년]] [[1월]]에는 국가보안본부 제6부의 첩보과장으로도 재직했다. == 전후 재판과 행적 == || [[파일:잔트베르거3.jpg|width=100%]] || || 재판에 회부된 잔트베르거 || 전후 연합군에게 체포된 잔트베르거는 [[뉘른베르크 특수작전집단 재판]]에서 학살혐의로 [[교수형]] 판결을 받았지만 부자이던 아버지가 평소 친했던 [[테오도어 호이스]]를 통해 미국대사이던 제임스 코넌트에게 자식의 구명을 요청하여 관대한 처분을 탄원했기에 [[1951년]]에 미국정부는 잔트베르거의 사형을 취소하고 대신 [[종신형]]을 선고했는데 [[1958년]]에 석방했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말년의 잔트베르거.jpg|width=100%]]}}} || ||<#ddd> 98세 때의 잔트베르거 || 그 후 잔트베르거는 [[2010년]]에 사망했다. [[분류:1911년 출생]][[분류:2010년 사망]][[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나치당원]][[분류:슈투름압타일룽/인물]][[분류:친위대(나치 독일)/인물]][[분류:베를린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