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등(신체)]][[분류:팔]][[분류:근육]] [include(틀:근육)] [목차] [clearfix] == 개요 == 마름근(rhomboid muscle)은 목뼈와 등뼈의 가시돌기(spinous process)에서 일어나 [[어깨뼈]]에 닿는 등 얕은층(superficial group)의 근육들이다. 위쪽의 작은마름근과 아래쪽의 큰마름근을 묶어서 마름근이라고 부르는데, 이 둘은 융합되어 하나의 근육을 형성하는 경우도 많고 이런 경우 그 융합된 하나의 근육 역시 마름근이라고 부른다. 개정 이전 용어는 능형근([[菱]][[形]][[筋]])이었다.[* [[마름 릉]], [[모양 형]], [[힘줄 근]]. [[마름모]]를 옛날에 [[능형]](菱形)이라고 했던 것과 같다.] == 공통적인 구조 == 등의 근육으로 생각하면, 닿는곳이 등이 아니라 팔이음부위인 어깨뼈이므로 바깥기원근육(extrinsic mm.)[* 이는곳과 닿는곳 둘 중 하나가 등이 아닌 경우. 등의 얕은층과 중간층이 이에 속한다.]에 속하고, 그 중에서도 [[등세모근]](trapezius m.), [[넓은등근]](latissimus dorsi m.), [[어깨올림근]](levator scapulae m.)과 함께 얕은층 근육에 속한다. 반면 팔의 근육 기준에서는 역시 이는곳이 팔이 아닌 등이므로 바깥기원근육이고, 그 중에서는 깊은쪽이라 어깨올림근과 함께 깊은뒤팔이음근육(deep posterior thoracoappendicular mm.)에 속한다. 마름근 둘은 모두 등세모근에 덮여 있어서 겉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둘 다 목뼈와 등뼈 가시돌기에서 일어나 어깨뼈 안쪽모서리에 닿는다. 이 두 근육을 지배하는 신경가지 중 하나인 [[등쪽어깨신경]](dorsal scapular n.)은 C5의 가지로, 어깨올림근 깊은쪽을 지나간다. 두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은 [[등쪽어깨동맥]](dorsal scapular a.)이다. == 기능 == * 마름근은 어깨뼈가 몸통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근의 역할을 하며, 이는 [[앞톱니근]](serratus anterior m.)이나 [[작은가슴근]](pectoralis minor m.)과의 협동으로 이루어진다. * 어깨뼈를 뒤로 빼는 들임(retrusion; retraction)을 일으킨다. 어깨뼈를 내밀게 하는 앞톱니근과는 여기서 대항근이 된다. * 또한, 위팔뼈와 어깨관절을 이루는 어깨뼈의 접시오목을 아래로 돌린다. 이 작용에서 [[어깨올림근]]과는 [[협동근]], [[앞톱니근]]이나 [[등세모근]] 오름부분과는 [[대항근]] 관계이다. == 목록 == === [[큰마름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큰마름근)] === [[작은마름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작은마름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