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룩셈부르크 앙리의 대공비[br]{{{+1 마리아 테레사 메스트레 이 바티스타}}}[br]Maria Teresa, Groussherzogin vu Lëtzebuerg'''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마리아테레사.jpg|width=100%]]}}} || || '''이름''' ||마리아 테레사 메스트레 이 바티스타[br](María Teresa Mestre y Batista)|| || '''출생''' ||[[1956년]] [[3월 22일]] ([age(1956-03-22)]세)[br] [[쿠바 제1공화국]] [[아바나]] 마리아나오|| || '''학력''' ||[[제네바 대학교]] || || '''배우자''' ||[[앙리(룩셈부르크)|룩셈부르크 대공 앙리]] ,,(1981년 결혼),, || || '''자녀''' ||[[기욤 장 조제프 마리|기욤]], 펠릭스, 루이, 알렉산드라, 세바스티앙 || || '''아버지''' ||호세 안토니오 메스트레 이 알바레스|| || '''어머니''' ||마리아 테레사 바티스타 이 팔라 데 메스트레|| || '''형제''' ||호세 안토니오, 루이스, 카탈리나|| || '''종교''' ||[[가톨릭]]|| [목차] [clearfix] == 개요 == [[룩셈부르크]] 대공 [[앙리(룩셈부르크)|앙리]]의 아내이자 현 룩셈부르크 대공비. == 가족 관계 == === 조상 === ||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13> 마리아 테레사 메스트레 바티스타[br]{{{-2 (Maria Teresa Mestre Batista)}}} ||<|6> 호세 안토니오 메스트레[br]{{{-2 (José Antonio Mestre)}}} ||<|3> 호세 안토니오 메스트레[br]{{{-2 (José Antonio Mestre)}}} || || 프란시스코 메스트레[br]{{{-2 (Francisco Mestre)}}} || || 마틸데 라모스알메이다[br]{{{-2 (Matilde Ramos-Almeyda)}}} || ||<|3> 마리아 나르시사 알바레즈[br]{{{-2 (Maria Narcisa Alvarez)}}} || || 루카스 알바레즈[br]{{{-2 (Lucas Alvarez)}}} || || 나르시사 타비오[br]{{{-2 (Narcisa Tabió)}}} || ||<|7> 마리아 테레사 바티스타[br]{{{-2 (Maria Teresa Batista)}}} || ||<|3> 아우구스틴 바티스타[br]{{{-2 (Augustin Batista)}}} || || 멜키오르 바티스타[br]{{{-2 (Melchior Batista)}}} || || 훌리아 곤잘레스[br]{{{-2 (Julia González)}}} || ||<|3> 마리아 테레사 파야[br]{{{-2 (Maria Teresa Falla)}}} || || 로레아노 파야[br]{{{-2 (Laureano Falla)}}} || || 마리아 돌로레스 보넷[br]{{{-2 (Maria Dolores Bonet)}}} || === 자녀 === || '''자녀''' || '''이름''' || '''출생''' || '''배우자 / 자녀''' || || '''1남''' || [[기욤 장 조제프 마리|룩셈부르크의 대공세자 기욤]][br]{{{-2 (Guillaume, Hereditary Grand Duke of Luxembourg)}}} || [[1981년]] [[11월 11일]] || [[스테파니 드 라노이|라누아 여백작 스테파니]][br]슬하 2남[* [[룩셈부르크의 샤를 공자|샤를]], [[룩셈부르크의 프랑수아 공자|프랑수아]]][* 특히 샤를은 대공세자 부부가 2012년에 결혼한 뒤 8년간 자녀가 없었다가 마침내 2020년 5월 10일에 출산한 아들이다. [[https://youtu.be/w4Tte54BKYM|#1]] [[https://youtu.be/jpy7WWKb5hk|#2]] 자동적으로 샤를은 숙부 펠릭스를 제치고 공위 계승 서열 2위가 됐다. 조부모인 대공 부부도 정말 좋아했으나 [[코로나19|시국]]이 시국인지라 아기를 영상 통화로만 봤다고. 이후 상황이 나아져 만남이 이루어졌다. [[https://theqoo.net/1477288769|#]] ] || || '''2남''' || 펠릭스 공자[br]{{{-2 (Prince Felix)}}} || [[1984년]] [[6월 3일]] || 클레어 라데마허[br]슬하 1남 1녀 || || '''3남''' || 루이 공자[br]{{{-2 (Prince Louis)}}} || [[1986년]] [[8월 3일]] || --테시 앙토니--[br]슬하 2남[* 2006년 결혼 / 2017년 별거, 2019년 이혼. 테시 앙토니라는 룩셈부르크 일반 여성(결혼 전에는 육군에서 복무함)을 만나 2006년 초 장남을 [[혼전임신|속도위반]]으로 출산한 뒤 결혼하면서 본인과 자녀들의 룩셈부르크 대공위 계승권을 포기했다. 이후 차남을 낳은 뒤인 2009년에야 앙리 대공으로부터 두 아들이 나사우의 공자 (Prince of Nassau)[* 앙리 대공은 [[왕위 요구자|명목상의 나사우 공작]]이기도 하다. 따라서 현재 룩셈부르크의 대공족들은 기본적으로 나사우의 공자/공녀 (Prince/Princess of Nassau) 칭호를 보유하고 있다. 여담으로 룩셈부르크의 대공자/대공녀 (Prince/Princess of Luxemburg) 칭호는 대공과 대공세자의 자녀들에게만 주어지도록 법이 개정 되었으며 [[귀천상혼|대공의 허락을 받지 않고 결혼한 이들과 그들의 자녀들에게는 나사우의 백작/여백작 (Count/Countess of Nassau) 칭호가 주어진다.]]] 칭호를 받았다.] || || '''1녀''' || 알렉산드라 공녀[br]{{{-2 (Princess Alexandra)}}} || [[1991년]] [[2월 16일]] || 니콜라스 바고리 || || '''4남''' || 세바스티앙 공자[br]{{{-2 (Prince Sébastien)}}} || [[1992년]] [[4월 16일]] || || [[분류:룩셈부르크 대공비]][[분류:1956년 출생]][[분류:아바나 출신 인물]][[분류:제네바 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