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일반 함정 카드. == 설명 == [[파일:魔法名-「解体し統合せ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마법명-"바포메트", 일어판명칭=魔法名(まほうめい)-「解体し統合せよ(バフォメット)」, 영어판명칭=Alpha Summon,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제외되어 있는 서로의 몬스터를 1장씩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대상의 자신 몬스터를 상대 필드에 특수 소환하고\, 대상의 상대 몬스터를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SELECTION 5]]에서, [[소환수(유희왕)|소환수]]의 [[마기스토스|세계관]]을 이용해서 만들어진 카드. 제외된 서로의 몬스터를 1장씩 대전 상대의 필드에 특수 소환하는 효과를 가진 일반 함정. 기본적으로는 자신의 제외 존의 임의의 몬스터를 상대 필드로 보낸다는 점에 착안하면 될 것이다. 디메리트를 가졌거나 능력치가 낮은 몬스터를 공격 표시로 꺼내 샌드백으로 삼는 용도 등을 고려해볼 수 있다. 상대의 제외 존에서 자신 필드로도 몬스터를 꺼낼 수 있지만, 마침 딱 원하는 몬스터가 있을 가능성은 낮으니 별 기대는 안 하는 편이 좋을 것이다. 각종 소재나 릴리스, 코스트로 삼을 수 있는 몬스터라도 있으면 감지덕지일 듯. 문제는 상대의 제외 존에 특수 소환할 수 있는 몬스터가 없으면 발동 자체가 안된다는 점. 제외를 실행하는 덱[* 일례로 언데드 덱은 묘지에서 제외하고 발동하는 카드도 많고 [[거해룡 펠그란트]]나 [[생자의 서-금단의 주술-]]로 상대 몬스터를 제외할 수도 있다. 빼앗은 몬스터는 [[뱀파이어(유희왕)#드라큐레어 뱀파이어|드라큐레어 뱀파이어]]의 엑시즈 소재로도 활용할 수 있다.]이 많으면 저절로 발동 조건은 채우기 쉬워지지만 꼭 채워지리라는 보장도 없다.[* 가령 [[융합 소환]]을 주축으로 삼는 덱은 제외 상태에서 특수 소환이 불가능한 몬스터를 제외하는 경우가 많다.] 자신이 상대의 카드를 제외하는 방법도 있지만 필요한 카드는 더 늘기 마련이므로 돌아오는 쪽이 수지에 맞는 것인지도 미묘하다. [[PSY프레임로드 Ω]]나 [[심해(유희왕)#심해의 민스트렐|심해의 민스트렐]]처럼 일시적으로 제외하는 카드와 조합하면 상대의 패로 돌아가는 것도 막을 수 있겠지만, 몬스터를 제외할 수 있느냐는 순전히 운이다. 애초에 컨트롤 떠넘기기가 목적이라면 [[기브 & 테이크(유희왕)|기브 & 테이크]]같은 가벼운 수단도 있으니 굳이 이 카드를 쓸 필요가 있느냐도 의문. 차라리 선택은 상대가 해도 속도가 더 빠르고 조건이 느슨한 [[강제전이]]가 더 나을지도 모른다. 일러스트는 마기스토스 시절의 [[소환사 알레이스터]]인 [[마기스토스#마기스토스 그리모어 크로울리|크로울리]]가 불길한 마법을 선보이며 악마로 변하고 있으며, 이를 [[마기스토스#마기스토스 마스터 엔디미온|엔디미온]]과 [[마기스토스#마기스토스 위치 산드리용|산드리용]]이 보고 놀라고 있다. 일어판 카드명의 후리가나인 '해체하고 통합하라(Solve et coagula)'는 연금술에서 물질을 변화시키는 수법을 가리키는 격언 중 하나다. 요미가나에 있는 [[바포메트]]는 19세기 프랑스의 마술사 엘리파스 레비(Éliphas Lévi)의 그림 '멘데스의 염소'[* [[바포메트]] 문서에서 가장 먼저 확인할 수 있는 그림이다.]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되는데, 여기 그려진 바포메트의 오른팔에는 'SOLVE', 왼팔에는 'COAGULA'가 그려져 있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SELECTION 5]] || SLF1-JP097 || [[노멀]][br][[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관련 카드 == === [[소환수(유희왕)#마법명-"투 메가 세리온"|마법명-"투 메가 세리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