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엘세와 상어 포키의 곡, rd1=まぼろし)]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right, #000, #000, #000, #5E2929, #BE4E52)" {{{#ffffff '''{{{+1 마보로시}}}''' (2023)[br]アリスとテレスのまぼろし工場[br]Maboroshi}}}}}}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환상공장_메인비주얼.jpg|width=100%]]}}} || || '''장르''' ||[[재난물|재난]], [[사이언스 픽션|SF]], [[미스터리]], [[로맨스]], [[액션]], [[다크 판타지]] || || '''원작''' ||<|3>[[오카다 마리]] || || '''감독''' || || '''각본''' || || '''부감독''' ||[[히라마츠 타다시]] || || '''연출 치프''' ||[[키도코로 세이메이]] || || '''콘티''' ||[[히라마츠 타다시]][br][[안도 마사히로(1967)|안도 마사히로]](安藤真裕) || || '''연출''' ||[[마츠다 키요시]][br][[야부타 슈헤이]][br][[시시도 준]] || || '''제작''' ||Maboroshi Project || || '''주연''' ||[[우에다 레이나]], [[에노키 준야]], [[쿠노 미사키]] 등 || || '''캐릭터 디자인''' ||<|2>[[이시이 유리코]] || || '''총 작화 감독''' || || '''작화 감독''' ||시미즈 히로시(清水 洋), [[카네모리 요시노리]], [[바바 미츠코]], [[사이 후미히데]], [[이와타키 사토시]], [[아이케이 유키코]], [[하야시 아케미]] 등 || || '''원화''' ||[[요시다 토오루]], [[Ilya Kuvshinov]], 아키타 마나부(秋田 学), 이노우에 에이(井上 鋭), [[바바 미츠코]], [[카토 후미]], [[이토 키미노리]], [[이토 히데츠구]], [[요시나리 요우]], [[히라마츠 타다시]], [[이시이 유리코]], [[이노우에 토시유키]], [[쿠로야나기 토시마사]] 外 || || '''색채 설계''' ||와시다 토모코(鷲田知子) || || '''촬영 감독''' ||탄나와 유스케(淡輪雄介) || || '''미술 감독''' ||히가시지 카즈키(東地和生) || || '''3D 디렉터''' ||오가와 코헤이(小川耕平) || || '''편집''' ||타카하시 아유무(髙橋 歩) || || '''음악''' ||[[요코야마 마사루]] || || '''음향 감독''' ||[[아케타가와 진]] || || '''음향 제작''' ||dugout || || '''제작 프로듀서''' ||키무라 마코토(木村 誠) || || '''기획 프로듀서''' ||[[오오츠카 마나부]] ||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노다 후코(野田楓子)[br]키츠나이 료타(橘内諒太)[* [[오카다 마리]] 감독의 전작 [[이별의 아침에 약속의 꽃을 장식하자]]의 제작 데스크였다.] || || '''주제곡''' ||[[나카지마 미유키]] - 心音 || || '''제작사''' ||[[MAPPA]] || ||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 ||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워너브라더스|워너브라더스 재팬]][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 ||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3년 9월 15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4년 1월 15일 (넷플릭스) || || '''화면비''' ||○○ || || '''상영 시간''' ||111분 || || '''제작비''' ||○○ || || '''월드 박스오피스''' ||○○ || || '''북미 박스오피스''' ||○○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명''' || || '''국내 스트리밍''' ||[include(틀:넷플릭스 표시)] [[https://www.netflix.com/kr/title/81450803|▶]] || || '''상영 등급''' ||미정 || || '''공식 홈페이지''' ||[[https://maboroshi.movie/|[[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aboroshi_2023)] || [목차] [clearfix] == 개요 == >평범한 세계는 사랑을 하게 되는 것으로 종말을 고한다. >あたりまえの世界は恋することで終わりを告げる。 [[MAPPA]]에서 제작하는 오리지널 극장판 애니메이션. 감독은 [[오카다 마리]], 부감독은 [[히라마츠 타다시]], 캐릭터 디자인 및 총작화감독은 [[이시이 유리코]]. 음악과 제작사를 제외하면 주 전력은 [[이별의 아침에 약속의 꽃을 장식하자]] 제작진과 유사하다.[* 이별의 아침에 약속의 꽃을 장식하자에서 오카다 마리는 감독, 히라마츠 타다시는 코어 디렉터, 이시이 유리코는 캐릭터 디자인 및 총 작화감독, 히가시지 카즈키는 미술 감독이었다.] 원제를 직역하면 '앨리스와 텔레스의 환상공장'이지만 한국 공개 판권을 취득한 [[넷플릭스]]에서는 영제를 그대로 직역한 '마보로시'로 서비스한다. == 개봉 전 정보 == [[이별의 아침에 약속의 꽃을 장식하자]]로 감독으로 데뷔한 오카다 마리의 2번째 감독작이다. 앨리스와 텔레스를 일본어 발음으로 읽으면 '''[[아리스토텔레스]](アリスとテレス)'''가 된다.[* 이런 말장난은 예전에도 있었다. 예를 들어 본 작품과 전혀 관계 없는 [[코지마 히데오]]의 1988년 작 [[스내처]]에서도 [[카트리느 깁슨]]이 [[장 자크 깁슨|부친]]을 잃은 와중에도 담담하게 언급하는 대사가 있다.] 특보가 공개된지 1년이 넘도록 소식이 전해지지 않아서 제작중단이 된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으나 부감독인 히라마츠 타다시가 계속해서 제작중이고 곧 새로운 정보를 공개한다는 트윗을 올렸다. 2023년 5월 21일, MAPPA STAGE 2023에서 개봉 날짜와 2차 예고편이 공개되었다. 주제가는 [[나카지마 미유키]]가 담당. 그동안 애니메이션 하고는 관계가 없던 원로 가수라 의외라는 반응이 많다. 나카지마는 평생 애니메이션에는 큰 관심을 안 가지고 살았지만 오카다 마리가 "주제가를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라고 하면서 보내준 각본을 읽고 감명을 받아 "이건 해야한다." 라고 생각해서 불렀다고 한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lEJToD1Ji8U)]}}} || || '''특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NvM28WMdRLQ)]}}} || || '''2차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CUenxyQYMjs)]}}} || || '''본 예고 1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BLAyr48ZLjc)]}}} || || '''본 예고 2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USwMAiuPsQI)]}}} || || '''최종 예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EZWfkPtF2BA)]}}} || || '''마보로시 | 공식 예고편''' ||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환상공장_메인비주얼.jpg|width=100%]]}}} || || '''메인 비주얼'''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환상공장_포스터.jpg|width=100%]]}}} || || '''티저 비주얼''' || == 시놉시스 == >갑작스러운 제철소 폭발 사고로 모든 출구를 잃고 시간마저 멈춰버린 마을에서 사는 중학교 2학년 마사무네. >언젠가 다시 원래대로 돌아갈 수 있게끔 주민들은 변화를 금지당한 채로 울적한 나날을 보내던 사이, >마사무네는 신비한 분위기의 동급생 무츠미에게 이끌려 제철소 제5용광로에 발을 들인다. >그곳에 있던 건 말을 못하는 야생의 늑대와 같은 분위기의 소녀―. >2명의 소녀와 마사무네의 만남이 세계의 균형을 무너뜨리고, >일상에 질린 소년 소녀들의 멈추지 못하는 <사랑하는 충동>이 세상을 부수기 시작한다―. == 등장인물 == * '''사가미 무츠미'''(佐上睦実) {{{-1 - 성우: [[우에다 레이나]]}}} 본작의 주인공 1. 14세. * '''키쿠이리 마사무네'''(菊入正宗) {{{-1 - 성우: [[에노키 준야]]}}} 본작의 주인공 2. 14세. 어째서인지 무츠미를 싫어하고 있다. * '''이츠미'''(五実) {{{-1 - 성우: [[쿠노 미사키]]}}} 제철소에서 발견된 소녀. * '''사사쿠라 다이스케'''(笹倉大輔) {{{-1 - 성우: [[야시로 타쿠]]}}} * '''닛타 아츠시'''(新田篤史) {{{-1 - 성우: [[하타나카 타스쿠]]}}} * '''센바 야스나리'''(仙波康成) {{{-1 - 성우: [[코바야시 다이키]]}}} * '''소노베 유코'''(園部裕子) {{{-1 - 성우: [[사이토 아야카]]}}} * '''하라 하루나'''(原 陽菜) {{{-1 - 성우: [[카와세 마키]]}}} * '''야스미 레이나'''(安見玲奈) {{{-1 - 성우: [[후지이 유키요]]}}} * '''사가미 마모루'''(佐上 衛) {{{-1 - 성우: [[사토 세츠지]]}}} * '''키쿠이리 아키무네'''(菊入昭宗) {{{-1 - 성우: [[세토 코지]]}}} * '''키쿠이리 토키무네'''(菊入時宗) {{{-1 - 성우: [[하야시 켄토]]}}} == 평가 ==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 메타크리틱=, 메타크리틱_critic=, 메타크리틱_user=, ## 로튼토마토=, 로튼토마토_tomato=, 로튼토마토_popcorn=, IMDb=tt14935892, IMDb_user=7.9, IMDb_list=, IMDb_rank=, IMDb_date=, 레터박스=alice-and-thereses-illusory-factory, 레터박스_user=없음, 레터박스_list=, 레터박스_rank=, 레터박스_date=, ## 알로시네=, 알로시네_presse=, 알로시네_spectateurs=, ## MYmoviesit=, MYmoviesit_MYMOVIES=, MYmoviesit_CRITICA=, MYmoviesit_PUBBLICO=, 키노포이스크=4490933, 키노포이스크_user=없음, 야후재팬영화=, 야후재팬영화_user=3.8, Filmarks=97786, Filmarks_user=3.6, ## 엠타임=, 엠타임_user=, 도우반=35508787, 도우반_user=없음, ## 야후키모=, 야후키모_user=, 왓챠=m5Nn92X, 왓챠_user=없음, 키노라이츠=125478, 키노라이츠_light=없음, 키노라이츠_star=없음, ## 네이버영화=, 네이버영화_audience=, ## 다음영화=, 다음영화_user=, ## CGV=, CGV_egg=, ## 롯데시네마=, 롯데시네마_user=, ## 메가박스=, 메가박스_user=, ## MRQE=, MRQE_user=, ## 시네마스코어=, TMDB=845387, TMDB_user=없음, ## 무비파일럿=, 무비파일럿_user=, ## RogeEbetcom=, RogeEbetcom_user=, ## MyDramaList=, MyDramaList_user=, ## 라프텔=, 라프텔_user=, MyAnimeList=49303, MyAnimeList_분야=anime, MyAnimeList_user=없음, ## GooglePlay무비=, GooglePlay무비_user=, ## 네이버시리즈온=, 네이버시리즈온_user=, 네이버시리즈온_heart=, )] === 개봉 전 === [[MAPPA]]에서 처음으로 제작하는 [[극장판]]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이라서 주목을 모았다. 게다가 감독은 그 유명한 [[오카다 마리]]가 맡으며 캐릭터 디자인으로는 [[이별의 아침에 약속의 꽃을 장식하자]], [[꽃이 피는 첫걸음]]으로 유명한 [[이시이 유리코]]가 담당한다. 부감독으로는 오카다 마리의 전작인 이별의 아침에 약속의 꽃을 장식하자에 참여했던 [[히라마츠 타다시]], MAPPA에서 제작한 [[평온세대의 위타천들/애니메이션|평온세대의 위타천들]] 감독이었던 [[키도코로 세이메이]]가 연출 치프로 참여하는 등 스태프진은 매우 호화롭다. 성우진도 [[우에다 레이나]], [[쿠노 미사키]], [[에노키 준야]] 등 잘나가는 중견급 이상의 성우들로 캐스팅되어 호평이 많다. 다만 오카다 마리는 작품마다 기복이 심한 데다가 그녀가 각본을 집필한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마요이가(애니메이션)|마요이가]]를 망친 전적이 있기 때문에[* 물론 각본가만 스토리에 관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각본가에게만 책임이 있는 것은 아니다.] 스토리 면에서는 불안한 요소가 있다. 그리고 오카다 마리가 자신의 작품에서 등장인물의 성적 충동을 자주 묘사해왔었는데, 본 예고편에서도 그런 종류의 장면[* 무츠미가 옥상에서 마사무네에게 치마를 올려 속옷을 보여주거나, 이츠미가 마사무네를 덮치려고 하다가 무츠미에게 들키는 장면.]이 잠깐 나오는 것을 보면 이 작품에도 그런 묘사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 개봉 후 === 선행 시사회 이후 일본의 애니메이션, 영화 평론가 반응이 매우 좋다. 예술적이면서 깊이있는 내용, 수려한 작화와 연출에 대한 호평이 많다. 다만 오카다 마리의 작품답게 에로틱한 장면이나 대사가 꽤 있으며 예술적인 연출도 사용한 작품이라 일반인 사이에선 호불호가 갈릴 것 같다는 평도 있다. 또한, 세계관 설정과 등장인물, 플롯까지 모두 작품의 메시지 전달만을 위해 존재하는 작위적인 상황에서, 그것만으로는 부족했는지 직접적으로 대사를 통해 메시지를 다시 한번 강조하는 바람에 지나치게 설교하는 듯한 작품이 된 점도 비판받는 요소이다. 평론가 [[히카와 류스케]]는 "훌륭한 예술 애니메이션이다. 음악 연출 작화 모두 훌륭하다. 애니메이션이 아니면 보여줄 수 없는 것을 보여준다."라고 호평했다. 그리고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바로 다음에 개봉한 게 노린 건지 우연인지 모르지만 일본 극장에서 좀처럼 보기 힘든 예술 지향 극장 애니메이션이 연달아 개봉해서 신기하다.", "너무 논리적으로 생각하면 받아들이기 힘든 작품일 수 있다. 가슴으로 느끼면서 보기를 권한다." 라고 반응했다. [[https://anime.eiga.com/news/column/hikawa_rekishi/119433/|#]] 애니메이션 영화 감독 [[신카이 마코토]]는 "아주 좋은 애니메이션 영화였다. 정경도 대사도 인물도 항상 빽빽하게 꽉 차 있고, 세계는 약한 수수께끼로 가득차 있다. 그 겨울 마을의 폐색감을 확실히 담고 있던 것 같은 생각이 든다.'라는 감상 후기를 담은 [[트위터]] 포스트를 게시했다.[* 포스트 내용은 구글 번역으로 번역된 결과임. 어색함이 있을 수 있음.] [[https://twitter.com/shinkaimakoto/status/1703247445097091246?t=-06cHlqR1ASvZfRLF-4Bwg&s=19|#]] == 흥행 == === [[일본]] === ||{{{#!folding[  개봉 1주차 순위  ] [[파일:2023년 38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 개봉 첫 주차에 [[일본]] [[박스오피스]] 8위에 그쳤다. [[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일본의 애니메이션 영화]][[분류:2023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2023년 3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MAPPA]][[분류:나무위키 영화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