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마블 스냅)] [include(틀:마블 스냅)] [[분류:마블 스냅]] [목차] == 개요 == [[마블 스냅]]의 구역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 필드에 카드가 놓이는 곳. 필드에는 비공개된 3가지의 구역이 있으며, 게임 시작시, 2번째 턴, 3번째 턴에 왼쪽부터 순서대로 구역이 하나씩 공개된다. 구역은 매 게임 마다 무작위로 정해지며 신규 구역, 화제의 구역 등의 이벤트로 특정 구역의 등장 확률이 대폭 상승하기도 한다. 카드 수와 관련된 효과가 없는 구역일 경우 구역당 카드를 4장까지 낼 수 있다. 두 플레이어가 자신이 원하는 구역에 카드를 내고 서로 턴을 종료하면 각자 낸 카드들의 효과가 공개된다. 카드를 냈을 때 효과가 발동하는 대다수의 구역들은 해당 구역으로 카드가 이동했을 때는 효과가 발동하지 않는다. 구역을 변화시키는 카드의 효과가 발동했을 때에는 카드의 효과가 먼저 처리되고 이후에 구역의 효과가 처리된다. 단, 이미 카드의 효과로 구역의 효과가 사라졌다면 구역의 효과는 발동되지 않는다. 복제 효과가 있는 구역에 출현으로 자기를 강화하는 카드를 내면 강화된 상태로 복제되어 출현 강화 효과를 한 번 더 쓸수 있다. 예를 들어 시니스터 런던에 블랙 팬서를 내면 출현 효과로 파워가 2배되고, 파워 2배가 적용된 상태로 다른 구역에 복제되어 거기서 한 번 더 출현 효과를 발동 시켜 또 2배가 된다.[* 헐크버스터의 경우 붙어버린 카드가 헐크버스터의 버프를 받은 상태로 복사된다.] 다만 로그는 출현 효과 발동시 지속 카드가 되므로, 복제된 로그는 상대 지속 효과를 훔치지 않고 원본이 훔쳐온 지속효과를 그대로 가지고 온다. === 알파벳 === ==== [[TVA(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TVA]] ==== ||<-3>
<#E0A830>|| ||<:> '''한글명''' ||<:> TVA ||<|2><:>[[파일:TVA.webp|width=150]]|| ||<:> '''영문명''' ||<:> TVA || ||<:> '''효과''' ||<-3>4번째 턴이 끝날 때, 게임이 끝납니다. || >효과 발동: [[미스 미닛|시간 다 됐어요.]] '''턴 제한을 4턴으로 줄여버리는 구역'''. 빅덱과 콤보덱들에게 쥐약같은 구역이다. 구역은 3턴 즈음 전부 공개되는데, TVA가 마지막으로 공개될 경우 3턴에 카드 낼 궁리를 하다가 갑자기 게임이 1턴 후 종료되는 황당한 사태가 벌어진다. 뒷심을 노리고 3턴 전까지 미리 카드를 내 두지 않았다면 탈출을 준비해야 한다. 만약 4턴에 누군가 스칼렛 위치를 내서 임의의 구역을 바꿨는데 이 구역이 떴다면 탈출이나 스냅할 기회도 없이 그냥 그대로 게임이 종료된다. 4턴 종료 전까지 이 구역을 다른 구역으로 바꿀 경우 효과가 적용되지 않는다. 턴 제한을 7턴으로 늘리는 림보는 턴 종료 버튼 숫자 자체가 (현재 턴)/7로 바뀌지만, 이 구역은 턴 종료 버튼의 숫자가 4로 바뀌지 않는다. TVA와 림보가 한 게임에 동시에 존재할 경우 공개 순서와 상관 없이 TVA의 효과가 우선하여 4턴에 게임이 종료된다. === ㄱ~ㄷ === ==== [[헐크|감마 실험실]] ==== ||<-3>
<#E0A830>|| ||<:> '''한글명''' ||<:> 감마 실험실 ||<|2><:>[[파일:gamma_lab.webp|width=150]]|| ||<:> '''영문명''' ||<:> Gamma Lab || ||<:> '''효과''' ||<-3>3번째 턴 후에, 이 구역에 있는 모든 카드가 헐크로 변합니다. || 3번째 턴 뒤 이 구역에 있는 카드를 모두 6에너지 12공격력의 헐크로 바꾼다. 이전에 있던 카드들의 버프/디버프 효과는 모두 무시하고 일반 헐크로 바뀐다. 카드를 빨리 깔아놓을 수 있는 위니 덱에게 유리한 구역이며, 턴이 끝날 때 변신하므로 출현 카드는 효과를 한 번 발동하고 헐크로 변한다. 인비저블 우먼이나 레무리아 등의 효과로 3턴이 끝날 때 공개되어 있지 않게 된 카드들은 헐크로 변하지 않는다. 일단 헐크의 수가 많은 쪽이 그 구역을 압도하기 쉽지만, 아이언맨이나 샹치 등의 효과로 쉽게 역전당할 수도 있다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 [[그랜드 센트럴 역]] ==== ||<-3>
<#E0A830>|| ||<:> '''한글명''' ||<:> 그랜드 센트럴 역 ||<|2><:>[[파일:grand_central.webp|width=150]]|| ||<:> '''영문명''' ||<:> Grand Central || ||<:> '''효과''' ||<-3>5번째 턴이 끝날 때, 각 플레이어의 손에서 카드를 이 구역에 냅니다. || 5번째 턴 종료시에 해당 구역에 무작위로 패의 카드 1장을 강제로 내는 구역. 5턴 이전에 이미 구역을 가득 채운 플레이어는 카드가 나가지 않는다. 카드 1장을 공짜로 내는 셈이라 빅덱에게 유리한 효과이다. 다만 카드 간의 국소적이고 유기적인 연계를 이용하는, 계획적으로 카드를 놓아 승리하는 덱이라면 플랜이 꼬일 수 있다. 5번째 턴 돌입 시 구역 중앙의 시계가 클로즈 업 되고, 5번째 턴 종료시 기차가 지나가는 연출과 함께 카드가 나간다. ==== [[네거티브 존]] ==== ||<-3>
<#E0A830>|| ||<:> '''한글명''' ||<:> 네거티브 존 ||<|2><:>[[파일:negative_zone.webp|width=150]]|| ||<:> '''영문명''' ||<:> Negative Zone || ||<:> '''효과''' ||<-3>이 구역에 있는 모든 카드에 -3 파워를 부여합니다. || 카드를 낼 때마다 파워 3를 깎는 구역. 애매하게 카드를 많이 내봐야 오히려 카드 수 x (-3)이 되어 구역의 파워만 감소시킬 뿐이고, 파워 3 초과의 카드를 넣어야 점수를 얻는다. 1코스트 위주의 위니 덱에겐 쥐약과 같은 구역으로, 파워 문제도 크지만 카드를 최대한 깔아야 하는 위니 덱이 구역 하나를 거의 버려야 하는 신세가 되어 이기기가 어려워진다. 고코스트 위주의 덱이 아닌데 이 구역에서 이득을 보려면 미스터 판타스틱 같이 옆 구역에 버프를 주는 카드를 이용하거나, 파워 감소를 받지 않는 콜로서스를 이용하거나, 서로 카드를 놓기 꺼린다는 것을 이용해 각종 깡딜 카드[* 카니지나 데스록 같이 다른 카드를 파괴해서 깡스탯을 얻는 카드, 출현 시 페널티가 붙었지만 파워는 높은 카드, 네이머나 제시카 존스처럼 그 구역에 다른 카드가 많지 않을 것을 상정해 깡스탯을 내는 카드 정도가 있다.]를 내는 방법 정도가 있다. 다 귀찮다면 그냥 2코스트의 루크케이지를 내면 된다. 지속효과로 모든 파워 감소를 막는다. ==== [[셀레네(마블 코믹스)|네크로샤]] ==== ||<-3>
<#E0A830>|| ||<:> '''한글명''' ||<:> 네크로샤 ||<|2><:>[[파일:necrosha.webp|width=150]]|| ||<:> '''영문명''' ||<:> Necrosha || ||<:> '''효과''' ||<-3>이 구역에 있는 모든 카드에 -2 파워를 부여합니다. || 네거티브 존의 약화판. 일반적인 3에너지 카드부터는 파워 감소를 극복할 수 있으므로 그나마 네거티브 존보다는 사용하기 편하다. ==== 넥서스 ==== ||<-3>
<#E0A830>|| ||<:> '''한글명''' ||<:> 넥서스 ||<|2><:>[[파일:the_nexus.webp|width=150]]|| ||<:> '''영문명''' ||<:> The Nexus || ||<:> '''효과''' ||<-3> 이 구역의 파워가 다른 구역에도 부여됩니다. || [[넥서스]]라는 이름답게 나오는 순간 요충지가 되는 구역으로, 이 구역에서 이기는 쪽이 무조건 유리해지도록 판을 뒤엎는 구역이다. 포지나 아이언하트 같이 버프 카드를 이용하거나, 아이언맨, 온슬로트, 오딘 같이 파워를 뻥튀기시키는 카드를 이용해 최대한 파워를 키워야 한다. 반대로 구역이 저파워 카드로 채워져 있다면 다른 방안을 찾아봐야 한다. 다만 넥서스에게 올인했는데 구역 자체가 뒤집히는 경우를 고려해야 한다. 구역 자체에 변동을 주는 카드[* 라이노, 스톰, 스칼렛 위치, 갤럭투스, 프로페서 X, 퀘이크.]나 구역[* 로스 디아블로스 기지, 스타라이트 시타델, 트란시아, 비프로스트, 월드쉽.], 디버프 카드[* 스파이더우먼, 홉고블린, 그린 고블린.], 상대 카드[* 인챈트리스, 코스모.]나 구역을 메타하거나[* 스파이더맨.] 상대 카드로 이득을 보는 카드[* 로그, 폴라리스, 매그니토, 리더, 에어로] 등 넥서스의 우세를 뒤집을 카드는 많다. ==== [[노웨어]] ==== ||<-3>
<#E0A830>|| ||<:> '''한글명''' ||<:> 노웨어 ||<|2><:>[[파일:knowhere.webp|width=150]]|| ||<:> '''영문명''' ||<:> Knowhere || ||<:> '''효과''' ||<-3>이 구역에서는 출현 효과가 발동하지 않습니다. || 출현 덱에게 불리한 구역. 반대로 페널티성 출현 효과가 붙은 카드는 기분 좋게 낼 수 있다. ==== [[뉴욕]] ==== ||<-3>
<#E0A830>|| ||<:> '''한글명''' ||<:> 뉴욕 ||<|2><:>[[파일:new_york.webp|width=150]]|| ||<:> '''영문명''' ||<:> New York || ||<:> '''효과''' ||<-3>6번째 턴에, 내 모든 카드가 이 구역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 ~~이동 임무 깨기에 좋은 구역~~ 마지막 턴에 모든 카드를 이 구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역. 마지막 턴에 카드를 옮기면 되니 카드를 덜 빡빡하게 놓을 수 있다. 필드 상황에 따라 파워가 요동치지 않는 지속 효과 카드나, 메두사나 멀티플맨같이 이동 및 출현 타이밍에 파워를 얻는 카드들을 나중에 이동시켜 이득을 보기에 좋다. 다만 이동 시기가 6턴이다 보니 그동안 빌드업이 탄탄해야 할 필요가 있고, 이동 덱을 제외하면 단순 딜 분배 효과만으로는 파워가 한쪽 위치에만 몰리기 때문에 난이도를 타는 구역이기도 하다. 특히 6턴은 마지막 턴이니만큼 뉴욕을 활용한 변수 창출에 따라 사용자의 실력을 가늠할 수 있는 구역. ==== [[니다벨리르]] ==== ||<-3>
<#E0A830>|| ||<:> '''한글명''' ||<:> 니다벨리르 ||<|2><:>[[파일:nidavellir.webp|width=150]]|| ||<:> '''영문명''' ||<:> Nidavellir || ||<:> '''효과''' ||<-3>이 구역에 있는 모든 카드에게 +5 파워를 부여합니다. || 파워 증가 구역. 4장을 채웠을 경우 최대 +20 파워를 가져갈 수 있다. 빠르게 템포를 가져와 구역을 점령하는 위니 덱에서의 효과가 좋다. 다만 카드 수량에 따른 파워 증가 외에는 의외로 평범한 구역으로, 상대도 구역을 똑같이 채우면 결국 구역에 의존할 것 없이 카드 본연의 파워를 믿어야 하므로 무작정 점령해서 좋을 건 없다. 애초에 한 구역에 극단적으로 투자해 이기려면 나머지 두 구역에서 비겨서 타이브레이커를 노리는 경우 정도이므로 이 구역만 믿고 과투자해서 좋을 건 없다. 또한 파워를 대폭으로 상승시키기 때문에 카드의 기본 파워가 4만 되어도 샹치의 범위 안에 들어가기 때문에 이를 의식하는 플레이는 필수이다. ==== [[다크 디멘션]] ==== ||<-3>
<#E0A830>|| ||<:> '''한글명''' ||<:> 다크 디멘션 ||<|2><:>[[파일:dark_dimension.webp|width=150]]|| ||<:> '''영문명''' ||<:> Dark Dimension || ||<:> '''효과''' ||<-3>게임이 끝날 때까지 이 구역에 낸 카드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 카드의 출현 효과가 6번째 턴까지 발동되지 않고 게임 종료시에 공개된다. 고도의 심리전과 해당 지역에 대한 이해가 동시에 요구되는 고난도 구역. 출현 효과의 발동이 늦어지고, 카드가 공개되었을 때를 대상으로 하는 효과[* 카드가 마지막에 공개되므로 제시카 존스의 효과도 발동되지 않고, 에보니 모는 앞으로 이 구역에 카드를 낼 수 없다는 지속 효과가 무효화되어 큰 이득을 볼 수 있다.], 카드가 뒷면이라 앞면 표시를 대상으로 하는 각종 효과의 대상이 되지 않고, 플레이어의 파워도 공개되지 않는다. 그래서 자신의 카드를 파괴시켜서 효과를 보는 파괴 덱, 카드들을 계속해서 이동시켜야하는 이동덱에게는 쥐약이다. 반면 지속 위주의 덱이나 콤보덱에서는 전략을 유출시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승부를 걸수 있다. 다크디멘션에 놓인 카드는, 마지막 턴이 시작한 순간 선공이었던 플레이어부터 공개된다. ==== 더 피크 ==== ||<-3>
<#E0A830>|| ||<:> '''한글명''' ||<:> 더 피크 ||<|2><:>[[파일:the_peak.webp|width=150]]|| ||<:> '''영문명''' ||<:> The Peak || ||<:> '''효과''' ||<-3> 손에 있는 카드들의 비용과 파워가 바뀝니다. || 미스터 네거티브의 효과를 손에 적용시키는 구역. 이 구역에 공개될 때 손에 들고 있던 카드에만 한번 적용되고 끝난다. 깡파워가 높은 카드를 많이 쓰는 덱이 큰 손해를 볼 수 있고, 반대로 비용 대비 파워가 낮은 출현 카드나 지속 카드를 많이 쓰는 덱이 이득을 볼 가능성이 높다. 처음 출시되었을 때는 '산봉우리'라는 이름이었으나 패치로 '더 피크'로 지역이름이 바뀌었다. 원래도 S.W.O.R.D. 소속의 우주요새의 이름이므로 고유명사화 하는것이 맞다. ==== [[데스(마블 코믹스)|데스]]의 영역 ==== ||<-3>
<#E0A830>|| ||<:> '''한글명''' ||<:> 데스의 영역 ||<|2><:>[[파일:deaths_domain.webp|width=150]]|| ||<:> '''영문명''' ||<:> Death's Domain || ||<:> '''효과''' ||<-3>이 구역에 카드를 내면, 그 카드를 파괴합니다. || [[데스(마블 코믹스)|데스]]의 영역이라는 컨셉답게 낸 카드가 무조건 파괴되는 구역. 아이러니하게도 데스는 파괴 내성이 없어 데스 본인도 이 구역에서는 얄짤없이 파괴된다. 파괴 내성을 지닌 카드[* 콜로서스, 프로페서X 등]가 거의 없으므로 다들 이 구역에 카드를 내는 것을 피하게 된다. 단 토큰을 생성하거나, 다른 구역에서 데스의 구역으로 카드가 이동했을 경우에는 파괴되지 않는다. 또한 데스의 영역의 구역 효과 이전에 카드의 출현 효과가 먼저 적용되므로[* 아이언 피스트를 낸 후 데스의 영역에 카드를 내서 옆 구역으로 밀어내는 것도 가능하지만, '''"그 카드를"''' 파괴하는 구역의 효과상 카드의 이동 여부와 관계 없이 데스의 영역에 낸 카드는 파괴된다.] 자체 파워가 낮지만 효과가 좋은 카드를 데스의 영역에 내서 자리를 비울 수 있다. 파괴되었을 경우 효율을 보는[* 울버린, 엔젤, 노바, 세이버투스, 데드풀] 파괴 위주의 덱에서는 괜찮은 구역이다. 콜로서스가 마침 2에너지고, 같은 2에너지인 아머 역시 본인은 물론 다른 카드까지 파괴되는 것을 막으므로, 6턴에 아머를 내서 구역을 가져올 수 있기에 킬몽거/엘렉트라 대비책으로 아머를 채용하는 위니 덱에서 역이용할 여지가 있다. ==== 데인저 룸 ==== ||<-3>
<#E0A830>|| ||<:> '''한글명''' ||<:> 데인저 룸 ||<|2><:>[[파일:danger_room.webp|width=150]]|| ||<:> '''영문명''' ||<:> Danger Room || ||<:> '''효과''' ||<-3>이 구역에 낸 카드는 25% 확률로 파괴됩니다. || 낸 카드가 1/4 확률로 파괴되는 구역. 이름없는 술집과 마찬가지로 카드를 내려고 할 때 붉은 조명이 켜지는 경고성 연출이 있으며, 카드가 파괴될 경우 구역에서 레이저 포가 나와서 카드를 태워버린다. 데스의 영역은 카드가 확실히 파괴되기 때문에 양쪽 모두 다른 수단을 찾아야 하지만, 이 쪽은 파괴되지 않을 확률이 75%라 도박을 시도해보는 것도 방법이다. ~~[[운빨좆망겜|체감상으로는 내가 내면 75% 수준으로 파괴된다]]~~ 데스의 영역과 마찬가지로 카드를 '낸' 경우에만 발동하기에 이동 및 토큰 소환에는 발동하지 않으며, 안정적으로 아머, 콜로서스 같은 파괴 면역 카드를 내는 방법도 있다. ==== [[J. 조나 제임슨|데일리 뷰글]] ==== ||<-3>
<#E0A830>|| ||<:> '''한글명''' ||<:> 데일리 뷰글 ||<|2><:>[[파일:daily_bugle.webp|width=150]]|| ||<:> '''영문명''' ||<:> Daily Bugle || ||<:> '''효과''' ||<-3>상대의 손에 있는 카드 1장의 복사본을 얻습니다. || 공개 시 신문이 하나 등장하며 헤드라인에 카드명이 언급되는 연출이 있다. 어떤 패를 가져와 변수를 창출하느냐가 관건이며, 상대가 들고 있는 패 중 1장은 이것이라는 정보를 알 수 있으므로 심리전을 시도해볼 수 있다. 잠수함 패치로 오역이 수정되었다. 원래는 덱에 있는 카드를 가져온다는 오역이 있었다. ==== 드림 디멘션 ==== ||<-3>
<#E0A830>|| ||<:> '''한글명''' ||<:> 드림 디멘션 ||<|2><:>[[파일:dream_dimension.webp|width=150]]|| ||<:> '''영문명''' ||<:> Dream Dimension || ||<:> '''효과''' ||<-3>5번째 턴에, 모든 카드의 비용이 1 증가합니다. || 5번째 턴에 모든 카드의 비용을 1 늘리는 구역. 5턴에 4코스트 이하의 카드만 낼 수 있게 되므로, 5코스트 카드가 핵심이 되는 덱이라면 계획이 어그러지게 된다. 두 장 이상의 플레이는 더욱 제약되는데, 2+1 혹은 1+1+0 이하의 플레이만 할 수 있게 된다. 에너지 증가 효과로 어느 정도 상쇄할 수 있다. ==== 디스트릭트 X ==== ||<-3>
<#E0A830>|| ||<:> '''한글명''' ||<:> 디스트릭트 X ||<|2><:>[[파일:district_x.webp|width=150]]|| ||<:> '''영문명''' ||<:> District X || ||<:> '''효과''' ||<-3>각 플레이어의 덱이 무작위 카드 10장으로 교체됩니다. || 내가 꾸린 덱을 무작위 카드로 바꿔버리므로 게임 플랜을 통으로 꼬아버리는 구역이다. 일단 이 구역이 나왔다면 손패의 카드만으로 버티거나, 상대보다 좋은 카드를 넣어줬기를 기도하는 수 밖에는 없다. ==== 딥 스페이스 ==== ||<-3>
<#E0A830>|| ||<:> '''한글명''' ||<:> 딥 스페이스 ||<|2><:>[[파일:deep_space.webp|width=150]]|| ||<:> '''영문명''' ||<:> Deep Space || ||<:> '''효과''' ||<-3>이 구역에는 카드 텍스트가 비활성화 됩니다. || 단순히 노웨어와 침묵의 섬을 합친 효과가 아니라 아예 모든 카드를 바닐라로 만드는 구역. 어지간해서는 패널티를 가진 카드들을 내서 최대한 이득을 보는 식으로 플레이하게 된다. === ㄹ~ ㅂ === ==== [[로키(드라마)/줄거리#EP 3: 라멘티스 (Lamentis)|라멘티스-1]] ==== ||<-3>
<#E0A830>|| ||<:> '''한글명''' ||<:> 라멘티스-1 ||<|2><:>[[파일:lamentis-1.webp|width=150]]|| ||<:> '''영문명''' ||<:> Lamentis-1|| ||<:> '''효과''' ||<-3>카드를 3장 뽑습니다. 두 플레이어의 덱을 파괴합니다. || 공개되는 순간 카드를 3장 뽑은뒤 덱의 카드를 전부 날려버린다. 만약 패 넘침이나 위도우 바이트 등의 이유로 드로우를 할 수 없게 되었다면 못뽑은 카드들은 그대로 날아간다. 파괴덱을 제외하면 그 어떠한 덱도 손해만 보는 구역이다. 만약 데스나 '''널'''이 손에 들어온 상태에서 덱이 파괴되면 데스는 즉시 0코스트가 되며 널은 아예 '''양쪽 플레이어 카드의 총합 파워'''를 가져버리기 때문에 어지간해선 파괴덱이 그 매치를 이길 확률이 매우 높다. 욘두와 비슷하게 라멘티스의 효과로 파괴된 카드들도 일일이 파괴판정이 들어가기 때문에, 데스의 비용이 감소된다. 이 때문에 데스를 거의 무조건 0코로 낼 수 있어 신규구역 출시 후 문걸 데스 덱으로 메타가 뒤덮히게 되었다. 0코가 된 데스를 카운터치겠다시고 리치나 블랙 볼트를 넣는 경우까지 간 상황. 덱을 파괴한다는 게 상당한 디메리트처럼 보이지만 미리 3장의 카드를 드로우 해주기 때문에 실제로는 드로우를 미리 당겨쓴 것에 가깝다. 다만 구역 공개 타이밍에 따라서는 약간에 패손실이 발생하는데, 총 드로우 숫자만 카운트 하면 6턴 게임 기준, 1턴에 공개되면 3장, 2턴에 공개되면 2장, 3턴에 공개되면 1장을 덜 드로우 한 것이 된다.[* 마블 스냅은 게임 시작시 3장을 가지고 시작하여 1턴부터 각 턴에 1장씩 드로우하고, 6턴까지 진행되므로, 구역이나 카드의 효과로 추가 드로우를 하지 않는 이상 보통은 총 9장의 카드로 게임을 진행하게 된다.] 대신 3장이 먼저 손에 들어오기 때문에 이른 타이밍부터 패말림 가능성이 적은 플레이가 가능하며, 스냅각이나 탈출각을 계산하는 타이밍이 많이 앞당겨진다. 그렇기 때문에 에너지 코스트 배분이 안정적인 덱일 수록 덱파괴의 패널티를 덜 받으며, 코스트 배분이 극단적이고 덱에서 카드를 뽑아와야지만 강력한 플레이를 할 수 있는 덱[* 록조 덱, 미스터 네거티브 덱 등]에게는 치명적인 구역이다. 버리기덱은 인비저블 걸과 헬라가 손에 있다면 어느정도 본래의 플랜대로 플레이 할 수 있으나, 드로우 되는 카드의 총합이 줄었기 때문에 헬라가 소환할 수 있는 카드의 총 파워 또한 줄어든 격이 되므로 다소 복합적이다. 초기 등장으로 등장 빈도를 높게 키웠던 당시에는 역대급 민폐 구역으로 악평이 자자한 구역이었다. 대다수 덱 빌드가 드로우를 보거나 주빌리 같은 덱 소환 카드들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빌드업에 지장이 가는데, 전반적으로 평범한 플레이 요소를 박살내는 부분에 임팩트가 크다보니 평가완 별개로 여러모로 욕을 많이 먹은 장소다. 라멘티스가 공개된 이후 디스트릭트X처럼 덱의 카드를 추가하는 구역이 공개되면 정상적으로 카드를 드로우 할 수 있다. 이 경우엔 오히려 자신의 덱에서 3장을 당겨쓰고도 덤으로 랜덤한 카드를 드로우 하게 되므로 일정부분 이득이다. 원작에서 라멘티스는 위성 충돌로 파괴되기 일보직전인 행성이라서 주민들이 대피하고 있는 사정인데, 이를 살려 대규모 드로우 이후 덱 파괴라는 효과를 넣은 것으로 보인다. 이펙트 또한 서로 덱에서 카드를 뽑은 뒤 위성이 날아와 덱을 박살내버리는 연출을 보여준다. ==== [[래프트]] ==== ||<-3>
<#E0A830>|| ||<:> '''한글명''' ||<:> 래프트 ||<|2><:>[[파일:the_raft.webp|width=150]]|| ||<:> '''영문명''' ||<:> The Raft || ||<:> '''효과''' ||<-3>이 구역을 먼저 가득 채운 플레이어가 비용이 6인 카드를 탈출시킵니다. 그 카드의 비용이 0이 됩니다. || 구역에 먼저 4장을 배치하면 전체 6에너지 카드 중 무작위로 1장을 0비용으로 가져온다. 서로 동시에 4장을 배치할 경우 두 플레이어 모두 카드를 얻는다. 구역을 가득 채우는 위니 덱에 유리한 구역. 다만 빠르게 4장을 채워버려서 카드를 뽑았지만 후반엔 그 거점을 손쉽게 상대에게 내 줄 수도 있어서 활용하기에 따라 오히려 페널티가 될 수도 있는 구역이다. 샌드맨이나 5턴 웨이브가 이 구역의 카운터로, 어차피 한 턴에 카드를 하나만 낼 수 있으니 비용이 0이 되는 메리트는 의미가 없고 위에서 서술한 페널티만 부각될 수 있다. ==== [[레무리아]] ==== ||<-3>
<#E0A830>|| ||<:> '''한글명''' ||<:> 레무리아 ||<|2><:>[[파일:lemuria.webp|width=150]]|| ||<:> '''영문명''' ||<:> Lemuria || ||<:> '''효과''' ||<-3> 이 턴에는 카드가 공개되지 않습니다. || 레무리아가 공개된 턴엔 배치한 카드들이 공개되지 않고, 다음 턴이 끝날 때 한꺼번에 공개된다. 레무리아가 공개되면 물보라가 일면서 바닷속으로 잠수하는 것 같은 이펙트가 나온다. 단순한 떡대 카드, 떡대 대신 페널티가 있는 카드는 페널티가 한 턴 늦춰지니 소소한 이득을 볼 수 있지만 긴밀한 연계가 요구되는 카드들의 순서를 꼬아놓을 수도 있다. 3턴에 일렉트로나 웨이브등 램프 카드를 던져야할때 3번째 구역으로 레무리아가 떠버리면 골치 아픈 구역이 되어버린다. ==== [[몰맨|레추길라]] ==== ||<-3>
<#E0A830>|| ||<:> '''한글명''' ||<:> 레추길라 ||<|2><:>[[파일:lechuguilla.webp|width=150]]|| ||<:> '''영문명''' ||<:> Lechuguilla || ||<:> '''효과''' ||<-3>이 구역에 카드를 냈을 때, 내 덱에 바위를 셋 섞어 넣습니다. || 바위는 1에너지 파워 0의 토큰 카드로, 사실상 카드를 낼 때마다 드로우를 방해해서 플랜을 꼬는 구역이다. 정석적으로 구역에 카드를 내지 않고 토큰 생성이나 이동을 노리거나, 드로우가 얼마 남지 않은 후반부에 전개하게 된다. 바위가 에너지 1에 효과가 없는 카드라 위니 덱이나 패트리어트 덱에서는 그나마 활용할 수 있지만, 바위의 파워가 워낙에 낮은지라 총 파워에서 밀려 지게 될 확률이 높다. ==== [[릭 존스|로스 디아블로스 기지]] ==== ||<-3>
<#E0A830>|| ||<:> '''한글명''' ||<:> 로스 디아블로스 기지 ||<|2><:>[[파일:los_diablos_base.webp|width=150]]|| ||<:> '''영문명''' ||<:> Los Diablos Base || ||<:> '''효과''' ||<-3>3번째 턴이 끝날 때, 무작위 구역을 붕괴시킵니다. || 3번째 턴이 끝날 때 다른 구역 중 하나를 '폐허'로 바꾸는 구역이다. 3번째 턴 시작 시 경고등이 울리며 능력이 발동한다는 경고를 하고 턴이 끝나면 구역에서 미사일이 발사되어서 다른 구역 중 한 곳을 붕괴시킨다. 카마르타지, 림보, 모조월드 같이 변수를 최대한 창출할 수 있는 상황에서 구역을 엎어버리거나, 파워 디버프나 데스의 영역 같은 페널티 구역을 제거해서 양 쪽 모두 새로운 전략을 짜야 하는 등 게임을 뒤흔드는 구역이다. 2번째로 공개되면 특히 더 골치아픈 장소. ==== [[루크 케이지|루크]]의 술집 ==== ||<-3>
<#E0A830>|| ||<:> '''한글명''' ||<:> 루크의 술집 ||<|2><:>[[파일:lukes_bar.webp|width=150]]|| ||<:> '''영문명''' ||<:> Luke's Bar || ||<:> '''효과''' ||<-3>이 구역에 카드를 내면, 그 카드를 내 손으로 다시 가져옵니다. || 구역에 카드를 내면 물건을 던지는 이펙트와 함께 카드가 손으로 다시 돌아온다. 소환, 이동은 이런 류의 구역이 다 그렇듯 문제없이 적용된다. 파괴가 아니라 손으로 돌려보내는 구역이라 노바, 울버린 같은 파괴 시너지는 없는 대신 출현 카드를 여러 번 활용할 수는 있다. 아이언하트, 더 후드 같이 자체 스탯은 엉망이지만 출현 효과로 이득을 볼 수 있는 카드와의 궁합이 좋다. 효과를 막으려면 패 한도인 7장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 구역의 효과는 다시 가져오는 것인데 가져올 공간이 없어서 효과가 발동하지 않기 때문. 카드를 내면 패가 줄어든다는 모순이 있는데 어떻게 막는지 싶지만 카드의 효과는 구역의 효과 보다 먼저 발동하는 걸 이용해서 패에 카드를 생성하는 카드를 내면 된다. ==== [[매직(마블 코믹스)|림보]] ==== ||<-3>
<#E0A830>|| ||<:> '''한글명''' ||<:> 림보 ||<|2><:>[[파일:limbo.webp|width=150]]|| ||<:> '''영문명''' ||<:> Limbo || ||<:> '''효과''' ||<-3>이번 게임은 7번째 턴을 가집니다. || 6턴이 마지막인 게임에서 1턴을 추가하는 구역. 구역이 공개되면 구역에서 불길이 타오르고 턴 넘기기 버튼에 불덩이를 쏴 최대 턴의 숫자를 7로 바꾼다. 만약 스톰이나 스칼렛 위치 등으로 6턴에 이 구역을 교체하면 정상적으로 6턴에 게임이 끝난다. '매직' 카드는 이 구역을 효과로 생성할 수 있다. 한 턴을 더 진행한다는 굉장히 큰 변수를 만들어내는 구역. 보통 6턴에 고코스트 카드로 마무리를 짓는 경우가 많은데 6턴이 끝이 아니게 되니 전략을 다르게 가져가야 한다. 보통 고점이 높은 빅덱에 유리하다. 6턴에 스칼렛 위치, 갤럭투스, 리전 등으로 림보가 사라져 버리면 게임이 즉시 종료되니 주의해야 한다. ==== 마인드스케이프 ==== ||<-3>
<#E0A830>|| ||<:> '''한글명''' ||<:> 마인드스케이프 ||<|2><:>[[파일:mindscape.webp|width=150]]|| ||<:> '''영문명''' ||<:> Mindscape || ||<:> '''효과''' ||<-3>6번째 턴 시작 시 서로 손에 든 카드를 바꿉니다. || --공룡덱 카운터-- 턴이 시작할 때 카드를 교체하기 때문에 패가 교체된 후 내 덱에서 카드를 드로우한다. 6턴 플레이 계획을 망가뜨리는 효과로, 상대에게 이득이 될 것 같은 카드면 미리 소모해버려야 한다는 무언의 압박을 가하는 구역이다. 내 핸드가 그대로 상대에게 넘어가기 때문에 6턴엔 상대가 뭘 쥐고 있는지 자연스레 알게 되므로 스냅으로 승부수를 띄우거나 빠르게 탈출하는 등 게임의 승패를 어느 정도 예측하는데 도움을 주기도 한다. ==== 머더월드 ==== ||<-3>
<#E0A830>|| ||<:> '''한글명''' ||<:> 머더월드 ||<|2><:>[[파일:murderworld.webp|width=150]]|| ||<:> '''영문명''' ||<:> Murderworld || ||<:> '''효과''' ||<-3>3번째 턴이 끝날 때, 이 구역의 모든 카드를 파괴합니다. || 코믹스에서 삼류 빌런인 '아케이드'가 만든 살인 놀이공원을 깜짝 파괴 구역으로 구현했다. 구역 효과가 발동하면 망치가 나와서 양 구역을 한 번씩 친다. 미공개 구역이라 카드를 전개했는데 이 구역일 경우 상당한 타격을 받는 장소. 파괴 덱이나 아머를 채용하지 않은 덱은 4턴부터 전개를 시작하게 된다. 레무리아 같이 카드가 공개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카드는 파괴된다. ==== 머신월드 ==== ||<-3>
<#E0A830>|| ||<:> '''한글명''' ||<:> 머신월드 ||<|2><:>[[파일:machineworld.webp|width=150]]|| ||<:> '''영문명''' ||<:> Machineworld || ||<:> '''효과''' ||<-3>이 구역에 카드를 내면, 해당 카드의 사본을 상대방의 손에 한 장 추가합니다. || 2022년 11월 2일에 추가된 지역이다. 얼핏 보면 페널티를 안고 있는 구역이고, 실제로 콤보 덱이나 지속 버프를 노리는 덱이면 하수인을 굉장히 신중하게 깔아야 하므로 상대의 패를 잘 파악해 카드를 내야 한다. 반대로 위니 덱이라면 저코스트 카드를 상대에게 계속 떠넘겨서 핸드를 채우고 드로우를 방해해 상대가 콤보를 시작하기도 전에 꼬아버릴 수 있다. 머신월드와 마인드스케이프가 함께 등장한 경우, 5턴에 머신월드에 카드를 내고 그 카드를 6턴에 돌려받을 수 있다. ==== [[모라그]] ==== ||<-3>
<#E0A830>|| ||<:> '''한글명''' ||<:> 모라그 ||<|2><:>[[파일:morag.webp|width=150]]|| ||<:> '''영문명''' ||<:> Morag || ||<:> '''효과''' ||<-3> 매 턴의 첫 카드는 이 구역에 낼 수 없습니다. || 22년 12월 5주차에 추가된 지역. 저에너지 카드가 없다면 유사 생텀 생토럼이 되어버리므로 카드를 한장씩 던지는 빅덱/템포 덱에게 골치아픈 구역. 위니 카드가 있다고 해도 카드 순서가 꼬여서 비효율적인 플레이를 해야 할 수도 있다. ==== [[모조월드]] ==== ||<-3>
<#E0A830>|| ||<:> '''한글명''' ||<:> 모조월드 ||<|2><:>[[파일:mojoworld.webp|width=150]]|| ||<:> '''영문명''' ||<:> Mojoworld || ||<:> '''효과''' ||<-3>이 구역에서 카드가 더 많은 플레이어는 +100 파워를 얻습니다. || 구역을 가득 채울 것을 권장하는 구역. 구역 공개 시 다양한 전광판이 나오고, 효과 발동 시 효과를 받는 플레이어의 닉네임이 적힌 전광판을 포함한 여러 전광판이 나온다. 니다벨리르와 유사한 구역이지만 이쪽은 카드 자체의 파워보다는 개수에 더 크게 의존하게 된다는 차이가 있다. 다만 둘 다 4장을 채우면 카드 파워로 승부를 봐야 하고, 이 구역에만 투자하다가 오히려 다른 구역들을 내 줄 수도 있으니 신중하게 투자할 필요가 있다. 타이브레이커 상황이라면 이 구역을 점령한 쪽이 거의 이긴다. 모조 본인은 이 구역과의 궁합이 좋다. 구역의 특성 상 구역을 가득 채워야 승리할 가능성이 높아지는데, 이때 모조는 +6 파워를 얻기 때문. ==== 몬스터 메트로폴리스 ==== ||<-3>
<#E0A830>|| ||<:> '''한글명''' ||<:> 몬스터 메트로폴리스 ||<|2><:>[[파일:monster_metropolis.webp|width=150]]|| ||<:> '''영문명''' ||<:> Monster Metropolis || ||<:> '''효과''' ||<-3>이 구역에서 가장 높은 파워를 가진 카드에게 +3 파워를 부여합니다. || 이 구역에서 가장 높은 파워를 가진 카드에게만 효과를 주는 구역이다. 파워가 동률인 카드가 여럿 있다면, 전부 효과가 부여된다. 어지간하면 높은 파워의 카드를 내는 것이 좋은 구역이다. 상대가 더 높은 파워의 카드를 내면 뒤집힐 수 있고, 그게 아니더라도 3 정도의 파워는 충분히 역전당할 수 있으므로 방심은 금물이다. ==== 몬스터 아일랜드 ==== ||<-3>
<#E0A830>|| ||<:> '''한글명''' ||<:> 몬스터 아일랜드 ||<|2><:>[[파일:monster_island.webp|width=150]]|| ||<:> '''영문명''' ||<:> Monster Island || ||<:> '''효과''' ||<-3>이 구역에 9 파워의 몬스터를 각 플레이어에게 추가합니다. || 새비지 랜드, 섀도우 월드와 유사하게 중립 토큰을 소환해주는 구역. 소환되는 토큰의 파워가 9라 샹치에게 저격당한다는 점을 주의할 것. 소환되는 토큰이 파워가 9로 왠만한 카드보다 높다보니 효과가 파워를 따지는 덱들에겐 이 구역 자체가 카운터이다. 특히 가장 높은 파워를 가진 카드에게 파워를 부여하는 세레브로는 나오면 바로 탈출 버튼을 누르게 만드는 구역. ==== [[모이라 맥태거트|뮤어 아일랜드]] ==== ||<-3>
<#E0A830>|| ||<:> '''한글명''' ||<:> 뮤어 아일랜드 ||<|2><:>[[파일:muir_island.webp|width=150]]|| ||<:> '''영문명''' ||<:> Muir Island || ||<:> '''효과''' ||<-3>턴이 끝날 때마다, 이 구역의 모든 카드에게 +1 파워를 부여합니다. || 미리 자리를 잡아서 놓으면 6턴까지 카드 하나당 최대 (마지막 카드 소환 수)x(매턴마다 +1 파워)를 줄 수 있는 강력한 구역이다. 이론상 최대 잠재성이 높은 장소이나, 코스트마다 쓸 수 있는 카드는 평균적으로 1, 2장이기에 실질적인 실리는 {넣은 카드 수x(공개된 턴-전체 턴 수)}로 봐야 한다. 두번째 턴부터 위니가 이 구역에 이득을 최대한 뽑을 수가 있다. 이미 상대가 먼저 자리를 잡았으면 일찍이 포기해야 하는 유동성이 요구된다. 해당 구역은 초반에 스노우볼링을 끌어올리는 요소를 가졌으므로 늦었다 싶으면 나머지 다른 두 장소를 점령하는게 제일 좋다. 본디 승리 목표는 3장소에서 2 장소를 점령하는 것이니 타이 브레이커가 아닌 이상 빠른 판단이 요구되는 구역이기도 하다. 궁합이 좋은 카드는 데드풀. 초반에 빈약한 파워를 증가시켜 파괴될시 급진적으로 파워를 증가시킬 수 있게된다. 카운터 카드는 구역의 모든 카드의 파워를 기본 상태로 바꾸는 효과를 지닌 섀도우 킹. ==== [[미러 디멘션]] ==== ||<-3>
<#E0A830>|| ||<:> '''한글명''' ||<:> 미러 디멘션 ||<|2><:>[[파일:mirror_dimension.webp|width=150]]|| ||<:> '''영문명''' ||<:> Mirror Dimension || ||<:> '''효과''' ||<-3>3번째 턴이 끝날 때, 다른 두 구역 중 하나로 변화합니다. || 해당 게임에 있는 나머지 두 구역 중 하나로 변화한다. 이미 능력을 다한 유사 폐허로 변할 수도 있지만, 넥서스나 이름없는 술집같이 승패에 큰 영향을 미치는 구역으로 변할 수도 있기에 같이 등장한 구역에 따라서 다른 판단을 요구하는 구역. ==== 밀라노 ==== ||<-3>
<#E0A830>|| ||<:> '''한글명''' ||<:> 밀라노 ||<|2><:>[[파일:Milano_Snap.png|width=150]]|| ||<:> '''영문명''' ||<:> Milano || ||<:> '''효과''' ||<-3>~~이 구역에는 5턴에만 카드를 낼 수 있습니다.~~[*조정중 재설계를 위해 일시적으로 게임에서 제외되었다. 추후 새로운 효과를 가진 구역으로 등장 예정.] || 5.25 밸런스 업데이트 이후 일시적으로 게임에 등장하지 않는다 ==== [[바 시니스터(마블 스냅)|바 시니스터]] ==== ||<-3>
<#E0A830>|| ||<:> '''한글명''' ||<:> 바 시니스터 ||<|2><:>[[파일:bar_sinister.webp|width=150]]|| ||<:> '''영문명''' ||<:> Bar Sinister || ||<:> '''효과''' ||<-3>이 구역에 카드를 내면 이 구역을 해당 카드의 사본으로 채웁니다. || [[바 시니스터(마블 스냅)|문서 참조]] ==== [[베수비오산]] ==== ||<-3>
<#E0A830>|| ||<:> '''한글명''' ||<:> 베수비오 산 ||<|2><:>[[파일:vibranium-mines.webp|width=150]]|| ||<:> '''영문명''' ||<:> 영문명 || ||<:> '''효과''' ||<-3>5턴 이후 플레이어는 탈출할 수 없습니다 || 5턴 이후 플레이어의 탈출을 금지시키는 구역. 5턴 이후 화산이 폭발해 탈출 버튼을 아예 막아버린다. 다른 구역이 게임에 영향을 준다면 이 구역은 게임에 주는 영향이 없는 대신 플레이어의 판단력을 시험하는 구역이다. 5턴에 패색이 짙어 역전 가능성이 희박하다면 칼같이 탈출하는 것을 권장하는데, 계속 진행했다가 상대가 막턴에 스냅을 쳐서 꼼짝없이 4큐브 이상을 헌납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 비브라늄 광산 ==== ||<-3>
<#E0A830>|| ||<:> '''한글명''' ||<:> 비브라늄 광산 ||<|2><:>[[파일:vibranium-mines.webp|width=150]]|| ||<:> '''영문명''' ||<:> Vibranium Mines || ||<:> '''효과''' ||<-3>이 구역에 카드를 내면, 덱에 비브라늄을 3장 섞어 넣습니다. || 2022년 11월 23일에 추가된 신규 구역[* 업데이트 당시 한국 한정으로 제일 앞에 [[자위행위|ㄸㄸ]]이라는 [[https://www.youtube.com/post/Ugkxpm14yWwpjhURNpcl_AQzPyuMpaSsUpx4|오타]]가 추가되어 있어 웃음거리가 되었다.]. 레추길라와 비슷하게 덱에 토큰을 섞어넣는 구역. 레추길라는 1코스트 0파워의 쓰레기 카드를 채우나 이 구역에서 주는 비브라늄은 1코스트 4파워의 준수한 카드이다. 지속 효과로 파괴가 불가능한 효과가 붙어있어 킬몽거 등에도 죽지 않고 스펙트럼의 지속 카드 버프 등에도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스탯이 압도적인 것도 아니고, 덱 컨셉과 관련도 없는 카드가 덱에 섞이게 되므로 결국 손해다. 레추길라보다야 덜하지만 초반에 카드를 내기 껄끄러운 구역. ==== [[비프로스트(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비프로스트]] ==== ||<-3>
<#E0A830>|| ||<:> '''한글명''' ||<:> 비프로스트 ||<|2><:>[[파일:the_bifrost.webp|width=150]]|| ||<:> '''영문명''' ||<:> The Bifrost || ||<:> '''효과''' ||<-3>4번째 턴 후에, 모든 카드를 오른쪽 구역으로 이동시킵니다. || 모든 구역의 카드들이 한 칸씩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구역. 첫 번째 구역이 빈 채로 5턴을 시작하게 되며, 다른 구역이 국부적 지속 효과를 가지고 있다면 매우 큰 변수가 된다. 이 효과로 제시카 존스, 호크아이, 슈리 등의 '이구역에'라는 조건이 붙은 카드가 이동하게 되었을 경우, 효과 발동의 기준은 카드의 위치가 아니라 '장소'의 위치임에 유의하자. ==== [[판타스틱 포|백스터 빌딩]] ==== ||<-3>
<#E0A830>|| ||<:> '''한글명''' ||<:> 백스터 빌딩 ||<|2><:>[[파일:baxter_building.webp|width=150]]|| ||<:> '''영문명''' ||<:> Baxter Building || ||<:> '''효과''' ||<-3>이 구역에서 이기는 플레이어의 모든 구역이 +3 파워를 얻습니다. || 뜨면 전략의 요충지가 되는 핵심 구역. 특히 해당 지역에서 파워에 따라 희비가 극단적으로 갈리기 때문에 타이 브레이커를 거의 불가능하게 만드는 구역이기도 하다. 주변 버프를 이용하거나 빅덱을 통해 효율이 나오는 구역이기도 하다. 위니가 전 구역을 점령한다 하더라도, 만약 해당 구역을 점령하는데 실패하면 나머지가 -3x3의 불이익을 받고 최대 -9라는 극단적인 손실을 쌓게 되기도 한다. ==== 복제소 ==== ||<-3>
<#E0A830>|| ||<:> '''한글명''' ||<:> 복제소 ||<|2><:>[[파일:cloning_vats.webp|width=150]]|| ||<:> '''영문명''' ||<:> Cloning Vats || ||<:> '''효과''' ||<-3>이 구역에 카드를 냈을 때, 그 카드를 복사하여 내 손에 추가합니다. || 내기 전에 적용되어 있던 효과가 적용되어서 복제되며, 낼 때 적용되는 효과[* 카니지나 블랙 팬서 등의 출현 효과는 물론이고, 출현 효과로 노바를 파괴해서 얻은 버프나, 슈리나 포지의 효과 등을 포함.]도 구역의 효과보다 먼저 발동되기에 전부 복사 효과에 반영된다. 헐크버스터를 이 구역에 내서 임의의 카드와 합체시킨다면, 헐크버스터의 버프를 받은 해당 카드가 손에 들어오게 된다. ==== [[보르미르(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보르미르]] ==== ||<-3>
<#E0A830>|| ||<:> '''한글명''' ||<:> 보르미르 ||<|2><:>[[파일:vormir.webp|width=150]]|| ||<:> '''영문명''' ||<:> Vormir || ||<:> '''효과''' ||<-3> 이 구역에 처음으로 낸 카드가 파괴됩니다. || 22년 12월 4주차에 추가된 구역. 코믹스의 보르미르가 아니라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보르미르가 나왔다. 파괴 효과는 각자 따로 계산하기 때문에 서로 1번씩은 파괴용 제물을 바쳐야 한다. 노바, 버키 반스같은 저비용 자괴카드들이 효과를 보기 좋다. 물론 다른 파괴효과 구역처럼 아머나 콜로서스등의 파괴면역 카드들로 무력화할 수도 있다. 원래 정발명은 보'르'미르 였으나 스냅에서는 보'로'미르로 번역되었다. 이후 보르미르로 수정됨. ---아쉽게도 플레이어가 가모라나 블랙 위도우를 바쳐도 소울 스톤을 주진 않는다.--- ==== 볼트 교도소 ==== ||<-3>
<#E0A830>|| ||<:> '''한글명''' ||<:> 볼트 교도소 ||<|2><:>[[파일:the_vault.webp|width=150]]|| ||<:> '''영문명''' ||<:> The Vault || ||<:> '''효과''' ||<-3>6번째 턴에, 이 구역에 카드를 낼 수 없습니다. || 마블 세계관에 존재하는 교도소다. 이동, 토큰, 버프 계열의 덱이 아니라면 보통 5턴에 승부가 결정나는 구역. 6번째 턴에 카드가 막히기 때문에 웬만하면 6코스트 카드는 이 구역에 낼 수 없다. 효과가 6번째 턴에'''만''' 카드를 낼 수 없는 효과기 때문에 림보 구역으로 7번째 턴이 생길 경우 마지막 턴에 이 구역이 다시 열려서 카드를 낼 수 있다. 또한 나이트크롤러나 비전으로 이동시켜서 전세를 역전시키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5번째 턴이 되면 경보가 울리고 6번째 턴에는 구역의 문이 잠기는 연출이 있다. 4월 19일 패치로 번역이 '금고'에서 '볼트 교도소'로 고유명사화 되었다. ==== 부서질 것 같은 다리 ==== ||<-3>
<#E0A830>|| ||<:> '''한글명''' ||<:> 부서질 것 같은 다리 ||<|2><:>[[파일:rickety-bridge.webp|width=150]]|| ||<:> '''영문명''' ||<:> Rickety Bridge || ||<:> '''효과''' ||<-3> 턴이 끝날 때마다 이 구역에 카드가 두 장 이상 있다면 해당 구역에 있는 모든 카드가 파괴됩니다. || 23년 1월 3주차에 추가된 구역. 매턴이 끝날 때마다 다리에 '''진영에 상관없이''' 카드가 2장 이상이라면 전부 파괴해버린다. 아무리 강한 카드를 낸다 하더라도 파괴 내성이 없는 이상 값싼 위니 하나만 던지면 전부 증발하기 때문에 굉장히 점령하기 힘든 구역. 당연히 파괴 시너지를 볼 수 있으며, 에어로나 저거너트, 폴라리스, 매그니토 등으로 상대의 카드를 이 구역으로 이동시켜서 파괴시킬 수도 있고, 닥터 옥토퍼스를 이 구역에 낸다면 상대의 패를 털어버릴 수도 있다. 파괴 내성을 가진 콜로서스, 마지막 턴이 끝난 후에 움직이는 캡틴 마블, 프로페서 엑스, 간접 파워 부여 등이 있다면 용이하게 점령할 수 있으며, 운이 좋다면 음바쿠가 소환될 수도 있다. 아머나 구역 변경 효과를 이용해서 구역 효과를 무시해버릴 수도 있다. ==== 붕괴된 광산 ==== ||<-3>
<#E0A830>|| ||<:> '''한글명''' ||<:> 붕괴된 광산 ||<|2><:>[[파일:collapsed-mine.webp|width=150]]|| ||<:> '''영문명''' ||<:> Collapsed Mine || ||<:> '''효과''' ||<-3> 이 구역을 바위로 채웁니다.[* 처음에는 채우세요라고 오역했다. 제대로 된 번역은 "채웁니다"가 더 정확한 표현인데, 명령문으로 오역을 해놓았었다(...)] 턴을 건너뛰면 바위가 파괴됩니다. || 23년 1월 4주차에 추가된 구역. 구역 등장 시 1코스트 0파워짜리 토큰 카드인 바위로 이 구역을 가득 채운다. 카드를 내거나 이미 낸 카드를 이동시키는 행위 둘 다 하지 않고 그냥 턴을 건너뛰면 곡괭이로 내려치는 이펙트와 함께 자신쪽 진영의 바위가 모두 부서진다. 턴을 건너뛰지 않으면 한 구역이 그냥 틀어막히기에 템포 플레이에 상당히 방해가 되는 구역이다. 파괴 판정이기에 아머, 프로페서 엑스, 데스와 상호작용하며, 파괴는 구역의 효과이기에 로스 디아블로스 기지나 구역 변경 카드 등으로 파괴된 광산이 사라진다면 턴을 넘기더라도 바위는 파괴되지 않는다. 이동되었거나, 팔콘으로 회수된 후 다시 배치되었거나, 데브리나 코르그 등의 효과로 생성되어 배치된 바위도 턴을 넘긴다면 전부 파괴된다.[* 즉 붕괴된 광산 구역이 공개된 상태에서 턴을 건너뛰면 출처에 상관없이 내 필드에 있는 바위들은 모두 파괴된다는 뜻.] 바위에는 패트리어트, 카자르, 킬몽거 등의 효과가 적용된다. ==== [[행크 핌|빅 하우스]] ==== ||<-3>
<#E0A830>|| ||<:> '''한글명''' ||<:> 빅 하우스 ||<|2><:>[[파일:the_big_house.webp|width=150]]|| ||<:> '''영문명''' ||<:> The Big House || ||<:> '''효과''' ||<-3>비용이 4, 5, 6인 카드는 이 구역에 낼 수 없습니다. || 이름은 빅인 주제에 저 코스트만 소환이 가능한 모순적인 구역. 마지막 3턴째에 등장하게 되면 빅덱에게 골머리를 앓게 만드는 구역이기도 하다. 위니덱에겐 카자르를 낼 수 없다는 것 정도만 빼면 큰 의미가 없는 구역. === ㅅ~ㅈ === ==== [[사카아르]] ==== ||<-3>
<#E0A830>|| ||<:> '''한글명''' ||<:> 사카아르 ||<|2><:>[[파일:sakaar.webp|width=150]]|| ||<:> '''영문명''' ||<:> Sakaar || ||<:> '''효과''' ||<-3>이 턴 이후에, 각 플레이어의 손에서 카드를 하나 이 구역에 놓습니다. || 엑스 맨션만큼이나 큰 변수로 다가오는 구역. 손에서 무작위로 한장을 뽑아 놓는지라 연계 카드가 빠질 위험이 있지만 무거운 카드를 대신 내줄 수도 있으니 빅덱 쪽이 유리한 편. 초기에는 구역이 공개되자마자 카드를 뽑아와서 구역 효과에 전혀 대응할 방법이 없었고 스톰, 웨이브등의 '다음 턴'에 영향을 끼치는 카드와의 상호작용에 오류가 있었지만, 2월 21일자 패치로 사카아르가 공개된 턴이 끝날 때 발동하는 것으로 수정되어 편해졌다. 여담으로 헐크가 구역효과로 소환될시 특수대사가 있다. ==== 새비지 랜드 ==== ||<-3>
<#E0A830>|| ||<:> '''한글명''' ||<:> 새비지 랜드 ||<|2><:>[[파일:savage_land.webp|width=150]]|| ||<:> '''영문명''' ||<:> Savage Land || ||<:> '''효과''' ||<-3>이 구역 양쪽에 랩터 둘을 추가합니다. || 해당 구역의 카드 전개가 두 장으로 제약되나, 토큰에 버프를 가할 수도 있다. 랩터는 1코스트/토큰이므로, 카자르나 패트리어트 등의 버프를 받을 수 있고 킬몽거의 파괴 대상에 포함된다. 궁합이 좋은 카드는 카니지. ==== 샌드바 ==== ||<-3>
<#E0A830>|| ||<:> '''한글명''' ||<:> 샌드바 ||<|2><:>[[파일: |width=150]]|| ||<:> '''영문명''' ||<:> The Sandbar || ||<:> '''효과''' ||<-3>~~능력이 있는 카드는 이 구역에 낼 수 없습니다.~~ [*조정중] || 5.25 패치로 일시적으로 게임에서 제외되었다. ==== [[생텀(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생텀 생토럼]] ==== ||<-3>
<#E0A830>|| ||<:> '''한글명''' ||<:> 생텀 생토럼 ||<|2><:>[[파일:sanctum_sanctorum.webp|width=150]]|| ||<:> '''영문명''' ||<:> Sanctum Sanctorum || ||<:> '''효과''' ||<-3>이 구역에는 카드를 낼 수 없습니다. || 데스의 영역, 루크의 술집과 비슷한 컨셉의 구역. 이 쪽은 카드를 내는 것조차 불가능하기에 출현 능력을 이용할 수도 없다. 이동 능력으로 이동시키는건 가능하다. 캡틴 마블을 6턴에 낸다면 방심한 상대를 당황시킬 수 있다. ==== [[데어데블|섀도우랜드]] ==== ||<-3>
<#E0A830>|| ||<:> '''한글명''' ||<:> 섀도우랜드 ||<|2><:>[[파일:shadowland.webp|width=150]]|| ||<:> '''영문명''' ||<:> Shadowland || ||<:> '''효과''' ||<-3>이 구역 양쪽에 -2 파워의 닌자 하나를 추가합니다. || 토큰형 구역으로, 다른 토큰형 구역과 특징을 공유한다. 특기할 점으로는 닌자를 파괴한 쪽이 이득을 본다는 점, 바이퍼로 넘겨줄 수 있다는 점 등이 있다. ==== 서브테라니아 ==== ||<-3>
<#E0A830>|| ||<:> '''한글명''' ||<:> 서브테라니아 ||<|2><:>[[파일:subterranea.webp|width=150]]|| ||<:> '''영문명''' ||<:> Subterranea || ||<:> '''효과''' ||<-3>각 플레이어의 덱에 바위 다섯 장을 섞어 넣습니다. || 어느 턴에 나오든 어떤 덱이든 간에 무진장 방해가 되는 구역. 안 그래도 턴 수도 짧고 덱도 얇기에 드로우 한장 한장의 영향이 큰 게임인데 5장이나 방해를 해버린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arvelsnap&no=22964|운이 나쁘면 5턴까지 전부 돌만 씹다 끝나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도 있다.]] 실질적으로 이번 매치에서 누가 누가 덜 돌 뽑냐가 관건. 그나마 카자르나 아이언하트, 블루 마블처럼 주변 버프형을 이용해 돌을 이용한 변수를 일으킬 수 있으나, 바위가 전부 파워 0이라서 상대가 빅 카드만 한번 꽂아도 역전될 수 있다. 다크호크는 상대 덱이 갑자기 5장 늘어난 만큼 효과로 파워가 10 증가하는 만큼 횡재긴 하지만 다크호크를 미리 뽑지 않았다면 내 덱에 섞인 바위가 다크호크를 뽑는 걸 방해해서 질 수 있다. 아마도 마블스냅에서 제일 보기 싫은 구역. ==== [[센트럴 파크]] ==== ||<-3>
<#E0A830>|| ||<:> '''한글명''' ||<:> 센트럴 파크 ||<|2><:>[[파일:central_park.webp|width=150]]|| ||<:> '''영문명''' ||<:> Central Park || ||<:> '''효과''' ||<-3>모든 구역에 다람쥐를 하나 추가합니다. || 이동, 지속, 콤보 조합 덱에게 상당히 방해가 되는 지역. 특히 이 지역이 생기면 어느 지역이든 불문하고 무조건 카드 3장 수로 제한되는지라 1 코스트에 시너지 조합이 아닌 이상 4콤보 조합을 준비한 상대는 사실상 게임을 망치는 주범. 특히 엘렉트라를 사용할 때 확률에 방해되기도 하는 등 여러모로 도움 안 되는 지역. 반면 위니 위주로 채우는 덱에겐 도움이 되는 지역으로, 카자르 위주로 짜는 위니와 패트리어트 덱에게는 깨알같은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기가 충분하다. 다만 1지역 시작으로 등장하지 않고 스쿼럴 걸을 사용한 뒤에 이 지역이 뜬 후 4턴에 미러 디멘션으로 또 센트럴 파크가 뜨면 전 구역이 1칸으로 제한되는 대참사가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 또는 자신에게 킬몽거가 있다면 턴을 최대한 끌어서 상대의 플레이를 제한한 다음 5턴쯤에 다람쥐를 쓸어버리는 소소한 전략적 이점도 있긴 하다. ==== [[소코비아]] ==== ||<-3>
<#E0A830>|| ||<:> '''한글명''' ||<:> 소코비아 ||<|2><:>[[파일:sokovia.webp|width=150]]|| ||<:> '''영문명''' ||<:> Sokovia || ||<:> '''효과''' ||<-3>각 플레이어의 손에서 카드를 하나 버립니다. || 양 측이 강제적으로 무작위 패 한장을 버리기에 보통은 플랜을 꼬이게 하는 짜증나는 구역. 버리기 덱에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무작위 효과인 만큼 플랜이 꼬일 가능성이 있어 방심할 수 없다. ==== [[슈리(마블 코믹스)|슈리]]의 연구소 ==== ||<-3>
<#E0A830>|| ||<:> '''한글명''' ||<:> 슈리의 연구소 ||<|2><:>[[파일:shuris-lab.webp|width=150]]|| ||<:> '''영문명''' ||<:> Shuri's Lab || ||<:> '''효과''' ||<-3>이 구역에 카드를 내면 파워가 두 배로 증가합니다. || [[마블 스냅/카드일람/4에너지#슈리|원본 카드]]처럼 카드를 내면 파워를 두 배로 뻥튀기해주는 구역[* 슈리의 연구소가 출시될 당시에는 아직 슈리가 출시되지 않았으나 데이터상으로 카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기본 파워가 높은 카드일 수록 효과를 더 잘 볼 수 있지만, 그만큼 샹치에게 저격당하기도 쉽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구역 효과를 받은 뒤 이리저리 옮기면서 자리를 비울 수 있는 이동 덱이나, 기본 파워가 높은 파괴/버리기 덱[* 특히 베놈의 경우, 출현 효과가 구역 효과보다 먼저 발동하기 때문에 이미 2배 효과를 본 카드들의 파워를 전부 흡수한 후, 2배를 또 적용받아 어마어마한 뻥튀기 효과를 볼 수 있다.]이 이득을 많이 볼 수 있다. [[헐크버스터]]와도 엄청난 궁합을 자랑하는데, 헐크버스터가 기존의 카드와 합체하면서 기존의 카드의 파워를 +5 한 후에 그 기존의 카드를 한번 더 내는 취급을 하므로, 파워가 X인 카드의 파워가 2(2X+5)의 수치가 되어 두 배 이상 뻥튀기를 해준다. 반대로 워패스나 데빌 다이노소어, 혹은 선스팟 등의 출현 능력이 아닌 효과로 추가 파워를 얻는 카드의 경우 기본 파워만 두 배로 는다. 특히 데빌 다이노소어는 지속 효과 없이는 기본 파워가 3뿐이라 구역 효과를 받더라도 고작 3 더 얻는 수준이라 궁합이 최악. ==== 슈퍼플로우 ==== ||<-3>
<#E0A830>|| ||<:> '''한글명''' ||<:> 슈퍼플로우 ||<|2><:>[[파일:the_superflow.webp|width=150]]|| ||<:> '''영문명''' ||<:> The Superflow || ||<:> '''효과''' ||<-3>이 구역에 내 카드가 없다면, 매 턴마다 +1 에너지를 얻습니다. || 카드를 미리 두지 않았으면 계속해서 추가 에너지로 템포를 빠르게 당길 수 있는 버프형 구역. 가장 좋은 상황이라면 고블린들을 내서 상대에게 넘기고 나는 추가 에너지를 받고 상대는 못 받게 되는 상황을 만들거나 상대가 미공개된 구역에 미리 잡다가 공개 턴에 이 구역이 나오게 된다거나, 상대가 스칼렛 위치로 뽑아다 줘서 한쪽만 이득을 보게 되는 경우다. ==== 스타라이트 시타델 ==== ||<-3>
<#E0A830>|| ||<:> '''한글명''' ||<:> 스타라이트 시타델 ||<|2><:>[[파일:starlight_citadel.webp|width=150]]|| ||<:> '''영문명''' ||<:> Starlight Citadel || ||<:> '''효과''' ||<-3>4번째 턴 후에, 모든 구역의 위치를 뒤바꿉니다. || 기존 필드들의 위치를 무작위로 재배치한다. 모조월드나 백스터 빌딩같은 필드와 같이 등장하면 골치아파지는 구역. 잘못 투자했다간 필드 효과는 효과대로 날려먹고 카드 배분도 실패할 위험이 있다. ==== 스타크 타워 ==== ||<-3>
<#E0A830>|| ||<:> '''한글명''' ||<:> 스타크 타워 ||<|2><:>[[파일:stark_tower.webp|width=150]]|| ||<:> '''영문명''' ||<:> Stark Tower || ||<:> '''효과''' ||<-3>5번째 턴이 끝날 때, 이 구역의 모든 카드에게 +2 파워를 부여합니다. || >효과 발동시: 모든 시스템 가동 중. 광역 파워 버프 구역. 발동 타이밍이 꽤나 뒤라서 적어도 3턴은 전략을 짤 시간이 주어진다. 구역 효과 발동 시 모든 카드들의 파워에 아크 원자로가 감싸진다. ==== [[스트레인지 아카데미]] ==== ||<-3>
<#E0A830>|| ||<:> '''한글명''' ||<:> 스트레인지 아카데미 ||<|2><:>[[파일:strange_academy.webp|width=150]]|| ||<:> '''영문명''' ||<:> Strange Academy || ||<:> '''효과''' ||<-3>5번째 턴이 끝날 때, 이 구역의 모든 카드를 다른 무작위 구역으로 이동시킵니다. || 쌓여있는 카드를 다른 구역에 무작위로 흩뿌려버리는지라 6턴째의 파워 판도가 어떻게 될 지 예측하기 힘들어지는 구역. 이동 덱이라면 이득을 볼 수도 있지만 원하는 구역으로 간다는 보장이 없기에 불안정하긴 마찬가지다. 다른 구역을 가득 채우거나 봉쇄해서 갈 곳이 없으면 이동하지 않는다. ==== 시니스터 런던 ==== ||<-3>
<#E0A830>|| ||<:> '''한글명''' ||<:> 시니스터 런던 ||<|2><:>[[파일:sinister_london.webp|width=150]]|| ||<:> '''영문명''' ||<:> Sinister London || ||<:> '''효과''' ||<-3>이 구역에 카드를 냈을 때, 다른 구역에 복사본을 추가합니다. || 거의 모든 덱에게 어마어마한 포텐셜을 가져오는 구역. 상대적으로 불리한 덱을 꼽자면 록죠나 비숍 등을 기용하는, 내는 것이 핵심 기제가 되는 덱, 그리고 구역 컨트롤 덱 정도가 있겠다. 이런 덱은 구역 변경 카드를 기용하는 경우가 많으니 필요한 카드만 복사한 후 구역을 바꿔버리는 식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헐크버스터를 이 구역에 내서 다른 카드와 합체시킨다면 헐크버스터와 합체한 카드를 복사하여 추가한다. ==== 신 로마 ==== ||<-3>
<#E0A830>|| ||<:> '''한글명''' ||<:> 신 로마 ||<|2><:>[[파일:nova_roma.webp|width=150]]|| ||<:> '''영문명''' ||<:> Nova Roma || ||<:> '''효과''' ||<-3>카드를 1장 뽑습니다. || 평범하게 양측 모두 카드를 뽑는다. 하지만 이 게임 특성 상 카드 뽑기의 밸류가 어마어마하며, 이 효과로 뽑은 카드로 역전각이 나올 수 있으니 그 결과는 전혀 평범하지 않은 구역. ==== 신성한 타임라인 ==== ||<-3>
<#E0A830>|| ||<:> '''한글명''' ||<:> 신성한 타임라인 ||<|2><:>[[파일:the-sacred-timeline.webp|width=150]]|| ||<:> '''영문명''' ||<:> The Sacred Timeline || ||<:> '''효과''' ||<-3> 이 구역을 먼저 채우면 맨 처음 자신의 손에 들어왔던 모든 카드의 복사본을 획득합니다. || 23년 2월 1주차에 새로 추가된 구역. 구역을 채우는 순간 게임이 시작할 때 뽑게되는 처음 3장의 카드의 복사본을 손패로 가져온다. '복사본'을 가져오는 것이기에 해당 카드의 비용이나 파워가 변경되었다면 변경된 그대로 가져온다. ==== [[아스가르드(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아스가르드]] ==== ||<-3>
<#E0A830>|| ||<:> '''한글명''' ||<:> 아스가르드 ||<|2><:>[[파일:asgard.webp|width=150]]|| ||<:> '''영문명''' ||<:> Asgard || ||<:> '''효과''' ||<-3>4번째 턴이 끝날 때, 이 구역에서 이긴 플레이어가 카드를 2장 뽑습니다. || 초반 투자가 권장되는 구역. 이긴 쪽은 카드를 더 많이 볼 수 있기에 5~6턴 플레이의 안정성이 크게 높아진다. 하지만 드로우 타이밍이 늦기 때문에 엄청나게 유리해지는 것은 아니며, 도리어 과투자가 발목을 잡는 경우도 있다. ==== 아이스 박스 ==== ||<-3>
<#E0A830>|| ||<:> '''한글명''' ||<:> 아이스 박스 ||<|2><:>[[파일:the_ice_box.webp|width=150]]|| ||<:> '''영문명''' ||<:> The Ice Box || ||<:> '''효과''' ||<-3>각 플레이어의 손에 있는 카드의 비용을 1 증가시킵니다. || 아이스맨의 효과와 동일하게 손에 있는 카드 '''1장'''의 비용을 증가시킨다. 원본 카드가 그랬듯 덱의 핵심 카드에 들어가면 굉장히 난감해지므로, 카드 한장 한장이 중요한 콤보덱이 특히 취약한 구역. 대충 코스트 맞춰서 던지는 템포 덱이나 가벼운 카드가 많은 위니덱은 상대적으로 타격이 덜하다. ==== 아틀란티스 ==== ||<-3>
<#E0A830>|| ||<:> '''한글명''' ||<:> 아틀란티스 ||<|2><:>[[파일:atlantis.webp|width=150]]|| ||<:> '''영문명''' ||<:> Atlantis || ||<:> '''효과''' ||<-3>이 구역에 카드가 1장만 있다면, 그 카드에 +5 파워를 부여합니다. || 빅덱이 선호할 만한 구역. 카드 단일의 파워가 높을수록 그 지역을 점령하기 매우 좋다. 특히 아틀란티스라는 이름답게 이 구역의 주인인 네이머와 완벽한 궁합(6+5+5)을 이룬다. 센트럴 파크같은 구역이 뜨면 파괴덱을 제외한 덱들은 의미를 상실하게 된다. ==== [[아틸란|아틸리안]] ==== ||<-3>
<#E0A830>|| ||<:> '''한글명''' ||<:> 아틸리안 ||<|2><:>[[파일:attilan.webp|width=150]]|| ||<:> '''영문명''' ||<:> Attilan || ||<:> '''효과''' ||<-3>3번째 턴 후에, 내 손의 모든 카드를 덱에 섞어 넣습니다. 그 후, 카드를 3장 뽑습니다. || 손패에 잡힌카드를 모두 덱으로 돌려보내고 3장을 뽑는다. 데빌 다이노소어같은 경우엔 낭패인데 손패가 1장이었든 5장이었든 무조건 3장만 돌려주기 때문. 손패를 털기 좋은 위니덱이 그나마 이득을 볼 수 있다. 원래 이름은 아틸란인데 아틸리안으로 오역을 해버려놨다. ==== [[양자 영역]] ==== ||<-3>
<#E0A830>|| ||<:> '''한글명''' ||<:> 양자 영역 ||<|2><:>|| ||<:> '''영문명''' ||<:> Quantum realm || ||<:> '''효과''' ||<-3>이 구역에 카드를 내면 해당 카드의 기본 파워가 2가 됩니다. || 강제로 기본 파워를 2로 조정하는 구역. 기본 파워만 조정하는 것이기에 스콜피온이나 포지, 오코예 등의 효과나 자체의 지속/출현 효과 등으로 얻은 파워 증감은 그대로 적용된다. 직접 내는 경우에만 효과가 적용되므로 록조/주빌리의 효과로 소환되거나 토큰 카드 소환의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 양자 터널 ==== ||<-3>
<#E0A830>|| ||<:> '''한글명''' ||<:> 양자 터널 ||<|2><:>[[파일:quantum-tunnel.webp|width=150]]|| ||<:> '''영문명''' ||<:> Quantum Tunnel || ||<:> '''효과''' ||<-3> 이 구역에 카드 한 장을 내면, 해당 카드를 내 덱에 있는 카드 한 장과 교체합니다. || 록조의 효과를 가지고 있는 구역. 기존에도 록조를 채용하던 록조 빅덱이나 버리기 덱이 유리하다. ==== 어벤져스 본부 ==== ||<-3>
<#E0A830>|| ||<:> '''한글명''' ||<:> 어벤져스 본부 ||<|2><:>[[파일:avengers_compound.webp|width=150]]|| ||<:> '''영문명''' ||<:> Avengers Compound || ||<:> '''효과''' ||<-3>5번째 턴에, 모든 카드를 반드시 이 구역에 내야 합니다. || >효과 발동: 이륙 준비 완료. 5턴이 되면 이펙트와 함께 이 구역에만 카드를 낼 수 있게 제약이 걸린다. 직접 내는 것만 강요하고 카드의 이동과 토큰 생성은 가능하다. 만약 이 구역이 5턴 전에 가득 차 있다면 5턴을 스킵해야 한다. 상대가 같은 구역에 카드를 내야 효율을 내는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카드와의 궁합이 매우 좋고, 특히 코스트가 같은 가모라는 어지간하면 12 공격력을 확보할 수 있다. 반대로 프로페서 X는 이 구역이 뜨는 순간 활용도가 크게 떨어진다. ==== [[에고 더 리빙 플래닛|에고]] ==== ||<-3>
<#E0A830>|| ||<:> '''한글명''' ||<:> 에고 ||<|2><:>[[파일:ego.webp|width=150]]|| ||<:> '''영문명''' ||<:> Ego || ||<:> '''효과''' ||<-3>에고가 나를 대신해서 카드를 냅니다. || 등장 시 전용 BGM과 에고의 대사가 존재한다. 이 구역의 정확한 효과는 '''남은 게임을 AI가 진행합니다'''로, 에고가 공개된 순간부터 양쪽 플레이어는 컨트롤할 수 없고 AI가 알아서 게임을 진행한다. 그나마 다행인 건 상대에게도 똑같은 효과가 적용되어 나만 AI가 진행하는 불합리한 상황은 발생하지 않는다. 에고는 낼 수 있는 무작위 카드를 무작위 구역에 내는데, 데스의 영역에 패를 털어버리거나 낼 수 있는 고비용 카드가 뻔히 있는데 다른 저비용카드 하나만 툭 내는 등 답답한 플레이를 굉장히 많이 구사하기 때문에 게임이 막장이 된다. 만약 게임 도중 다른 효과로 에고 구역이 사라지면 게임이 다시 정상적으로 돌아온다. ==== 아스테로이드 M ==== ||<-3>
<#E0A830>|| ||<:> '''한글명''' ||<:> 아스테로이드 M ||<|2><:>[[파일:asteroid-m.webp|width=150]]|| ||<:> '''영문명''' ||<:> Asteroid M || ||<:> '''효과''' ||<-3> 기본 비용이 3 또는 4인 카드를 내면 이 구역으로 이동합니다. || 매그니토의 효과가 상시 발현되는 구역. 덱의 허리를 담당하는 각종 3-4비용 카드들의 위치를 강제하므로 파워싸움에 지장이 생길 수 있다. 특히 핵심 테크 카드인 '''코스모'''가 해당되기 때문에 주의할 것. 반대로 이동덱은 손쉬운 이동 트리거가 주어지므로 여러모로 유리한 구역이다. ==== [[자비에 영재학교|엑스 맨션]] ==== ||<-3>
<#E0A830>|| ||<:> '''한글명''' ||<:> 엑스 맨션 ||<|2><:>[[파일:x_mansion.webp|width=150]]|| ||<:> '''영문명''' ||<:> X-Mansion || ||<:> '''효과''' ||<-3>3번째 턴이 끝날 때, 이 구역에 무작위 카드를 각 플레이어에게 추가합니다. || 운에 상당히 많이 의존하는 구역으로, 한 쪽은 플랜을 꼬아버리는 카드가 나올 때 다른 쪽은 인피너트, 심하면 갤럭투스가 튀어나와 게임에 쐐기를 박아버리는 경우가 생긴다. 만약 변수를 차단하고 싶다면 스칼렛 위치 등으로 미리 구역을 바꿔버리는 방법도 나쁘지 않다. 유일하게 나오지 않는 카드가 딱 하나 있는데 바로 정복자 캉. 캉의 효과로 턴을 재시작해도 무작위로 발동하는 효과의 결과는 고정되기 때문에 엑스 맨션에서 캉이 나오는 결과가 고정되어 무한 루프에 빠지기 때문. 다만 엑스 맨션에서 모프가 나왔는데 상대편 손 패에 캉이 있는데다 그 캉을 복사하게 되면 무한 루프에 빠진다. 개발진도 인지하고 있는 이슈. ==== 엘리시움 ==== ||<-3>
<#E0A830>|| ||<:> '''한글명''' ||<:> 엘리시움 ||<|2><:>[[파일:elysium.webp|width=150]]|| ||<:> '''영문명''' ||<:> Elysium || ||<:> '''효과''' ||<-3>카드의 비용이 1 감소합니다. || 서로의 패말림이 최소화되는 구역. 어느 덱에도 나쁘지 않은 효과이나, 가벼운 덱의 경우 손이 고갈되므로, 한장한장 파워가 강한 덱쪽이 조금 더 유리하다. 모비우스M모비우스로 상대방의 비용감소를 막을 수는 있다. ==== [[요툰헤임(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요툰헤임]] ==== ||<-3>
<#E0A830>|| ||<:> '''한글명''' ||<:> 요툰헤임 ||<|2><:>[[파일:jotunheim.webp|width=150]]|| ||<:> '''영문명''' ||<:> Jotunheim || ||<:> '''효과''' ||<-3>매 턴이 끝날 때, 이 구역에 있는 모든 카드가 1 파워를 잃습니다. || 콜로서스, 루크케이지 처럼 감소를 무시하거나 네이머 등의 고파워 카드로 상대를 압박할 수 있다. 대개 파워 감소를 감수하지 않기 위해서 다른 두 구역에서 플레이하다, 후반에 고밸류 카드로 승부를 보는 양상이 나타난다. 미공개 구역에 저코스트 카드를 전개했는데 이 구역이었다면 큰 낭패를 보게 된다. 또, 스쿼럴 걸이나 울트론 등의 토큰 카드가 상당히 무력화된다. 고블린류 카드는 반대로 사실상 매턴 파워가 1이 늘어나는 뮤어 아일랜드가 된다. 인비저블 우먼을 쓴다면 카드가 공개되지 않아서 파워가 낮아지지 않으므로 효과를 우회할 수 있다. 대신 인비저블 우먼의 파워가 계속 낮아지니 조심할 것. ==== 오르키스 포지 ==== ||<-3>
<#E0A830>|| ||<:> '''한글명''' ||<:> 오르키스 포지||<|2><:>[[파일: ]]|| ||<:> '''영문명''' ||<:> Orchis Forge|| ||<:> '''효과''' ||<-3>이 구역에 카드를 내면, 센티널을 내 손에 추가합니다. || ==== 오스코프 타워 ==== ||<-3>
<#E0A830>|| ||<:> '''한글명''' ||<:> 오스코프 타워 ||<|2><:>[[파일:oscorp_tower.webp|width=150]]|| ||<:> '''영문명''' ||<:> Oscorp Tower || ||<:> '''효과''' ||<-3> 3턴이 끝난 후, 이곳의 모든 카드가 편을 바꿉니다. || [[노먼 오스본]](그린 고블린)의 회사인 것을 구현해서 고블린 계열카드들과 똑같은 효과를 가진 구역이다. 카드를 내면 손해인 대표적인 함정 구역. 늦게 공개되었을 때 머더월드보다도 악질인 구역으로, 투자한 카드를 날리는 것 뿐만 아니라 그대로 상대에게 헌납하게 된다. 그래도 효과가 발동한 후에는 폐허나 다름없어지므로 그 이후에 점령하거나, 미리 선점한 후 스칼렛 위치 등으로 구역을 바꿔버리는 방법이 있다. 후드나 일렉트로 처럼 본인에게 불리한 카드를 넘겨주는 방식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일렉트로는 상대에게 넘겨주는 순간 상대에게만 적용되는 샌드맨 패널티가 되는 셈이기에 이 구역과 굉장한 시너지 효과를 낸다. 에보니 모를 던져 주는 플레이도 괜찮다. ==== 온슬로트의 요새 ==== ||<-3>
<#E0A830>|| ||<:> '''한글명''' ||<:> 온슬로트의 요새 ||<|2><:>[[파일:onslaughts_citadel.webp|width=150]]|| ||<:> '''영문명''' ||<:> Onslaught's Citadel || ||<:> '''효과''' ||<-3>이 구역에서는 '''[[마블 스냅/특수 능력#s-1.4|지속]]''' 능력이 2배가 됩니다. || 지속 덱에게 특효인 구역으로, 이름 답게 6 코스트 카드인 온슬로트의 요지의 구역. 온슬로트 요새에 온슬로트가 끼면 6배의 효율을 만들 수가 있다. 다만 그만큼 상대의 인챈트리스도 값어치가 폭등하니 과투자는 금물. 출현덱도 나쁘지 않은데, 출현덱의 핵심 지속 카드인 웡이 온슬로트의 요새 효과를 받기 때문이다. ==== 올림피아 ==== ||<-3>
<#E0A830>|| ||<:> '''한글명''' ||<:> 올림피아 ||<|2><:>[[파일:olympia.webp|width=150]]|| ||<:> '''영문명''' ||<:> Olympia || ||<:> '''효과''' ||<-3>카드를 2장 뽑습니다. || 신 로마의 2배의 효과를 가진 구역. 올림피아의 효과가 터지면 다른 드로우가 없어도 6턴에 총 11장의 카드를 보기 때문에 사실상 덱을 전부 보는 셈이 된다. 때문에 각자의 덱의 포텐셜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고점이 높은 덱이 유리한 구역. ==== [[와칸다]] ==== ||<-3>
<#E0A830>|| ||<:> '''한글명''' ||<:> 와칸다 ||<|2><:>[[파일:wakanda.webp|width=150]]|| ||<:> '''영문명''' ||<:> Wakanda || ||<:> '''효과''' ||<-3>이 구역의 카드는 파괴할 수 없습니다. || 심플하게 모든 카드에 파괴면역 효과를 주는 필드. 카니지를 위시한 파괴덱에 걸리면 골치아픈데 만약 상대가 아머라도 들고있으면 강제로 남은 한 구역에서 플레이를 하던지, 아니면 스칼렛 위치로 구역을 바꾸던지 해야한다. 물론 파괴덱에 스칼렛 위치를 넣을리는 만무하므로 현실성은 낮다. 의외로 갤럭투스와 궁합이 좋다. 고블린들을 파괴 효과로 치울 수 없어서 오딘 이외엔 방법이 없고, 6턴에 샹치 걱정 없이 데스, 널, 디스트로이어 같은 카드가 나갈 수 있다. 와칸다에 갤럭투스를 내지 않고 닥터 옥토퍼스를 샹치 걱정 없이 내거나, 웨이브로 4턴 디스트로이어를 낼 때 와칸다에 내 두면 갤럭투스 없이 파워만으로 승리할 수도 있다. ==== 와칸다 대사관 ==== ||<-3>
<#E0A830>|| ||<:> '''한글명''' ||<:> 와칸다 대사관 ||<|2><:>[[파일:wakandan_embassy.webp|width=150]]|| ||<:> '''영문명''' ||<:> Wakandan Embassy || ||<:> '''효과''' ||<-3>각 플레이어의 손에 있는 모든 카드에 +2 파워를 부여합니다. || 이번 턴이라는 단어가 안 붙어 있는데, 턴이 시작할 때 손패에 있던 카드에만 적용되고 그 다음부터 드로우된 카드에는 파워 상승이 적용되지 않으니 유의할 것. 조합이 좋은 카드로는 복제가 가능한 멀티플맨, 미스터 시니스터, 브루드와 나이트크롤러 등 저코스트 카드들. 문 걸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고증답게 블랙 팬서와도 궁합이 좋다. ==== 왕좌의 방 ==== ||<-3>
<#E0A830>|| ||<:> '''한글명''' ||<:> 왕좌의 방 ||<|2><:>[[파일:throne-room.webp|width=150]]|| ||<:> '''영문명''' ||<:> Throne Room || ||<:> '''효과''' ||<-3> 이 구역에서 가장 높은 파워를 가진 카드는 원래 파워의 두 배가 됩니다. || 22년 11월 5주차에 새롭게 추가된 신규 구역. 몬스터 메트로폴리스의 강화 버전으로, 단독으로 파워가 강한 깡스탯 카드들을 더더욱 강력하게 해준다. 공룡이나 디스트로이어, 슈리 같이 고파워 카드 한 장으로 승부를 보는 덱들이 유리하며, 특히 베놈과 태스크마스터는 증폭된 파워를 그대로 복사할 수 있어서 상성이 좋다. 물론 그만큼 샹치가 활약할 수 있는 구역이기도 하니 방심은 금물. 자주 보기는 힘들지만 웡 해즈맷 콤보같은 경우로 구역에 있는 카드의 파워가 전부 음수가 되었을 때에는 가장 높은 파워를 가진 카드를 가진 쪽이 그 카드의 절대값만큼 파워를 추가로 잃는 대참사가 일어날 수 있다. ==== 우주 왕좌 ==== ||<-3>
<#E0A830>|| ||<:> '''한글명''' ||<:> 우주 왕좌 ||<|2><:>[[파일:the_space_throne.webp|width=150]]|| ||<:> '''영문명''' ||<:> The Space Throne || ||<:> '''효과''' ||<-3>이 구역에는 각 플레이어의 카드가 한 장만 있을 수 있습니다. || 1:1 구역. 네이머 같이 혼자 있을 때 강한 카드를 내거나 이 구역을 포기하고 미스터 판타스틱처럼 다른 구역에 힘을 실어주는 카드를 내는게 좋다. 문제는 공개 이전에 이 구역에 카드가 놓이거나 예상치 못한 경우로 이 구역에 카드가 놓이는 것. 특히 후자는 1턴에 우주 왕좌가 떠서 나중에 카드를 내야지 생각했는데 2턴에 공개된 구역이 센트럴 파크라서 다람쥐가 자리를 차지하는 양측 모두 어이가 털리는 상황도 생길 수 있다. 각종 페널티 카드를 써먹기도 굉장히 좋은 구역으로, 상대 편에 카드가 많을 수록 손해을 보는 레드 스컬, 아예 상대 측으로 넘어가는 그린 고블린, 홉고블린 등의 카드의 활용도가 무지막지하게 오른다. 나이트크롤러로 고블린을 방지해놓는 것도 방법. 시니스터나 브루드처럼 토큰을 만드는 카드로도 카드가 추가되지는 않지만, 이미 카드가 2장 이상 있는 상태에서도 우주 왕좌가 공개/변환한다고 해서 놓은 카드가 제거되거나 파괴되진 않는다. ==== 워리어 폴스 ==== ||<-3>
<#E0A830>|| ||<:> '''한글명''' ||<:> 워리어 폴스 ||<|2><:>[[파일:warrior-falls.webp|width=150]]|| ||<:> '''영문명''' ||<:> Warrior Falls || ||<:> '''효과''' ||<-3>턴이 종료될 때마다 이곳의 카드가 전투를 벌입니다! 가장 약한 카드를 파괴합니다. || 카드가 1장밖에 없거나 전부 동일한 파워가 아닌 이상 매 턴마다 가장 약한 카드들[* 효과에 사소한 오역이 있다. 가장 약한 모든 카드를 파괴하므로 가장 약한 카드의 파워가 동일하다면 무작위가 아닌 그 카드들 전부가 파괴된다.]이 잘려나가는 구역. 아군 카드만 여러 장 있어도 효과가 발동해 최약체가 파괴되므로 가능하면 카드를 한 장만 놓아두어야 한다. 고블린류 카드는 아무런 쓸모가 없고, 위니 덱에게 상당히 힘든 장소. 네이머, 공룡, 인피너트등 한 장만으로 높은 파워를 낼 수 있는 카드가 없다면 포기하는 편이 좋다. 평가는 제 2의 머신월드. 카드를 내면 낸 쪽의 파워보다 더 높은 파워로 카운터 치기때문에 카드를 먼저 낸 쪽이 불리하다. 따라서 카드 한 장의 파워가 상대보다 약하면 이 구역을 포기하거나, 상대방이 소극적으로 나오면 오히려 예상을 깨고 막턴에 위니를 여러개 깔아서 가장 약한 하나를 희생시키더라도 수로 압살하는 전략이 있다. 변칙적인 방법으로, '파괴 불가'가 효과인 콜로서스가 가장 약한 카드가 된다면 효과의 타겟이 되지만 계속 파괴되지 않고 남아있기에 조건부로나마 워리어 폴스를 무력화할 수 있다. ==== [[워싱턴 D.C.]] ==== ||<-3>
<#E0A830>|| ||<:> '''한글명''' ||<:> 워싱턴 D.C. ||<|2><:>[[파일:washington_d.c..webp|width=150]]|| ||<:> '''영문명''' ||<:> Washington D.C. || ||<:> '''효과''' ||<-3>이 구역의 능력이 없는 모든 카드에 +3 파워를 부여합니다. || 백악관을 이미지로 둔것을 보아 '평범한 인간에게 정치는 초능력을 안겨주는 것과 같다' 라는 말을 구현한 것으로 추측된다. 소위 바닐라 카드라고 불리는 무효과 카드들을 위한 필드. 다람쥐나 호랑이 등의 토큰에도 적용된다. 다만 대부분은 무효과 카드들을 잘 기용하진 않으므로 카자르 위니덱이나 패트리어트덱이 아니라면 활용하기 힘들다. 여담으로 인챈트리스의 효과로 지속 효과가 무효화된 카드들은 바닐라 취급이 되기 때문에 이 구역의 효과를 받는다. ==== 월드쉽 ==== ||<-3>
<#E0A830>|| ||<:> '''한글명''' ||<:> 월드쉽 ||<|2><:>[[파일:worldship.webp|width=150]]|| ||<:> '''영문명''' ||<:> Worldship || ||<:> '''효과''' ||<-3>다른 모든 구역을 파괴합니다. || 이 구역이 공개되는 순간 갤럭투스의 출현 효과처럼 다른 구역이 파괴되는데, 구역을 '폐허'로 바꾸는 게 아니라 아예 없애버린다. 즉 실질적인 효과는 '''이번 게임은 구역 1개로 진행합니다'''가 된다. 파괴된 구역에 먼저 놓여있던 카드는 모두 사라지고, 파워를 계산하지도 않는다. 카드 4장을 이용해 게임을 풀어나가야 하는 상당히 파격적인 구역이다. ==== [[웨스트뷰]] ==== ||<-3>
<#E0A830>|| ||<:> '''한글명''' ||<:> 웨스트뷰 ||<|2><:>[[파일:westview.webp|width=150]]|| ||<:> '''영문명''' ||<:> Westview || ||<:> '''효과''' ||<-3>4턴에 다른 구역으로 바뀝니다. || 4턴째에 랜덤한 구역으로 바뀐다. 3턴에 효과를 보는 필드로 바뀌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위니덱인데 요툰헤임이나 네크로샤로 바뀐다던지 출현덱인데 노웨어로 바뀐다던지하는 변수가 많은 구역. 아니면 TVA로 바뀌면서 그대로 후반플랜이 무용지물이 되는 경우도 있다. ==== 위어드월드 ==== ||<-3>
<#E0A830>|| ||<:> '''한글명''' ||<:> 위어드월드 ||<|2><:>[[파일:weirdworld.webp|width=150]]|| ||<:> '''영문명''' ||<:> Weirdworld || ||<:> '''효과''' ||<-3>양쪽 플레이어가 상대의 덱에서 카드를 뽑습니다. || >구역 공개: 오호호! 이 땅은 항상 움직이고, 변화하고, 성장하고 있지. 이 구역이 있으면 드로우할 때 내 덱이 아닌 상대의 덱에서 카드를 뽑는다. 내가 미리 뽑은 카드들과 상대의 덱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지는지가 관건. 맨티스나 케이블 등 상대의 덱에서 카드를 뽑아오는 카드들은 실질적으로 드로우를 당겨쓰는 카드가 되며, 마인드 스톤이나 마이티 토르 등은 내 덱에서 카드를 뽑아오는 카드는 이 구역의 효과를 무시하고 내 덱에서 카드를 뽑는다.[* 따라서 토르로 묠니르를 내 덱에 넣고 마이티 토르로 묠니르를 뽑을 수 있다. 다만, 그 사이에 상대가 묠니르를 드로우로 뽑아갔다면 뽑히지 않는다.] 오코예로 내 덱을 버프하면 상대가 버프된 카드를 뽑고, 코르그나 록슬라이드로 상대 덱에 바위를 넣으면 내가 그 바위를 뽑게 되므로 주의. 그나마 바위를 넣는 경우 다크호크의 파워는 정상적으로 올라간다. 원하는 전략을 사용할수 없게 만들기 때문에 디스트릭트, 서브테라니아, 마인드스케이프와 함께 플레이어들이 싫어하는걸 넘어 혐오하는 구역중 하나. ==== 이름 없는 술집 ==== ||<-3>
<#E0A830>|| ||<:> '''한글명''' ||<:> 이름 없는 술집 ||<|2><:>[[파일:bar_with_no_name.webp|width=150]]|| ||<:> '''영문명''' ||<:> Bar With No Name || ||<:> '''효과''' ||<-3>이 구역에서 가장 적은 파워를 가진 플레이어가 승리합니다. || >카드를 내려고 시도: 어림도 없지. / I wouldn't do it. '''승리 조건이 정 반대로 바뀐 구역'''. 카드를 구역 근처에 가져다 대면 "어림도 없지."라는 대사와 경고음은 물론, 술집 바텐더의 눈빛이 클로즈업되기까지 해 이 구역에 카드를 내지 말 것을 알려준다. 이기는 건 이 구역에서만 이기는 것으로, 이 구역에서 파워가 작다고 게임에서 이기는 건 아니다. 어지간한 경우 카드를 내면 안 되는 구역이 된다. 초반에 공개되지 않은 구역에 함부로 카드를 냈다가 이 구역이 나와서 한 구역을 지고 시작하기도 한다. 만약 스콜피온의 효과를 받아서 공격력이 음수로 떨어진 카드를 쥐고 있거나, 자체 스탯이 음수인 미스터 네거티브나 더 후드가 있는 상황이라면 이 구역에선 거의 필승 카드가 된다. 반대로 음수의 공격력을 상대에게 던져주는 홉고블린, 그린 고블린은 상대에게 구역을 바치는 트롤링 카드가 된다. 미스터 네거티브나 더 피크의 효과를 받았다면 파워 카드가 되지만. 닥터 옥토퍼스도 상대의 손패 4장을 털어 플랜을 꼬이게 만들면서, 구역승리까지 챙기는, 이 구역의 사기 카드 중 하나이다. 또 저거너트, 에어로, 매그니토 등을 시도해 볼 수도 있고, 구역 변경 카드를 기습적으로 내볼 수도 있고, 타이타니아를 활용할 수도 있다, 캡틴 마블이나 비전, 나이트크롤러를 이 구역에 내서 후공을 챙길 수도 있다. 타이브레이크 상황에서 이 구역에서 승패가 갈릴 경우 점수 또한 반대로 계산되니 유의하자. ==== 이터니티 레인지 ==== ||<-3>
<#E0A830>|| ||<:> '''한글명''' ||<:> 이터니티 레인지 ||<|2><:>[[파일:eternity-range.webp|width=150]]|| ||<:> '''영문명''' ||<:> Eternity Range || ||<:> '''효과''' ||<-3> 3턴 이후, 패배한 플레이어에게 바위 한 장을 추가합니다. || 23년 1월 1주차에 새로 추가된 구역. 3턴이 끝난 직후 해당 구역에서 파워가 낮은 쪽에 1에너지 0파워인 쓰레기 토큰을 넣어준다. 효과는 한번만 발동하므로 계속 바위가 채워지는 불상사는 없으나, 바위를 치우거나 써먹을 방도가 없다면 카드 3장으로 제한되는 셈이니 레인지의 파워싸움에서 밀릴 가능성이 높아진다. ==== 잔다르 ==== ||<-3>
<#E0A830>|| ||<:> '''한글명''' ||<:> 잔다르 ||<|2><:>[[파일:xandar.webp|width=150]]|| ||<:> '''영문명''' ||<:> Xandar || ||<:> '''효과''' ||<-3>이 구역의 모든 카드에 +1 파워를 부여합니다. || 하수도와 정 반대의 구역. 일단은 구역을 가득 채우기 편한 위니덱에 유리한 구역이긴 하나, 추가되는 파워도 작고 양측 모두에게 적용되기에 크게 의미있는 구역은 아니다. ==== 죽음의 제단 ==== ||<-3>
<#E0A830>|| ||<:> '''한글명''' ||<:> 죽음의 제단 ||<|2><:>[[파일:altar-of-death.webp|width=150]]|| ||<:> '''영문명''' ||<:> Altar of Death || ||<:> '''효과''' ||<-3> 이 구역에 카드를 내면, 해당 카드를 파괴하고 다음 턴에 +2 에너지를 얻습니다. || 23년 1월 2주차에 신규 추가된 구역. 데스의 영역과 유사하게 직접 낸 카드를 모조리 파괴시켜버리지만, 대신 다음 턴에 파괴된 카드 한 장당 +2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적당히 희생시킬 카드만 있다면 능동적으로 에너지 펌핑을 할 수 있는 셈. 파괴되어도 계속 손으로 돌아오는 데드풀이나 파괴시 0코스트로 되돌아오는 세이버투스가 활약하기 좋다. 아머 등의 효과로 파괴가 막히면 에너지 또한 얻을 수 없다. === ㅊ~ㅌ === ==== 축소된 연구소 ==== ||<-3>
<#E0A830>|| ||<:> '''한글명''' ||<:> 축소된 연구소 ||<|2><:>[[파일:miniaturized_lab.webp|width=150]]|| ||<:> '''영문명''' ||<:> Miniaturized Lab || ||<:> '''효과''' ||<-3>3, 4, 5번째 턴에는 이 구역에 카드를 추가할 수 없습니다. || 1, 2, 6턴에만 카드를 추가할 수 있는 구역. 3, 4, 5턴에는 이 구역에 카드 내기가 불가능하며 프로페서 X처럼 카드를 추가하는게 불가능하기에 단순히 카드 내기 뿐만이 아니라 '''토큰 생성, 카드 이동 또한 불가능하다.''' 카드를 추가할 수단이 전부 막히기 때문에 이를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프로페서 X와 달리 카드를 이 구역에서 다른 구역으로 이동시키거나 킬몽거 등의 효과로 파괴시키는 등의 제거는 가능하다. 2턴이 끝난 후 일러스트 내의 건물이 축소되는 이펙트가 있으며 5턴이 끝날 때까지 축소된 채로 유지된다. ==== 침묵의 섬 ==== ||<-3>
<#E0A830>|| ||<:> '''한글명''' ||<:> 침묵의 섬 ||<|2><:>[[파일:isle_of_silence.webp|width=150]]|| ||<:> '''영문명''' ||<:> Isle of Silence || ||<:> '''효과''' ||<-3>이 구역에선 '''[[마블 스냅/특수 능력#s-1.4|지속]]''' 능력이 무효화됩니다. || 노웨어와 반대로, 지속 능력이 무시되는 구역. 지속 덱에게 까다로운 구역이나, 지속 능력이 패널티인 카드들도 있으므로 그런 카드들에겐 오히려 이득이다. 대표적으로 리저드나 메리, 레드스컬 등이 있다. 이 세 개를 전부 채용하는 제로덱이 반기는 구역. 해당구역에서 지속능력이 무효화될뿐 지속능력 자체가 사라지지는 않는다. 지속카드가 이 구역에 있더라도 바닐라 카드로 취급되지는 않으며 스펙트럼의 효과도 받는다. ==== [[카마르 타지]] ==== ||<-3>
<#E0A830>|| ||<:> '''한글명''' ||<:> 카마르 타지 ||<|2><:>[[파일:kamar_taj.webp|width=150]]|| ||<:> '''영문명''' ||<:> Kamar-Taj || ||<:> '''효과''' ||<-3>이 구역에선 '''[[마블 스냅/특수 능력#s-1.1|출현]]''' 능력이 2번 발동됩니다. || 출현 효과를 2회 연속으로 발동시켜 주는 구역. "'''오딘의 별장입니다!'''"라는 화제의 구역 홍보 문구대로 '''오딘'''을 위시한 출현 덱에게 매우 유리한 구역이다. 특히 오딘은 출현 효과를 2번 발동시키다 보니 이 구역에는 출현 효과를 '''4번''' 발동시킬 수 있어 온갖 사기 조합[* 하나 예를 들자면 아이언하트 + 화이트 타이거 + 오딘. 호랑이 4마리 소환에 파워 +2 버프가 합계 12장에게 추가된다.]을 창출할 수 있다. 단 카니지를 비롯한 플레이어에게 불리한 효과도 2번 발동될 수 있으니 유의하자. 효과 텍스트에는 "2번"이라고 적혀있으나, 실제로는 "2배로" 발동하는 것이므로 웡의 효과와 중첩이 가능하다. [[https://www.reddit.com/r/MarvelSnap/comments/vho4u5/wong_on_kamartaj_is_a_nice_thematic_synergy/|링크]][* 웡과 카마르타지의 효과를 동시에 받은 갬빗과 블레이드가 각각 4번씩 출현 효과를 발동하여 그 중에 아포칼립스를 7번 버려 32파워 아포칼립스를 만들어냈다.] ==== [[S.H.I.E.L.D.(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시설#s-2.6|캠프 리하이]] ==== ||<-3>
<#E0A830>|| ||<:> '''한글명''' ||<:> 캠프 리하이 ||<|2><:>[[파일:camp-lehigh.webp|width=150]]|| ||<:> '''영문명''' ||<:> Camp Lehigh || ||<:> '''효과''' ||<-3> 각 플레이어의 손에 무작위 비용 3 카드 한 장을 추가합니다. || 쉴드와 연관있는 구역답게 무작위 카드를 손에 추가하는 능력을 가지고 왔다. ==== 쿤룬 ==== ||<-3>
<#E0A830>|| ||<:> '''한글명''' ||<:> 쿤룬 ||<|2><:>[[파일:kun_lun.webp|width=150]]|| ||<:> '''영문명''' ||<:> K'un-Lun || ||<:> '''효과''' ||<-3>카드를 이 구역에 이동했을 때, 그 카드에 +2 파워를 부여합니다. || 왼쪽/중앙 구역이 이 곳이라면 이동 덱과 최고의 궁합을 보여준다. 그 외의 덱들에겐 거의 폐허나 다름없는 장소. 아스가르드와 같이 나온다면 전략적 점령이 가능하다. 에어로나 매그니토, 폴라리스 같은 상대의 카드를 이동시키는 카드를 쿤룬에 낸다면 구역 효과까지 계산하는 것이 좋다. ==== [[크라코아]] ==== ||<-3>
<#E0A830>|| ||<:> '''한글명''' ||<:> 크라코아||<|2><:>[[파일:|width=150]]|| ||<:> '''영문명''' ||<:> Krakoa|| ||<:> '''효과''' ||<-3>--5번째 턴을 플레이어 대신 진행합니다.-- [*조정중] || 5턴 한정 에고. 어느 턴이든 AI가 대신 진행하면 불쾌하기만 한데 그것도 후반인 5턴이다. 덱 중에서도 최중요 카드인 세라의 비용이 5인 세라 미라클 덱에게 치명적인 구역. 2023년 6월 23일 패치로 구역 매커니즘 재설계를 위해 제외 되었다 ==== [[사이토락|크림슨 코스모스]] ==== ||<-3>
<#E0A830>|| ||<:> '''한글명''' ||<:> 크림슨 코스모스 ||<|2><:>[[파일:crimson_cosmos.webp|width=150]]|| ||<:> '''영문명''' ||<:> Crimson Cosmos || ||<:> '''효과''' ||<-3>비용이 1, 2, 3인 카드는 이 구역에 낼 수 없습니다. || 저비용 카드들을 쓰는 덱에게 골치 아픈 구역. 구역을 바꾸는 주요 테크 카드인 스칼렛 위치, 스톰, 매직, 라이노 모두 2~3 에너지라 쉽사리 변경할 수도 없다. 자연스레 고비용 고파워 카드가 몰리는 장소라 인챈트리스나 샹치가 활약할 가능성이 높다. 이 곳에 어떻게든 구스를 이동시키면 비용이 0 혹은 7 이상[* 림보나 일렉트로, 혹은 구역의 마나 증가만으로 가능하다.]인 카드만 낼 수 있게 되니 생텀 생토럼 비슷하게 만들 수 있다. ==== [[널(마블 코믹스)|클린타르]] ==== ||<-3>
<#E0A830>|| ||<:> '''한글명''' ||<:> 클린타르 ||<|2><:>[[파일:klyntar.webp|width=150]]|| ||<:> '''영문명''' ||<:> Klyntar || ||<:> '''효과''' ||<-3>4턴에, 이 구역에 있는 내 카드를 심비오트와(과) 합체합니다. || 22년 12월 2주차에 새로 추가된 구역. 4턴이 끝나면 그곳에 있던 모든 카드를 없애고 그 파워의 합을 가진 '심비오트' 토큰 1장만 남긴다. 심비오트는 베놈처럼 없어진 카드들의 파워'''만''' 모두 흡수하고 효과는 유지하지 않는다. 이 합체 판정은 '''파괴''' 판정이 아니기 때문에, 데스의 영역이나 머더월드 같이 자괴용으로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심비오트는 4에너지 바닐라 카드라서 패트리어트, 워싱턴 D.C.의 버프를 받으며 매그니토의 효과 타겟이 된다. 심비오트가 버키 같은 파괴되었을 때 토큰을 소환하는 카드와 합체한 후 파괴되면 버키의 파괴 후 효과는 발동하지 않는다. 합체가 카드를 '''제거'''하는 판정이 아니라서 그런지 프로페서X로 구역을 봉쇄해놔도 프로페서 X가 심비오트에 합체 당하면서 봉쇄가 풀린다. 처음 출시되었을 때는 심비오트 토큰의 비용이 1이어서 킬몽거, 폴라리스 등에 취약했었다. 이후 심비오트의 비용이 4로 패치되었다. 참고로 심비오트 토큰의 기본 파워는 0이므로 쉐도우 킹으로 이 구역의 파워를 역전할 여지가 있다. ==== 킬른 ==== ||<-3>
<#E0A830>|| ||<:> '''한글명''' ||<:> 킬른 ||<|2><:>[[파일:kyln.webp|width=150]]|| ||<:> '''영문명''' ||<:> Kyln || ||<:> '''효과''' ||<-3>4번째 턴 이후에는 이 구역에 카드를 낼 수 없습니다. || 초중반에 미리 점령해놓을 것을 요구하는 구역. 마지막 공개로 킬른이 뜨면 킬른을 먹을지 아예 포기할 지 상대와 눈치싸움을 해야한다. 대신 카드를 직접 내는 것만 막지 이동이나 토큰 생성은 가능하므로 관련 덱들에게는 패널티가 적다. ==== [[타이탄(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타이탄]] ==== ||<-3>
<#E0A830>|| ||<:> '''한글명''' ||<:> 타이탄 ||<|2><:>[[파일:titan.webp|width=150]]|| ||<:> '''영문명''' ||<:> Titan || ||<:> '''효과''' ||<-3>기본 비용이 6인 카드의 비용이 1 감소합니다. || 록조/주빌리 빅덱 정도를 제외하면 6에너지 카드는 1-2장 정도 투입이 다인 경우가 많아 크게 영향있는 구역은 아니다. 원래라면 하지 못할 6코-6코 카드 콤보를 낼 수 있다는 점 정도. 데스도 비용이 6이라면 5가된다. 단 여기서 카드가 하나 더 파괴되어도 타이탄의 효과가 바로 사라지면서 여전히 코스트가 5인 것은 유의. ==== [[S.H.I.E.L.D.(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시설#s-2.1|트리스켈리온]] ==== ||<-3>
<#E0A830>|| ||<:> '''한글명''' ||<:> 트리스켈리온 ||<|2><:>[[파일:the_triskelion.webp|width=150]]|| ||<:> '''영문명''' ||<:> The Triskelion || ||<:> '''효과''' ||<-3>양쪽 플레이어의 손을 무작위 카드로 가득 채웁니다. || 디스트릭트 X처럼 게임을 운빨대전으로 바꾸는 구역. 그래도 덱을 갈아엎지는 않으므로 완전히 플랜을 망가뜨리지는 않는 편이다. 콜렉터나 데빌 다이노소어가 있었다면 대박. ==== 팅커러의 작업실 ==== ||<-3>
<#E0A830>|| ||<:> '''한글명''' ||<:> 팅커러의 작업실 ||<|2><:>[[파일:tinkerers_workshop.webp|width=150]]|| ||<:> '''영문명''' ||<:> Tinkerer's Workshop || ||<:> '''효과''' ||<-3>이번 턴에 +1 에너지를 얻습니다. || 프로젝트 페가수스의 염가판 구역. 저코 카드가 안잡혔을 때 패말림을 조금이나마 완화시켜 줄 수 있다. === ㅍ~ㅎ === ==== 포그웰 체육관 ==== ||<-3>
<#E0A830>|| ||<:> '''한글명''' ||<:> 포그웰 체육관 ||<|2><:>|| ||<:> '''영문명''' ||<:> Fogwell's Gym || ||<:> '''효과''' ||<-3>양측 플레이어 모두 이 게임에서 부스터를 두 배로 얻습니다. || 게임이 끝난후 얻는 부스터가 두 배가 되는 구역 실제 게임에 영향을 끼치는 능력은 없어 플레이중에는 폐허와 다르지 않다. 이벤트성 구역으로 평상시에는 나오지 않으며 23년 5월 화제의 구역으로 선정되었을때 잠시 등장했었다. 이후로는 가끔 이벤트성으로 진행할 예정. ==== 펫 맨션 ==== ||<-3>
<#E0A830>|| ||<:> '''한글명''' ||<:> 펫 맨션 ||<|2><:>|| ||<:> '''영문명''' ||<:> Pet Mansion || ||<:> '''효과''' ||<-3> 이 턴에 모든 카드를 반드시 이 구역에 내야 합니다. || 스톰 등의 카드나 감마 연구소/뮤어 아일랜드 등의 구역이 큰 영향을 받고,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카드를 기용했다면 소소한 이득을 챙길 수 있다. ==== 폐허 ==== ||<-3>
<#E0A830>|| ||<:> '''한글명''' ||<:> 폐허 ||<|2><:>[[파일:ruins.webp|width=150]]|| ||<:> '''영문명''' ||<:> Ruins || ||<:> '''효과''' ||<-3> || 아무 효과가 없는 장소. 라이노나 로스 디아블로스 기지 등의 '''붕괴''' 효과가 발동되면 이 장소로 변환된다. 낮은 확률로 그냥 등장하는 경우도 있다. ==== [[프로젝트 P.E.G.A.S.U.S.|프로젝트 페가수스]] ==== ||<-3>
<#E0A830>|| ||<:> '''한글명''' ||<:> 프로젝트 페가수스 ||<|2><:>[[파일:project_pegasus.webp|width=150]]|| ||<:> '''영문명''' ||<:> Project Pegasus || ||<:> '''효과''' ||<-3>이번 턴에 +5 에너지를 얻습니다. || 초반 손패가 무거울수록 빛을 보는 구역. 핸드 운만 따라주면 시작부터 큰 우세를 점하고 게임을 시작할 수 있다. 극단적인 예시로 1턴 인피너트로 큰 힘을 보태거나, 1턴 프로페서 X로 시작과 동시에 구역 하나를 날로 먹어버리는 플레이도 가능하다. ==== 플런더 캐슬 ==== ||<-3>
<#E0A830>|| ||<:> '''한글명''' ||<:> 플런더 캐슬 ||<|2><:>|| ||<:> '''영문명''' ||<:> Plunder Castle || ||<:> '''효과''' ||<-3> ~~이 구역에는 비용 6의 카드만 낼 수 있습니다.~~[*조정중] || 현재 비용이 6인 카드만 낼 수 있다. 세라나 쉬헐크 등의 능력으로 비용이 줄어든 6에너지 카드는 낼 수 없게 되며, 6에너지 미만의 카드가 아이스맨이나 모르도 남작 등의 효과로 비용이 6으로 증가했다면 해당 카드를 낼 수 있게 된다. 타이탄/엘리시움/웨이브 등이 나온다면 일반적으론 아무도 이 구역에 카드를 낼 수 없게 된다. 다른 플레이 제한 구역과 마찬가지로 이동/파워 부여/소환 등으로 우회해서 공략할 수 있다. 5.25 패치로 게임에서 일시적으로 제외되었다. ==== [[킹핀(마블 코믹스)|피스크 타워]] ==== ||<-3>
<#E0A830>|| ||<:> '''한글명''' ||<:> 피스크 타워 ||<|2><:>[[파일:fisk_tower.webp|width=150]]|| ||<:> '''영문명''' ||<:> Fisk Tower || ||<:> '''효과''' ||<-3>이 구역으로 임의의 카드가 이동하면 그 카드를 파괴합니다. || >카드 이동 시도: 목표고정. / In range. / Locked in. / Target locked. 이동 덱에게 리스크가 되는 구역. 비프로스트나 스트레인지 아카데미가 같이 나온다면 큰 변수가 된다. 강제 이동이 문제가 되는 걸 막고자 한다면 피스크 타워의 자리를 채워놓으면 된다. 하지만 비프로스트가 있을 때 피스크 타워가 가운데 있다면 두/세 번째 구역이 전부 차있다거나, 파괴 방지 카드가 있는 것이 아닌 이상은 첫 번째 구역의 카드들이 파괴되는 것을 막을 수 없다. 에어로나 매그니토를 내서 마지막에 변수 창출을 하는 경우도 많으며, 특히 '''카드를 공개하기도 전에 이동시켜버리는''' 선공 에어로의 경우, 피스크 타워와 연계에 의해 출연 효과마저 막아버린다. 그렇기에 상대가 매그니토나 에어로같은 것을 채용하는 컨트롤 덱 냄새가 나면 그에 맞게 움직여주면 손해가 덜하다.[* 매그니토의 이동 대상인 3~4코 카드들은 여기에 둔다던지, 5턴에 이 구역에 내서 에어로의 효과에 대응하던지] 이 구역으로 카드가 옮겨지면 타워 꼭대기에서 소총으로 저격하는 듯한 효과와 함께 이동한 카드를 파괴한다. 나이트 크롤러, 비전, 클록 등의 효과로 직접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의 카드를 이 구역으로 이동시키려 할때도 붉은 레이저로 조준하는 효과와 함께 사격을 준비하는 저격수의 무전음이 들린다. 원작에선 킹핀이 소유한 타워이기 때문에 킹핀의 효과와 비슷한, 카드가 이동하면 파괴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후 숙적인 스파이더맨이 리메이크로 이동 능력을 지니면서 스파이더맨을 파괴할 수 있게 되었다. ==== 하수도 ==== ||<-3>
<#E0A830>|| ||<:> '''한글명''' ||<:> 하수도 ||<|2><:>[[파일:sewer.webp|width=150]]|| ||<:> '''영문명''' ||<:> Sewer System || ||<:> '''효과''' ||<-3>이 구역에 있는 카드에 -1파워를 부여합니다. || 역시 네거티브 존 류의 구역. 여전히 위니덱에게는 짜증나는 구역이지만 빅덱에겐 거의 문제 없는 수준이다. 테마가 서로 어울리듯이 실제로도 리저드와 시너지가 좋은 구역인데, -1 파워 때문에 저코스트 카드를 내기 껄끄러운지라 3~4턴 이후부터 느즈막하게 진입하는 구역이지만 리저드는 상대 진영이 가득차지 않았다면 자체파워가 5이기 때문에 무난하게 하수도를 선점하고 시작할 수 있다. ==== 할라 ==== ||<-3>
<#E0A830>|| ||<:> '''한글명''' ||<:> 할라 ||<|2><:>[[파일:hala.webp|width=150]]|| ||<:> '''영문명''' ||<:> Hala || ||<:> '''효과''' ||<-3>4번째 턴 이후, 이 구역에서 패배한 플레이어가 낸 모든 카드를 파괴합니다. || 번역이 애매한데, '이 구역'에서 진 플레이어의 '이 구역' 카드들을 모두 파괴하는 효과이다. 이 구역을 이기기 위해 상남자스러운 일기토가 벌어질 것 같지만, 현실은 두 플레이어 모두 4턴까지 카드를 내지 않는 쫄보가 된다. 일단 카드를 내면 그 카드를 지키기 위해 추가적인 투자가 필요하지만, 처음부터 카드를 내지 않으면 카드가 파괴당할 리스크도 없기 때문이다. 상대도 이 구역에 카드를 내기 꺼린다는 점을 전략적으로 이용할 여지는 있다. ==== [[S.H.I.E.L.D.(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시설#s-2.2|허브]] ==== ||<-3>
<#E0A830>|| ||<:> '''한글명''' ||<:> 허브 ||<|2><:>[[파일:the_hub.webp|width=150]]|| ||<:> '''영문명''' ||<:> The Hub || ||<:> '''효과''' ||<-3>각 플레이어의 손에 무작위 카드를 하나 추가합니다. || 무작위 변수 생성 구역. 구역 벽면을 보면 알겠지만 쉴드와 관련있는 구역이다. 쉴드 본부인 트리스켈리온보다 변수는 적은 편. ==== 헬스 키친 ==== ||<-3>
<#E0A830>|| ||<:> '''한글명''' ||<:> 헬스키친 ||<|2><:>[[파일:hells_kitchen.webp|width=150]]|| ||<:> '''영문명''' ||<:> Hell''s Kitchen || ||<:> '''효과''' ||<-3>내 덱에서 기본 비용이 1인 카드를 1장 뽑습니다. || 멀리건이 망했을 때 조금이나마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소. 덱에 1코 카드가 없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 헬파이어 클럽 ==== ||<-3>
<#E0A830>|| ||<:> '''한글명''' ||<:> 헬파이어 클럽 ||<|2><:>[[파일:hellfire_club.webp|width=150]]|| ||<:> '''영문명''' ||<:> Hellfire Club || ||<:> '''효과''' ||<-3>비용이 1인 카드는 이 구역에 낼 수 없습니다. || 1코가 많은 위니덱이라면 짜증은 나겠지만 1~3코가 전부 막히는 크림슨 코스모스보다는 낫다. ==== [[화이트 핫 룸]] ==== ||<-3>
<#E0A830>|| ||<:> '''한글명''' ||<:> 화이트 핫 룸 ||<|2><:>[[파일:white-hot-room.webp|width=150]]|| ||<:> '''영문명''' ||<:> White hot room || ||<:> '''효과''' ||<-3>이 구역을 먼저 채우면 최대 에너지 3을 획득합니다. || 이 구역을 먼저 채울 경우 게임이 끝날때까지 3에너지를 얻게된다. 조건이 매우 적절하게 설계된 구역으로 이 구역 효과에 군침이 도는 빅덱은 카드를 내는 속도가 느리고, 구역을 채우기 쉬운 위니덱은 오히려 에너지가 남아 도는 경우가 생긴다. 물론 위니덱도 에너지가 아까운 경우가 많아서 위니덱이 효과를 더 잘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