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마빈 게이의 주요 수상 이력 ''' }}} || ||<-2><#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000> [[파일:5ARYZvK4L2afx8AcWcf6kF-1.jpg|width=60]] {{{+1 '''[[로큰롤 명예의 전당|{{{#DAA520 로큰롤 명예의 전당}}}]] {{{#DAA520 헌액자}}} ''' }}} || ||<-2><^|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fd700 이름}}}''' || '''{{{#ffd700 마빈 게이[br]MARVIN GAYE}}}''' || || '''{{{#ffd700 헌액 부문}}}''' || '''{{{#ffd700 공연자 (Performers)}}}''' || || '''{{{#ffd700 멤버}}}''' || {{{#ffd700 (개인자격)}}} || || '''{{{#ffd700 입성 연도}}}''' || '''{{{#ffd700 1987년}}}''' || || '''{{{#ffd700 후보자격 연도}}}''' || '''{{{#ffd700 1986년}}}''' || || '''{{{#ffd700 후보선정 연도}}}''' || '''{{{#ffd700 1986년, 1987년}}}''' ||}}}}}}}}} || ---- [include(틀:역대 그래미 평생 공로상 수상자)] ---- [include(틀: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앨범)]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아티스트)]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항목=1970년대 아티스트,순위=10)]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1~10위))]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가장 위대한 가수)]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 [include(틀:빌보드 선정 가장 위대한 알앤비 가수)] ---- [include(틀:NME/가장 위대한 가수)] ---- [include(틀:Essence 선정 가장 영향력 있는 R&B 아티스트)] ---- [include(틀: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싱글))] ---- [include(틀:빌보드 차트 올타임 남성 아티스트)] ---- [include(틀: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Vine Street), 한글명=마빈 게이, 영어명=MARVIN GAYE, 분야=음악, 입성날짜=1990년 9월 27일, 위치=1500)]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47667 1%, #647667 20%, #6c8682 80%, #6c8682)" '''{{{+1 마빈 게이}}}[br]Marvin Gay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ㅁㅂㄱㅇ.jpg|width=100%]]}}} || || '''본명''' ||'''마빈 펜츠 게이 주니어[br]{{{-1 Marvin Pentz Gay, Jr.}}}''' || ||<|2> '''출생''' ||[[1939년]] [[4월 2일]] || ||[[미국]] [[워싱턴 D.C.]] || ||<|2> '''사망''' ||[[1984년]] [[4월 1일]] (향년 44세)[* 아버지에게 살해당했는데, 공교롭게도 생일 하루 전인 [[만우절]]에 사망했다.] || ||[[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직업''' ||[[싱어송라이터]], 음반 프로듀서 ||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마빈_게이2_사인.png|width=15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47667 1%, #647667 20%, #647667 80%, #0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님''' ||^^'''부'''^^ 마빈 게이 시니어 ^^(1914-1998)^^[br]^^'''모'''^^ 알버타 게이 ^^(1913-1987)^^ || || '''자녀''' ||슬하 2남 1녀[br]마빈 게이 3세 ^^(1965-)^^[br]노나 게이 ^^(1974-)^^[br]프랭키 게이 ^^(1975-)^^ || || '''배우자''' ||안나 고디 게이 ^^(1963–1977, 이혼)^^[br]얀 게이 ^^(1977–1981, 이혼)^^ || || '''학력''' ||Randall Junior High School[br]카도조 에두카티온 캠퍼스 || || '''신체''' ||185cm, 73kg || || '''혈통''' ||[[아프리카계 미국인]] || || '''별명''' ||'''모타운의 왕자[br]Prince of Motown''' || || '''종교''' ||[[기독교]] ([[개신교]], [[오순절교회]]) || || '''활동''' ||[[1957년]] – [[1984년]] || || '''사용 악기''' ||[[보컬리스트|보컬]], [[건반 악기]], [[드러머|드럼]] || || '''장르''' ||[[소울 음악|소울]], [[R&B]], [[펑크(음악)|펑크]], [[가스펠]], [[재즈]], [[:분류:사이키델릭 소울|사이키델릭 소울]], [[:분류:프로그레시브 소울|프로그레시브 소울]] || || '''레이블'''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모타운|[[파일:Motown logo.svg|width=40]]]]}}}· [[컬럼비아 레코드|[[파일:컬럼비아 레코드 로고.svg|width=120]]]]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가수]], [[싱어송라이터]]. 흑인 음악의 새로운 지평을 연 아티스트로 꼽히는 인물이자 대중문화 역사상 가장 위대한 가수 중 한 명으로, 후대 음악, 특히 [[소울 음악|소울]]과 [[R&B]] 및 보컬 진행에 있어 지대한 영향을 준 인물로 평가된다. == 연예계 활동 == 초창기에는 태미 태럴[* 1945~1970. 모타운에서도 손꼽는 젊은 여성 가수였으나 (마빈보다 6살 연하다. 데뷔 당시 14살이었는데, 타 레이블에서 활동하다가 이적한거라 듀엣 자체는 1967년에서야 했다.) 뇌종양으로 인해 만 24세의 나이로 요절했다. 마빈 게이와 함께 부른 '[[Ain't No Mountain High Enough]]'로 잘 알려져 있다. 태미의 요절은 마빈에게 상당히 충격이었고, 마약 중독의 늪에 빠지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이나 타 [[모타운]] 가수들과 활동하면서 인기를 끌었다. 이 시절의 히트곡으로는 [[Pride and Joy]] (1963), Try It Baby (1964), [[How Sweet It Is (To Be Loved by You)]] (1964), [[I'll Be Doggone]] (1965), [[Ain't That Peculiar]] (1965), [[Ain't No Mountain High Enough]] (1967), [[Your Precious Love]] (1967), If I Could Build My Whole World Around You (1967), [[Ain't Nothing Like the Real Thing]] (1968), [[You're All I Need to Get By]] (1968), [[I Heard It Through the Grapevine]] (1968), [[Too Busy Thinking About My Baby]] (1969), [[That's the Way Love Is(마빈 게이)|That's the Way Love Is]] (1969) 등이 있고, 모타운 특유의 프로듀싱과 가창으로 괜찮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다가 1971년 동생의 [[베트남 전쟁]] 참전과, 듀엣으로 함께 20세기 최고 명반을 만들어냈던 짝꿍인 태미 테럴의 사망을 통해 충격을 받아 만든 [[What's Going On]]이라는 앨범을 내놓으면서 전설의 위상으로 올라서기 시작했다. [[스티비 원더]]와 함께 모타운 레코드의 중흥을 이끌고 가사에 사회비판적인 내용을 담는 파격적인[* 당시 모타운 소속 가수들의 노래는 팝적인 사랑노래가 대부분이였다.] 곡으로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다. 당시 음악적으로나 메시지적으로나 기존 [[소울 음악]]과는 완전히 다른 음악에 [[베리 골디|모타운 사장]]은 이런 음악은 팔리지 않을 것이라고 난색을 표했지만 마빈 게이는 고집을 꺾지 않고 끝까지 관철시켰으며, 결국엔 성공시켰다. 이는 후대 흑인 음악계에 큰 귀감이 되고 있다. 이후 낸 Let's Get It On 앨범은 전작과는 완전히 다른 색이었다. 선지적이고 사회비판적이었던 전작과 달리, 다분히 성(性)적인 세속적 주제를 토대로 하였다. 이미 경지에 오른 뮤지션답게 완벽하게 자신의 색을 입혀 섹슈얼한 음악의 상징적 존재로 굳건히 자리잡게 된 앨범이기도 하다. 또 [[Let's Get It On|동명의 타이틀 곡]]은 베드송으로 가장 많이 리퀘스트 받는 넘버이기도 하다. 음악적으로도 다양한 악기들과 부드러운 하모니 등 가히 [[소울 음악|소울]]의 질감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했다는 평을 들었으며 타 레이블에서 활동하던 [[오티스 레딩]], [[앨 그린]], [[커티스 메이필드]]나 [[아이작 헤이즈]][* [[사우스 파크]]의 '셰프' [[제롬 맥엘로이]] 역을 맡았던 그 사람 맞다.]와 더불어 [[소울 음악|소울]]이라는 장르에 천지개벽을 불러일으켰다. 가창력의 수준은 역대 최고로 평가받는 일도 드물지 않으며, 특유의 유려하고 부드러운 창법과 색채가 뛰어나 지금도 수많은 남자가수들이 영향을 받고있고, 또한 존경을 표하고 있다. == 개인사 == 그의 개인사는 노래 파트너의 죽음과 이혼, 마약 중독[* 엄청난 [[코카인]] 중독자였다고 한다.]과 자살 시도 등의 굴곡으로 점철되어 있었다. 게다가 1980년대부터 실적 저조와 부인 '애나 골디'와의 이혼에서 비롯된 모타운과의 불화가 심해졌다. 애나 골디는 [[모타운]]의 창업자인 [[베리 골디]]의 누나다. 1922년생으로 남동생 베리(1929년생)보다 7살 많았고, 전 남편이었던 마빈 게이보다도 17살씩이나 연상이었다. 1966년 마빈 게이의 부인의 조카, Denise Gordy는 남자 아이를 출산하게 되었고 그 때가 Denise의 나이 17살이었다. 나중에 마빈 게이와 Denise 사이의 아이로 밝혀졌고 출생 후 아이는 곧바로 마빈 게이와 Anna 부부에게 입양되었다. 아이가 태어나지 않았던 시점, 44살 즈음이었던 Anna는 자신이 임신한 것처럼 꾸며내야만 했다. 초기엔 작곡 아이디어를 제공받는 등 사이가 좋았으나, 후기로 갈수록 악화되어 1973년에 들어서면 이미 법적으로 결별한 상태였다.[* 당시 재니스라는 여성과 교제하기 시작했고 아예 딴 살림을 차려 나갔다고 한다. 그러나 이 둘 역시 마약 문제와 부부 간의 불화 (마빈 쪽에서 강요한 [[오픈 릴레이션십]]에 가까웠다고 한다.)로 결혼 2년만에 1979년 이혼했다. 다만 애증에 가까웠는지 사망 당시에도 관계를 회복하려고 했다고 한다.] 1975년 결국 이혼 소송에 들어갔고, 마빈 게이는 이혼 소송 당시 심정을 담은 Here, My Dear를 발표했으나 그 뛰어난 완성도에도 불구하고 너무나 우울한 내용과 당시 하락세였던 마빈 본인의 인기가 겹쳐 망했다. 그러나 후일 재평가되었다. [* 참고로 나이차가 북미 기준으로도 컸던 편이라 마빈이 애나에게 얻어맞는 일이 있었다고 한다.] 이혼 당시엔 사이가 상당히 나빴고 애나도 Here, My Dear를 불쾌하게 여겼으나 마빈이 재기하면서 화해하고 앨범에 대한 평도 호전되었다. 하지만 화해 후 얼마 안 돼서 마빈이 아래 사고로 사망하는 바람에 충격을 받았다. 애나는 이후 재혼하지 않고 세간의 관심을 차단하고 살다가 2014년 사망했다. 항년 92세로 상당히 장수한 편. 결국 계약해지를 하고 각고의 재활 끝에 [[컬럼비아 레코드]]에서 앨범 Midnight Love을 내고[* 이 앨범에 수록된 곡이 바로 그 유명한 [[Sexual Healing]]이다. 이 노래를 만들 당시의 마빈 게이는 포르노에 중독된 상태여서(...) 지인에게 말 그대로 '성적 치료'를 받아야 한다는 조언을 듣고 이런 노래를 만들게 되었다고. 참고로 이 곡은 미국 흑인 음악 역사상 최초로 (훗날에 [[힙합 음악]]과 [[일렉트로니카]] 씬의 핵심이 된) 롤랜드의 드럼머신 [[TR-808]] 사운드가 전면 배치된 히트곡이다.(미국 밖으로 돌아보면 [[일본|롤랜드의 본국]] 밴드인 [[옐로 매직 오케스트라]]의 앨범 BGM이 최초)] 간만에 대히트를 치며 부활했다. === 비극적인 죽음 === || [[파일:gayedeath.jpg]] || || 마빈 게이의 '''[[사망진단서]]'''[* 사망 원인에 ’흉부 총격‘, ’심장, 폐, 간의 손상‘이라고 적혀 있다.] || 그러나 이런 경사를 제대로 누리기도 전에 투어가 끝나고 유럽과 미국을 돌면서 휴식기를 갖던 도중[* 이에 대한 뒷말이 좀 있는 게, 투어의 압박감에 정신적으로 몰리게 되자 다시 코카인에 손을 댔다느니, 방탄 조끼를 입고 무대에 올랐다느니 이야기가 있다.] 1984년 [[만우절]] 날, 부모끼리 벌어진 싸움을 말리다가 아버지랑 몸싸움이 붙었고 화가 난 아버지의 총에 맞아[* 어머니가 말리고 난 뒤, 갑자기 자기 방에서 총을 들고와 아들에게 쐈다고 한다.] 말 그대로 비명횡사하고 말았다. 곧 병원에 실려 갔지만, 첫 번째 총알이 정확히 심장에 맞아서 즉사했고, 손 쓸 수도 없었다고 한다. 애석하게도 마빈 게이를 죽인 총은 전에 그가 크리스마스 선물로 아버지에게 줬던 것이었고, 공교롭게도 마빈의 사망일은 그의 생일(4월 2일) 하루 전날이었다. 아버지 마빈 게이 시니어는 체포되어 1급 살인 혐의로 재판을 받았으나, 당시 [[뇌종양]]을 앓아 상태가 정상이 아니었다는 의사의 소견을 근거로 들면서 6년간의 집행유예를 선고 받았다. 이 판결은 당시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사실 마빈 게이 시니어는 사건 이전부터 [[막장 부모]]로 악명이 높았다. 일단은 목사였으나 알콜 중독에 자식들에게 매우 폭압적으로 굴며 체벌을 일삼고 제대로 된 직장도 없이 놀고먹었던 사람이라고 한다. 여기다 [[여장]]을 즐겨하는 [[크로스드레서]]였는데, 이 역시 마빈과 자식들의 유년 시절에 악영향을 미쳤다.[* 마빈 게이가 유년기를 보냈던 1940-50년대 미국은 성 소수자나 크로스드레서 이미지가 매우 나빴다. 크로스드레서 자체가 나쁜건 아니지만, 자기 때문에 자식이 당하는 따돌림엔 전혀 신경을 쓰지 않고 폭압적으로 구는 이기적인 사람이었던 셈. 마빈 게이가 Gaye로 성을 바꾼 것도 이 때문이었다고.] 시니어 본인은 아들을 사랑했다고 주장했지만, 정작 마빈 게이 본인이나 그의 어머니랑 주변 사람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다. 심지어 마빈 게이가 가수로 성공해, 부모님을 챙겨주려고 했음에도 아버지 쪽에서는 별다른 감사도 표하지 않아서, 한동안 보러 오지 않았을 정도였다. 워싱턴 DC에서 마빈 게이의 날을 정한 뒤, 겨우 화해했다고 한다. 부인인 앨버타마저 1980년대 들어서 사이가 완전히 소원해져 각 방을 쓰는 처지였다고 한다. 특히 이 사건으로 인해 마빈 남매의 어머니인 앨버타 게이에게도 이혼당해 쓸쓸히 혼자 살다가 1998년 84세로 사망했다. 마빈 게이 시니어가 아들과 아내보다 더 오래살았으나 살아있는 동안 아들을 죽인 아버지로 사람들에게 멸시받고 아내랑 손자, 손녀들에게도 버림받으며 외로이 죽은건 어찌보면 [[자업자득]]인 셈이다. 어머니 앨버타 게이는 아들의 죽음을 크게 슬퍼하며 이 사건으로 인해 남편과 이혼 소송을 내서 정식으로 이혼했다. 앨버타는 아들이 남겨준 재산 일부를 상속받고, 그 돈으로 알콜 중독 치료 병원에 기부하고 알콜 중독 치료 및 위해성을 알리는 활동에 나서며 살다가 1987년 골수암으로 74세로 세상을 떠났다. 마빈 게이는 어머니하고 사이가 좋았던 편이라고 한다. 노래 실력을 칭찬해주고 힘들어하는 자신을 위로해주는 다정한 어머니였다고 마빈 게이는 회고했다. 마빈 게이의 유해는 어머니랑 자녀들이 참석한 장례식에서 장례를 치른 후에 화장되어 태평양에 뿌려졌다고 한다. 이후 [[다이애나 로스]]의 [[Missing You(다이애나 로스)|Missing You]], [[코모도스]]의 [[Nightshift]], [[토드 런그렌]] 등 동료 뮤지션들이 곡을 내면서 그의 안타까운 죽음을 추모했다. '아버지가 자식을 살해한 사건'은 당시로서나 지금으로서나 경악할만한 죽음이었기 때문에 음악 채널인 [[VH-1]]/VH-1 Classic 에서 '제일 충격적이였던 음악사 순간 100선' 에 8위로 선정되기도 했다.(2001년 리스트에서는 5위다) == 디스코그래피 == === 앨범 === ||
'''연도''' || '''제목''' || || [[1961년]] || The Soulful Moods of Marvin Gaye || || [[1962년]] || That Stubborn Kinda Fellow || ||<|3> [[1964년]] || When I'm Alone I Cry || || Together[* with [[Mary Wells]]] || || Hello Broadway || ||<|2> [[1965년]] || How Sweet It Is to Be Loved by You || || A Tribute to the Great Nat "King" Cole || ||<|2> [[1966년]] || Moods of Marvin Gaye || || Take Two[* with Kim Weston] || || [[1967년]] || United[* with Tammi Terrell] || ||<|2> [[1968년]] || You're All I Need[* with Tammi Terrell] || || I Heard It Through the Grapevine || ||<|2> [[1969년]] || M.P.G. || || Easy (With Tammi Terrell) || || [[1970년]] || That's the Way Love Is || || [[1971년]] || [[What's Going On]][*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1위'''][* [[빌보드 200]] 6위] || || [[1972년]] || Trouble Man || ||<|2> [[1973년]] || Let's Get It On[* 빌보드 200 2위] || || Diana & Marvin[* with [[Diana Ross]]] || || [[1976년]] || I Want You[* 빌보드 200 4위] || || [[1978년]] || Here, My Dear || || [[1981년]] || In Our Lifetime || || [[1982년]] || Midnight Love[* 빌보드 200 7위] || ||<|2> [[1985년]] || Dream of a Lifetime || || Romantically Yours || || [[1997년]] || Vulnerable || || [[2019년]] || You're the Man || === 싱글 === ==== [[빌보드 핫 100]] 1위 ==== * [[I Heard It Through the Grapevine]] (1968) * [[Let's Get It On]] (1973) * [[Got to Give It Up]] (1977)[* 2015년 3월, [[퍼렐 윌리엄스]], [[T.I.]]가 피쳐링한 [[로빈 시크]]의 "[[Blurred Lines]]"가 이 곡을 표절했다는 판결이 나서 유족들에게 거액의 돈을 물어주게 되었다.] ==== 빌보드 핫 100 2위 ==== * [[What's Going On(노래)|What's Going On]] (1971) ==== 빌보드 핫 100 3위~10위 ==== * [[Sexual Healing]] (1982) - 3위 * [[Too Busy Thinking About My Baby]] (1969) - 4위 * [[Mercy Mercy Me (The Ecology)]] (1971) - 4위 * [[Your Precious Love]] (1967) - 5위[* with Tammi Terrell] * [[How Sweet It Is (To Be Loved by You)]] (1964) - 6위 * [[You're All I Need to Get By]] (1968) - 7위[* with Tammi Terrell] * [[That's the Way Love Is(마빈 게이)|That's the Way Love Is]] (1969) - 7위 * Trouble Man (1972) - 7위 * [[I'll Be Doggone]] (1965) - 8위 * [[Ain't That Peculiar]] (1965) - 8위 * [[Ain't Nothing Like the Real Thing]] (1968) - 8위[* with Tammi Terrell] * [[Inner City Blues (Make Me Wanna Holler)]] (1971) - 9위 * [[Pride and Joy]] (1963) - 10위 * If I Could Build My Whole World Around You (1967) - 10위[* with Tammi Terrell] ==== 빌보드 핫 100 11위~20위 ==== * You're a Wonderful One (1964) - 15위 * Once Upon a Time (1964) - 19위[* with [[Mary Wells]]] * What's the Matter with You Baby (1964) - 17위[* with [[Mary Wells]]] * Try It Baby (1964) - 15위 * It Takes Two (1966) - 14위[* with Kim Weston] * [[Ain't No Mountain High Enough]][* 영화 [[시스터 액트]]와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의 OST다.] (1967) - 19위[* with Tammi Terrell] * You're a Special Part of Me (1973) - 12위[* with [[Diana Ross]]] * [[My Mistake (Was to Love You)]] (1974) - 19위[* with [[Diana Ross]]] * [[I Want You(마빈 게이)|I Want You]] (1976) - 15위 ==== 빌보드 핫 100 21위~40위 ==== * Hitch Hike (1962) - 30위 * Can I Get a Witness (1963) - 22위 * Baby Don't You Do It (1964) - 27위 * Pretty Little Baby (1965) - 25위 * One More Heartache (1966) - 29위 * Your Unchanging Love (1967) - 33위 * You (1967) - 34위 * Chained (1968) - 32위 * Keep On Lovin' Me Honey (1968) - 24위[* with Tammi Terrell] * Good Lovin' Ain't Easy to Come By (1969) - 30위[* with Tammi Terrell] * The End of Our Road (1970) - 40위 * Come Get to This (1973) - 21위 * Distant Lover (1974) - 28위 * [[Music(에릭 서먼)|Music]] (2001) - 22위[* Erick Sermon의 곡에 피처링] ==== 빌보드 핫 100 41위~100위 ==== * Stubborn Kind of Fellow (1962) - 46위 * I'm Crazy 'Bout My Baby (1963) - 77위 * What Good Am I Without You (1964) - 61위[* with Kim Weston] * Take This Heart of Mine (1966) - 44위 * Little Darling, I Need You (1966) - 47위 * If This World Were Mine (1967) - 68위[* with Tammi Terrell] * What You Gave Me (1969) - 49위[* with Tammi Terrell] * How Can I Forget (1970) - 41위 * Gonna Give Her All the Love I've Got (1970) - 67위 * The Onion Song / California Soul (1970) - 50위[* with Tammi Terrell] * You're the Man (Part 1) (1972) - 50위 * You Sure Love to Ball (1974) - 50위 * [[Don't Knock My Love]] (1974) - 46위[* with [[Diana Ross]]] * After the Dance (1976) - 74위 * Pops, We Love You (A Tribute to Father) (1978) - 59위[* with [[Diana Ross]], [[Smokey Robinson]], [[Stevie Wonder]]] [[분류:마빈 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