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마산회원구)]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창원시 마산회원구(선거구))] [include(틀:창원시의 정치)] [목차] == 선거구 정보 == ||<-3> [[창원시|[[파일:창원시 CI.svg|height=25]]]]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 || 국회의원 || 도의원 || 지역 || ||<|3> [[창원시 마산회원구(선거구)|{{{#ffffff 창원시[br]마산회원구}}}]] || [[창원시 제11선거구|창원시 11]] ||'''마산회원구''' 내서읍 || || [[창원시 제12선거구|창원시 12]] ||'''마산회원구''' 회원1동, 회원2동, 석전동, 회성동, 합성1동 || || [[창원시 제13선거구|창원시 14]] ||'''마산회원구''' 양덕1동, 양덕2동, 합성2동, 구암1동, 구암2동, 봉암동 || == 지역 특성 == 지금은 창원시에서도 보수세가 강한 지역이지만, 3당 합당 이전에는 마산의 주력산업이였던 섬유공단 노동자들의 표심과 이 지역의 거물이였던 [[김영삼]]의 존재로 민주당세가 매우 막강한 곳으로 꼽혔다.[* 2020년대 현재의 [[성산구]]와 똑같은 포지션이라고 보면 된다. 실제로 여기는 경상남도에서 진보정당세가 상대적으로 강한 편이다.] 실제로 [[통일민주당]]을 이끌던 [[김영삼]] 총재는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무려 60%''' 이상을 받았으며,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통일민주당]] [[강삼재]] 후보가 54%를 받으며 과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그러나 [[전두환]] - [[노태우]]로 이어지는 [[민주정의당]] 계열도 이 두 선거에서 30% 이상을 받을 만큼 만만찮은 세력을 확보했었으며, [[1990년]] [[3당 합당]]으로 인해 김영삼과 [[통일민주당]]이 보수세력에 편입되면서 보수세가 더욱 강해졌고, 이는 30년이 지난 2020년대인 현재로 이어지고 있다. 사실 이런 민심의 흐름은 다른 부울경 지역들도 마찬가지였지만 마산이 가장 극적인 변화를 보였는데, 실제로 부산,울산 및 동부경남 일대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영향으로 [[민주당계 정당]]이 40% 정도 지지세를 확보하고 있지만, 마산에서는 이전보다 세가 강해졌긴 하나 30%p대의 지지세에 머문 상황이다. 이는 섬유산업의 몰락과 이로 인해 타지 출신 노동자의 유출, 그리고 3당 합당으로 인한 보수화가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즉 그나마 보수세를 중화할 외지인도 감소했는데 보수화까지 일어나니 보수세가 강해진 것이다.[* 주력 산업의 쇠퇴로 인해 보수화된 지역의 예시론 미국에도 [[러스트 벨트]]의 사례가 있다. 다만 해당 지역인 경우는 민주당 강세 지역이였다가 경합지역이 되었다는 차이점이 있다.] 다만 2000년대를 기점으로 구도심을 제외한 미개발지가 신시가지로 개발되며 이로 인해 외지인이 유입되면서 옆 지역보다 보수세가 약해졌는데, 이 신시가지가 바로 [[내서읍]]과 [[창원 메트로시티]]로 대표되는 양덕2동이다. 특히 두 지역은 비교적 거주하는 연령대가 젊고, 이들 두 행정동에 사는 인구가 마산회원구의 인구 중 절반을 차지하기에 해당 지역의 보수세 약화에 확실히 기여했다. 하지만 이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 특히 회원동,석전동 등 구도심 지역인 경우는 마산합포구와 엇비슷한 보수세를 보여주고 있기에 창원시에서 옆 지역인 마산합포구와 보수세 TOP 1,2를 다투는 경우가 많았으며, 실제로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당시 보수정당인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의 지지세가 2:1 정도로 [[창원시]] 구창원/구진해 지역은 물론 부산광역시,울산광역시 전체에 비해서도 보수정당 득표율이 높았으며 서부경남에 있는 [[진주시]]와 [[함안군]],[[남해군]] 등 일부 군 지역과 득표율이 엇비슷했다. 이곳에서 국회의원을 역임한 자로는 [[강삼재]], [[안홍준]], [[윤한홍]]이 있다. 특히 1980~1990년대에 내리 4선을 역임한 강삼재 의원은 인지도가 높은 정치인이다. 아이러니하게 강삼재 의원은 [[동교동계]]로 국회에 들어와 [[상도동계]]로 노선을 전환한 케이스로, [[1997년]] 대선 당시 [[김대중]] 전 대통령 비자금 문제를 폭로할 정도로 민주당계와 사이가 안 좋았으면서도 [[2012년]] 이후 민주당 및 문재인을 지지했다. 그가 정계를 떠나고 안홍준 전 의원이 지역구를 이어받아 3연임을 했으며, 2016년 공천 때 윤한홍에 밀려 컷오프되어 지금에 이른다. 워낙 보수 세가 강한 지역이기에, 민주당이나 무소속 후보 대신 보수 정당 내에서 유권자들이 세대 교체를 주도하는 식으로 의원직이 대물림되고 있는 상황. 다만 위의 신도심 지역으로 인해 민주당세도 서서히 강해지고 있는데다, [[하귀남]] 후보가 해당 지역구에서 수차례 도전한 결과 민주당세가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선 35% 정도인 득표율이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선 38%,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선 43%로 당선자인 [[윤한홍]] 후보와 불과 4.1% 격차로 석패를 하는데까지 이른다. 20대 총선에서 민주당이 선전한 데 이어, 이듬해 열린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박근혜 대통령 탄핵|탄핵 이슈]]에 영향을 받아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를 누를 수 있을 것이란 전망까지 나왔는데, 결과는 약 8%(33.07% vs 41.39%)라는 적지 않은 격차로 홍준표가 승리를 가져갔다. 8%까지 좁힌 것은 이전에 비하면 상당한 선전이지만,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국정농단]] 직후의 선거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마산이 아직은 보수세가 강한 동네인 걸 재증명하였다. 앞에서 언급한 내서읍에서는 63표, 양덕2동에선 1030표 차이로 [[홍준표]]가 이겼기 때문이다. 물론 나머지 시내지역은 합포구와 거의 비슷한 '''16% 차이'''로 [[문재인]] 후보가 대패했다. 8.32%(총득표수), 11.04%(관내투표), 16.22%(시내)라는 큰 격차는 당분간 마산회원구의 정치 성향이 쉽게 바뀌지 않는다는 걸 보여주는데 왜냐하면 마산은 한때 부산과 함께 [[4.19 혁명]], [[부마항쟁]], [[6월 항쟁]], [[김영삼]] 지역 기반이라는 정치 역사를 상당 부분 공유함에도 부산과는 전혀 다른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마산회원구의 세대별 인구 분포는 부산의 부산진구, 동래구, 남구 등지와 비슷하기 때문에, 인구 구조를 고려하면 적어도 의창구, 진해구와 비슷한 결과가 나왔어야 했다. 그러나 결과는 홍준표의 8% 차이 승리였다. 특히 비교적 연령대가 낮은 내서읍에서조차도 근소한 격차로 홍준표가 이겼기에 이 지역의 보수세가 동부경남 지역보단 상대적으로 높았다는 게 증명되었다. 다만 문재인 정부의 허니문 선거였던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선 민주당이 해당 지역에서 경합세가 강해지기도 했다. 시의원과 광역의원 선거에서 무려 3석, 2석를 확보했고, 시장 선거나 도지사 선거에서도 각각 민주당의 [[허성무]], [[김경수]] 후보가 승리했다. 도지사 선거의 경우 관내에서는 김태호 후보가 김경수 후보를 약 0.55% 차로 이겼는데[* 이는 지난 19대 대선에서 경상남도 전체와 창원시의 문재인 vs 홍준표 득표율 격차와 비슷하다. 즉, 아주 간발의 차이로 자유한국당이 승리했다는 의미.], 관외투표에서 역전되어 약 2.36% 차이로 김경수 후보가 근소한 승리를 거두었다. 광역비례에서도 더불어민주당 42.44%, 자유한국당 43.21%로 거의 비등한 결과가 나왔다. 마산에서 [[민주당계 정당]]의 승리는 [[3당 합당]] 이후 처음이었다. 그러나 영남권에서 문재인 정부에 대한 반감이 심해진 이후로는 보수세가 강해지기 시작했다.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2020년 21대 총선에서 윤한홍 vs 하귀남 리턴매치에서는 하귀남 후보가 42%를 받아서 선전했지만, 격차는 15%로 20대 총선 때보다 3배로 벌어졌다. 내서읍에서 5.9%p, 양덕2동에서 14.9%p 차이로 패한 게 결정적이였다. 또한 비례대표에서도 [[미래한국당]]이 50%를 넘는 득표율을 보여줘서 박근혜 탄핵 이전의 상황으로 돌아간 상황이다. 그리고 마침내 [[2022년]] [[20대 대선]]에서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62.34%를 얻어 33.50%에 그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무려 28.84% 차로 압도함으로써 보수세가 돌아온 게 증명되었다. 그나마 여기서 민주당세가 제일 강한 내서읍에서도 20%p에 가까운 격차로 누른 건 덤이다. 그리고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선 박완수 후보가 70% 이상을 득표하며, 26%를 받은 양문석 후보를 트리플스코어에 가까운 격차로 눌렀고 광역의회 3곳을 전부 국민의힘이 싹쓸이 했다. 한편 2023년 기준 의창구 다음으로 가장 인구 유출이 많은 지역구인데, 그나마 택지지구 개발과 군수/기계부품 산업이 버티고 있는 마산합포구, 굵직굵직한 대기업이 밀집한 성산구,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이 위치하고 여좌동에 첨단산업단지 유치를 에정한 진해구와 달리 별 다른 계획이 없기 때문이다. == 역대 선거 결과 == === 지방선거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경상남도지사]] ===== ||<-4> [[창원시 마산회원구(선거구)|{{{#ffffff {{{+1 '''창원시 마산회원구'''}}}}}}]][br]{{{#ffffff 마산회원구 일원[*창원마산회원 석전동, 회성동, 봉암동, 구암1동, 구암2동, 양덕1동, 양덕2동, 합성1동, 합성2동, 회원1동, 회원2동, 내서읍]}}}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include(틀:바른미래당)] || || '''후보''' || [[김경수|{{{#ffffff '''김경수'''}}}]] || [[김태호(1962)|{{{#ffffff '''김태호'''}}}]] || [[김유근(1974)|{{{#ffffff '''김유근'''}}}]] || || '''득표수''' || '''52,918''' || 50,373 || 4,628 || || '''득표율''' || '''49.03%''' || 46.67% || 4.28% || || '''순위''' || '''1위''' || 2위 || 3위 || ||<|5> '''계''' || || '''선거인 수''' ||<-2> 166,500 || || '''투표 수''' ||<-2> 109,609 || || '''무효표 수''' ||<-2> 1,690 || || '''투표율''' ||<-2> 65.83% || ||<:><-6> {{{#FFFFFF '''7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include(틀:바른미래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김경수|{{{#FFFFFF '''김경수'''}}}]] ||<:> [[김태호(1962)|{{{#FFFFFF '''김태호'''}}}]] ||<:> [[김유근(1974)|{{{#FFFFFF '''김유근'''}}}]]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52,918 [br] (49.03%)'''}}} ||<:> '''50,373 [br] (46.67%)''' ||<:> '''4,628 [br] (4.28%)''' ||<:> '''+2,545 [br] (△2.36)''' ||<:> '''65.83%''' || || '''내서읍''' ||<:> {{{#004EA2 '''54.38%'''}}} ||<:> 41.50% ||<:> 4.12% ||<:> △'''12.88''' ||<:> 65.83 || || '''회원1동''' ||<:> 37.06% ||<:> {{{#C9151E '''59.60%'''}}} ||<:> 3.34% ||<:> {{{#808080 ▼'''22.54'''}}} ||<:> 60.77 || || '''회원2동''' ||<:> 39.06% ||<:> {{{#C9151E 57.15%}}} ||<:> 3.79% ||<:> {{{#808080 ▼18.09}}} ||<:> 57.84 || || '''석전동''' ||<:> 41.20% ||<:> {{{#C9151E 55.34%}}} ||<:> 3.46% ||<:> {{{#808080 ▼14.14}}} ||<:> 60.95 || || '''회성동''' ||<:> 38.03% ||<:> {{{#C9151E 57.74%}}} ||<:> 4.23% ||<:> {{{#808080 ▼19.71}}} ||<:> 62.65 || || '''양덕1동''' ||<:> 43.85% ||<:> {{{#C9151E 52.51%}}} ||<:> 3.64% ||<:> {{{#808080 ▼8.66}}} ||<:> 58.90 || || '''양덕2동''' ||<:> {{{#004EA2 49.93%}}} ||<:> 45.74% ||<:> 4.33% ||<:> △4.19 ||<:> 68.14 || || '''합성1동''' ||<:> 44.14% ||<:> {{{#C9151E 51.41%}}} ||<:> 4.45% ||<:> {{{#808080 ▼7.27}}} ||<:> 58.80 || || '''합성2동''' ||<:> 43.04% ||<:> {{{#C9151E 53.21%}}} ||<:> 3.75% ||<:> {{{#808080 ▼10.17}}} ||<:> 58.90 || || '''구암1동''' ||<:> 45.36% ||<:> {{{#C9151E 50.27%}}} ||<:> 4.37% ||<:> {{{#808080 ▼4.91}}} ||<:> 62.02 || || '''구암2동''' ||<:> 47.17% ||<:> {{{#C9151E 48.25%}}} ||<:> '''4.58%''' ||<:> {{{#808080 ▼1.08}}}[* 불과 '''56표''' 차이였다.] ||<:> 62.87 || || '''봉암동''' ||<:> 45.71% ||<:> {{{#C9151E 50.19%}}} ||<:> 4.10% ||<:> {{{#808080 ▼4.48}}}[* 불과 '''82표''' 차이였다.] ||<:> 55.35 || || '''후보''' ||<:> [[김경수|{{{#004EA2 '''김경수'''}}}]] ||<:> [[김태호(1962)|{{{#C9151E '''김태호'''}}}]] ||<:> [[김유근(1974)|{{{#00B4B4 '''김유근'''}}}]]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48.92%}}} ||<:> '''39.93%''' ||<:> '''11.15%''' ||<:> △8.99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61.04%'''}}} ||<:> 32.74% ||<:> 6.22% ||<:> △'''28.30''' ||<:> || 김경수 후보는 내서읍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졌지만, 내서읍이 구 내 인구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는 지역인데다 거기서 13%p란 넉넉한 격차로 이겨서 다른 지역에서의 열세를 다 메꿨다. 이로써 3당 합당 이후 '''최초로 민주당계 정당이 여기서 승리를 거뒀다.''' ===== [[창원시장]] ===== ||<-4> [[창원시|{{{#ffffff {{{+1 '''창원시'''}}}}}}]][br]{{{#ffffff 창원시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허성무]](許成武)''' || '''266,233'''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8.02%''' || '''당선''' || ||<|2> {{{#ffffff {{{+5 '''2'''}}}}}} || [[조진래]](趙辰來) || 166,398 || 2위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30.01% || 낙선 || ||<|2> {{{#ffffff {{{+5 '''3'''}}}}}} || [[정규헌(1967)|정규헌]](鄭圭憲) || 14,966 || 4위 || || [include(틀:바른미래당)] || 2.69% || 낙선 || ||<|2> {{{#ffffff {{{+5 '''6'''}}}}}} || [[석영철]](石永喆) || 9,613 || 6위 || || [include(틀:민중당)] || 1.73% || 낙선 || ||<|2> {{{#ffffff {{{+5 '''7'''}}}}}} || [[안상수(창원)|안상수]](安商守) || 84,984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5.33% || 낙선 || ||<|2> {{{#ffffff {{{+5 '''8'''}}}}}} || 이기우(李基雨) || 12,133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2.5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866,134 ||<|3> '''투표율'''[br]65.09% || || '''투표 수''' || 563,729 || || '''무효표 수''' || 9,402 || ||<-6> {{{#ffffff '''7회 지선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경남 창원 마산회원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include(틀:무소속)]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허성무|{{{#ffffff '''허성무'''}}}]] || [[조진래|{{{#ffffff '''조진래'''}}}]] || [[안상수(창원)|{{{#ffffff '''안상수'''}}}]]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46,911 [br] (43.58%)'''}}} || '''36,392 [br] (33.81%)''' || '''18,964 [br] (17.62%)''' || '''+10,519 [br] (△9.77)''' || '''109,604 [br] (65.83%)''' || || '''내서읍''' || {{{#004ea2 '''48.38%'''}}} || 30.75% || 16.18% || △17.63 || 65.85 || || '''회원1동''' || 32.81% || {{{#c9151e '''43.46%'''}}} || 19.76% || {{{#808080 ▼'''10.65'''}}} || 60.80 || || '''회원2동''' || 35.94% || {{{#c9151e 41.16%}}} || 19.06% || {{{#808080 ▼5.22}}} || 57.84 || || '''석전동''' || 36.40% || {{{#c9151e 39.42%}}} || 19.94% || {{{#808080 ▼3.02}}} || 60.97 || || '''회성동''' || 32.91% || {{{#c9151e 39.76%}}} || '''22.41%''' || {{{#808080 ▼6.85}}} || 62.65 || || '''양덕1동''' || {{{#004ea2 39.54%}}} || 37.68% || 18.13% || △1.86[* 불과 '''107표''' 차였다.] || 58.91 || || '''양덕2동''' || {{{#004ea2 43.34%}}} || 32.58% || 19.14% || △10.76 || 68.15 || || '''합성1동''' || {{{#004ea2 39.41%}}} || 37.49% || 17.98% || △1.92[* 불과 '''68표''' 차였다.] || 58.79 || || '''합성2동''' || 38.72% || {{{#c9151e 40.19%}}} || 17.20% || {{{#808080 ▼1.47}}}[* 불과 '''67표''' 차였다.] || 58.87 || || '''구암1동''' || {{{#004ea2 40.55%}}} || 37.64% || 16.39% || △2.91 || 62.05 || || '''구암2동''' || {{{#004ea2 43.09%}}} || 34.39% || 16.91% || △8.70 || 62.90 || || '''봉암동''' || {{{#004ea2 39.48%}}} || 37.12% || 18.01% || △2.36[* 불과 '''43표''' 차였다.] || 55.38 || || '''후보''' || [[허성무|{{{#004ea2 '''허성무'''}}}]] || [[조진래|{{{#c9151e '''조진래'''}}}]] || [[안상수(창원)|{{{#808080 '''안상수'''}}}]]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37.63%}}} || 24.39% || 26.83% || △10.80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55.03%'''}}} || 22.71% || 15.08% || △'''32.32''' ||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경상남도지사]] ===== ||<-4> [[창원시 마산회원구(선거구)|{{{#ffffff {{{+1 '''창원시 마산회원구'''}}}}}}]][br]{{{#ffffff 마산회원구 일원}}}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include(틀:정의당)] || || '''후보''' || [[양문석(정치인)|{{{#ffffff '''양문석'''}}}]] || [[박완수|{{{#ffffff '''박완수'''}}}]] || [[여영국|{{{#000000 '''여영국'''}}}]] || || '''득표수''' || 22,063 || '''59,376''' || 2,601 || || '''득표율''' || 26.15% || '''70.38%''' || 3.08% || || '''순위''' || 2위 || '''1위''' || 3위 || ||<|5> '''계''' || || '''선거인 수''' ||<-2> 159,983 || || '''투표 수''' ||<-2> 85,597 || || '''무효표 수''' ||<-2> 1,233 || || '''투표율''' ||<-2> 53.50% || ||<:><-6> {{{#FFFFFF '''8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include(틀:정의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양문석(정치인)|{{{#FFFFFF '''양문석'''}}}]] ||<:> [[박완수|{{{#FFFFFF '''박완수'''}}}]] ||<:> [[여영국|{{{#000000 '''여영국'''}}}]]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22,063 [br] (26.15%)''' ||<:> '''{{{#FFFFFF 59,376 [br] (70.38%)}}}''' ||<:> '''2,601 [br] (3.08%)''' ||<:> '''-37,313 [br] (▼44.23)''' ||<:> '''53.50%''' || || '''내서읍''' ||<:> '''30.81%''' ||<:> {{{#E61E2B 65.72%}}} ||<:> 3.10% ||<:> ▼34.91 ||<:> 50.90 || || '''회원1동''' ||<:> 18.47% ||<:> '''{{{#E61E2B 78.92%}}}''' ||<:> 2.18% ||<:> ▼'''60.45''' ||<:> 52.71 || || '''회원2동''' ||<:> 21.51% ||<:> {{{#E61E2B 74.79%}}} ||<:> 3.29% ||<:> ▼53.28 ||<:> 47.97 || || '''석전동''' ||<:> 23.22% ||<:> {{{#E61E2B 73.37%}}} ||<:> 2.96% ||<:> ▼50.15 ||<:> 51.88 || || '''회성동''' ||<:> 19.17% ||<:> {{{#E61E2B 78.29%}}} ||<:> 2.21% ||<:> ▼59.12 ||<:> 51.42 || || '''양덕1동''' ||<:> 21.94% ||<:> {{{#E61E2B 75.09%}}} ||<:> 2.54% ||<:> ▼53.15 ||<:> 47.97 || || '''양덕2동''' ||<:> 26.15% ||<:> {{{#E61E2B 70.32%}}} ||<:> 3.19% ||<:> ▼44.17 ||<:> 53.60 || || '''합성1동''' ||<:> 23.66% ||<:> {{{#E61E2B 73.26%}}} ||<:> 2.79% ||<:> ▼49.60 ||<:> 49.15 || || '''합성2동''' ||<:> 20.29% ||<:> {{{#E61E2B 76.80%}}} ||<:> 2.58% ||<:> ▼56.52 ||<:> 50.07 || || '''구암1동''' ||<:> 23.91% ||<:> {{{#E61E2B 72.59%}}} ||<:> 3.07% ||<:> ▼48.68 ||<:> 52.67 || || '''구암2동''' ||<:> 25.47% ||<:> {{{#E61E2B 70.56%}}} ||<:> 3.39% ||<:> ▼45.09 ||<:> 50.03 || || '''봉암동''' ||<:> 21.66% ||<:> {{{#E61E2B 74.64%}}} ||<:> '''3.42%''' ||<:> ▼52.98 ||<:> 48.13 || || '''후보''' ||<:> [[양문석(정치인)|{{{#004EA2 '''양문석'''}}}]] ||<:> [[박완수|{{{#E61E2B '''박완수'''}}}]] ||<:> [[여영국|{{{#FFCC00 '''여영국'''}}}]]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26.69% ||<:> '''{{{#E61E2B 67.57%}}}''' ||<:> '''5.07%''' ||<:> ▼'''40.88''' ||<:> || || '''관외사전투표''' ||<:> '''31.89%''' ||<:> {{{#E61E2B 63.61%}}} ||<:> 4.15% ||<:> ▼31.72 ||<:> || [[창원시 마산합포구|옆 선거구]]와 마찬가지로 [[국민의힘]] [[박완수]] 후보가 '''7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함으로써 [[더불어민주당]] [[양문석(정치인)|양문석]] 후보를 제대로 눌렀다. 특히 일부 지역에선 '''80%'''에 육박하는 득표율을 기록해 TK급 득표율이 나오기도 했다. ===== [[창원시장]] ===== ||<-3> [[마산회원구|{{{#ffffff {{{+1 '''창원시 마산회원구'''}}}}}}]][br]{{{#ffffff 마산회원구 일원}}}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 '''후보''' || [[허성무|{{{#ffffff '''허성무'''}}}]] || [[홍남표|{{{#ffffff '''홍남표'''}}}]] || || '''득표수''' || 31,380 || '''52,723''' || || '''득표율''' || 37.31% || '''62.68%''' || || '''순위''' || 2위 || '''1위''' || ||<|5> '''계''' || || '''선거인 수''' || 159,983 || || '''투표 수''' || 85,597 || || '''무효표 수''' || 1,494 || || '''투표율''' || 53.50% || ||<:><-5> {{{#FFFFFF '''8회 지선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허성무|{{{#FFFFFF '''허성무'''}}}]] ||<:> [[홍남표|{{{#FFFFFF '''홍남표'''}}}]]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31,380 [br] (37.31%)''' || {{{#FFFFFF '''52,723 [br] (62.68%)'''}}} || '''-21,343 [br] (▼25.37)''' || '''53.50%''' || || '''내서읍''' || '''41.91%''' || {{{#E61E2B 58.09%}}} || ▼16.18 || 50.89 || || '''회원1동''' || 27.29% || '''{{{#E61E2B 72.71%}}}''' || ▼'''45.42''' || 52.73 || || '''회원2동''' || 32.66% || {{{#E61E2B 67.34%}}} || ▼34.68 || 47.95 || || '''석전동''' || 34.65% || {{{#E61E2B 65.35%}}} || ▼30.70 || 51.89 || || '''회성동''' || 30.02% || {{{#E61E2B 69.98%}}} || ▼39.96 || 51.44 || || '''양덕1동''' || 32.97% || {{{#E61E2B 67.03%}}} || ▼34.06 || 48.02 || || '''양덕2동''' || 38.07% || {{{#E61E2B 61.93%}}} || ▼23.86 || 53.63 || || '''합성1동''' || 34.09% || {{{#E61E2B 65.91%}}} || ▼31.82 || 49.19 || || '''합성2동''' || 30.35% || {{{#E61E2B 69.65%}}} || ▼39.30 || 50.09 || || '''구암1동''' || 35.19% || {{{#E61E2B 64.81%}}} || ▼29.62 || 52.67 || || '''구암2동''' || 37.11% || {{{#E61E2B 62.89%}}} || ▼25.78 || 50.06 || || '''봉암동''' || 34.09% || {{{#E61E2B 62.91%}}} || ▼28.82 || 48.09 || || '''후보''' || [[허성무|{{{#004EA2 '''허성무'''}}}]] || [[홍남표|{{{#E61E2B '''홍남표'''}}}]]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38.57% || {{{#E61E2B '''61.43%'''}}} || ▼22.86 || || || '''관외사전투표''' || '''43.53%''' || {{{#E61E2B 56.47%}}} || ▼12.94 || || === 대선 === ==== [[제18대 대통령 선거]] ==== ||<-3> [[창원시 성산구(선거구)|{{{#ffffff {{{+1 '''창원시 마산회원구'''}}}}}}]][br]{{{#ffffff 마산회원구 일원}}}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민주통합당)] || || '''후보''' || [[박근혜|{{{#ffffff '''박근혜'''}}}]] || [[문재인|{{{#3AB34A '''문재인'''}}}]] || || '''득표수''' || '''91,940''' || 45,353 || || '''득표율''' || '''66.74%''' || 32.92% || || '''순위''' || '''1위''' || 2위 || ||<|4> '''계''' || '''선거인 수''' || 176,017 || || '''투표 수''' || 138,388 || || '''무효표 수''' || 631 || || '''투표율''' || 78.62% || ||<-5> {{{#ffffff '''18대 대선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민주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박근혜|{{{#ffffff '''박근혜'''}}}]] || [[문재인|{{{#3AB34A '''문재인'''}}}]]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91,940 [br] (66.74%)'''}}} || '''45,353 [br] (32.92%)''' || '''+46,587 [br] (△33.82)''' || '''78.62%''' || || '''내서읍''' || {{{#c9252b 62.71%}}} || '''36.98%''' || △25.73 || 80.91 || || '''회원1동''' || {{{#c9252b '''74.54%'''}}} || 25.22% || △'''49.32''' || 76.74 || || '''회원2동''' || {{{#c9252b 72.59%}}} || 27.08% || △45.51 || 75.30 || || '''석전1동''' || {{{#c9252b 70.66%}}} || 28.96% || △41.70 || 77.15 || || '''석전2동''' || {{{#c9252b 71.57%}}} || 28.05% || △43.52 || 76.40 || || '''회성동''' || {{{#c9252b 73.13%}}} || 26.39% || △46.74 || 75.36 || || '''양덕1동''' || {{{#c9252b 68.06%}}} || 31.61% || △36.45 || 76.05 || || '''양덕2동''' || {{{#c9252b 66.17%}}} || 33.57% || △32.60 || 81.07 || || '''합성1동''' || {{{#c9252b 70.07%}}} || 29.60% || △40.47 || 75.41 || || '''합성2동''' || {{{#c9252b 69.53%}}} || 30.23% || △39.30 || 73.93 || || '''구암1동''' || {{{#c9252b 66.86%}}} || 32.80% || △34.06 || 77.90 || || '''구암2동''' || {{{#c9252b 65.53%}}} || 34.13% || △31.40 || 78.72 || || '''봉암동''' || {{{#c9252b 69.25%}}} || 30.64% || △38.61 || 71.44 || || '''후보''' || [[박근혜|{{{#c9252b '''박근혜'''}}}]] || [[문재인|{{{#ffd400 '''문재인'''}}}]] || '''격차''' || || || '''국외부재자투표''' || 41.97% || {{{#ffd400 '''57.77%'''}}} || {{{#808080 ▼'''15.80'''}}} || || || '''국내부재자투표''' || {{{#c9252b '''53.04%'''}}} || 45.92% || △7.12 || || ==== [[제19대 대통령 선거]] ==== ||<-6> [[마산회원구|{{{#ffffff {{{+1 '''창원시 마산회원구'''}}}}}}]][br]{{{#ffffff 마산회원구 일원}}}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include(틀:바른정당)] || [include(틀:정의당(2013~2021))] || || '''후보''' || [[문재인|{{{#ffffff '''문재인'''}}}]] || [[홍준표|{{{#ffffff '''홍준표'''}}}]] || [[안철수|{{{#ffffff '''안철수'''}}}]] || [[유승민|{{{#ffffff '''유승민'''}}}]] || [[심상정|{{{#000000 '''심상정'''}}}]] || || '''득표수''' || 45,014 || '''56,340''' || 17,744 || 9,228 || 7,132 || || '''득표율''' || 33.07% || '''41.39%''' || 13.03% || 6.78% || 5.24% || || '''순위''' || 2위 || '''1위''' || 3위 || 4위 || 5위 || ||<|5> '''계''' || ||<-3> '''선거인 수''' ||<-2> 172,306 || ||<-3> '''투표 수''' ||<-2> 136,757 || ||<-3> '''무효표 수''' ||<-2> 665 || ||<-3> '''투표율''' ||<-2> 79.37% || ||<:><-8> {{{#FFFFFF '''19대 대선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include(틀:바른정당)] ||<:> [include(틀:정의당(2013~2021))]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문재인|{{{#FFFFFF '''문재인'''}}}]] ||<:> [[홍준표|{{{#FFFFFF '''홍준표'''}}}]] ||<:> [[안철수|{{{#FFFFFF '''안철수'''}}}]] ||<:> [[유승민|{{{#FFFFFF '''유승민'''}}}]] ||<:> [[심상정|{{{#000000 '''심상정'''}}}]]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45,014 [br] (33.07%)''' ||<:> {{{#FFFFFF '''56,340 [br] (41.39%)'''}}} ||<:> '''17,744 [br] (13.03%)''' ||<:> '''9,228 [br] (6.78%)''' ||<:> '''7,132 [br] (5.24%)''' ||<:> '''-11,326 [br] (▼8.32)''' ||<:> '''79.37%''' || || '''내서읍''' ||<:> '''36.62%''' ||<:> {{{#C9151E 36.78%}}} ||<:> 13.41% ||<:> '''7.19%''' ||<:> '''5.59%''' ||<:> {{{#808080 ▼0.16}}}[* 불과 '''63표''' 차이였다.] ||<:> 79.96 || || '''회원1동''' ||<:> 24.79% ||<:> {{{#C9151E 53.95%}}} ||<:> 11.86% ||<:> 5.21% ||<:> 3.71% ||<:> {{{#808080 ▼'''29.16'''}}} ||<:> 75.26 || || '''회원2동''' ||<:> 26.38% ||<:> {{{#C9151E 53.50%}}} ||<:> 10.22% ||<:> 5.34% ||<:> 4.13% ||<:> {{{#808080 ▼27.12}}} ||<:> 73.0 || || '''석전동''' ||<:> 27.52% ||<:> {{{#c9151e 50.21%}}} ||<:> 11.65% ||<:> 5.68% ||<:> 4.45% ||<:> {{{#808080 ▼22.69}}} ||<:> 75.40 || || '''회성동''' ||<:> 26.11% ||<:> {{{#c9151e '''54.0%'''}}} ||<:> 10.50% ||<:> 5.0% ||<:> 3.74% ||<:> {{{#808080 ▼27.89}}} || 74.34 || || '''양덕1동''' ||<:> 30.72% ||<:> {{{#c9151e 46.21%}}} ||<:> 11.78% ||<:> 6.43% ||<:> 4.41% ||<:> {{{#808080 ▼15.49}}} ||<:> 73.73 || || '''양덕2동''' ||<:> 34.39% ||<:> {{{#c9151e 39.42%}}} ||<:> '''13.88%''' ||<:> 7.10% ||<:> 4.88% ||<:> {{{#808080 ▼5.03}}} ||<:> 82.28 || || '''합성1동''' ||<:> 29.69% ||<:> {{{#c9151e 46.78%}}} ||<:> 12.61% ||<:> 5.83% ||<:> 4.55% ||<:> {{{#808080 ▼17.09}}} ||<:> 73.55 || || '''합성2동''' ||<:> 28.51% ||<:> {{{#c9151e 47.55%}}} ||<:> 12.55% ||<:> 5.76% ||<:> 5.21% ||<:> {{{#808080 ▼19.04}}} ||<:> 73.30 || || '''구암1동''' ||<:> 31.36% ||<:> {{{#c9151e 45.27%}}} ||<:> 12.22% ||<:> 5.39% ||<:> 5.21% ||<:> {{{#808080 ▼13.91}}} ||<:> 76.66 || || '''구암2동''' ||<:> 33.29% ||<:> {{{#c9151e 42.16%}}} ||<:> 12.24% ||<:> 6.83% ||<:> 5.0% ||<:> {{{#808080 ▼8.87}}} ||<:> 77.64 || || '''봉암동''' ||<:> 32.68% ||<:> {{{#c9151e 44.74%}}} ||<:> 12.65% ||<:> 4.90% ||<:> 4.44% ||<:> {{{#808080 ▼12.06}}} ||<:> 70.61 || || '''후보''' ||<:> [[문재인|{{{#004ea2 '''문재인'''}}}]] ||<:> [[홍준표|{{{#C9151E '''홍준표'''}}}]] ||<:> [[안철수|{{{#006241 '''안철수'''}}}]] ||<:> [[유승민|{{{#00B1EB '''유승민'''}}}]] ||<:> [[심상정|{{{#FFCC00 '''심상정'''}}}]] || 격차 || || || '''거소 및 선상투표''' ||<:> 26.04% ||<:> {{{#c9151e '''37.08%'''}}} ||<:> '''22.71%''' ||<:> 9.79% ||<:> 2.71% ||<:> {{{#808080 ▼'''11.04'''}}}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39.62%}}} ||<:> 25.97% ||<:> 15.85% ||<:> 9.88% ||<:> 8.0% ||<:> △13.65 || || || '''재외투표''' ||<:> {{{#004ea2 '''53.95%'''}}} ||<:> 8.10% ||<:> 19.37% ||<:> 6.32% ||<:> 11.86% ||<:> △'''34.58''' || || ==== [[제20대 대통령 선거]] ==== ||<-3> [[마산회원구|{{{#ffffff {{{+1 '''창원시 마산회원구'''}}}}}}]][br]{{{#ffffff 마산회원구 일원}}}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 '''후보''' || [[이재명|{{{#ffffff '''이재명'''}}}]] || [[윤석열|{{{#ffffff '''윤석열'''}}}]] || || '''득표수''' || 41,527 || '''77,282''' || || '''득표율''' || 33.50% || '''62.34%''' || || '''순위''' || 2위 || '''1위''' || ||<|5> '''계''' || || '''선거인 수''' || 160,587 || || '''투표 수''' || 125,233 || || '''무효표 수''' || 1,272 || || '''투표율''' || 77.98% || ||<:><-5> {{{#FFFFFF '''20대 대선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이재명|{{{#FFFFFF '''이재명'''}}}]] ||<:> [[윤석열|{{{#FFFFFF '''윤석열'''}}}]]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41,527 [br] (33.50%)''' || {{{#FFFFFF '''77,282 [br] (62.34%)'''}}} || '''-35,755 [br] (▼28.84)''' || '''77.98%''' || || '''내서읍''' || '''38.11%''' || {{{#E61E2B 57.55%}}} || ▼19.43 || 75.94 || || '''회원1동''' || 25.89% || {{{#E61E2B 70.45%}}} || ▼44.56 || 75.49 || || '''회원2동''' || 29.35% || {{{#E61E2B 66.82%}}} || ▼37.47 || 73.95 || || '''석전동''' || 30.73% || {{{#E61E2B 65.29%}}} || ▼34.56 || 76.01 || || '''회성동''' || 25.75% || {{{#E61E2B '''70.55%'''}}} || ▼'''44.79''' || 74.57 || || '''양덕1동''' || 29.60% || {{{#E61E2B 66.15%}}} || ▼36.55 || 72.97 || || '''양덕2동''' || 32.86% || {{{#E61E2B 63.60%}}} || ▼30.74 || 79.39 || || '''합성1동''' || 31.82% || {{{#E61E2B 64.60%}}} || ▼32.78 || 75.70 || || '''합성2동''' || 27.33% || {{{#E61E2B 68.42%}}} || ▼41.09 || 73.65 || || '''구암1동''' || 31.44% || {{{#E61E2B 64.24%}}} || ▼32.98 || 76.69 || || '''구암2동''' || 33.43% || {{{#E61E2B 62.16%}}} || ▼28.73 || 74.86 || || '''봉암동''' || 31.28% || {{{#E61E2B 65.30%}}} || ▼34.03 || 72.23 || || '''후보''' || [[이재명|{{{#004EA2 '''이재명'''}}}]] || [[윤석열|{{{#E61E2B '''윤석열'''}}}]]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30.04% || {{{#E61E2B '''62.01%'''}}} || ▼31.97 || || || '''관외사전투표''' || 37.94% || {{{#E61E2B 56.86%}}} || ▼18.92 || || || '''재외투표''' || '''{{{#004EA2 61.67%}}}''' || 32.84% || △28.83 || || === 총선 === ||<-8> {{{#FFFFFF '''21대 총선 마산회원구 개표 결과'''}}} || ||<-8> {{{#FFFFFF '''국회의원 선거'''}}}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하귀남|{{{#FFFFFF 하귀남}}}]] || [[윤한홍|{{{#FFFFFF '''윤한홍'''}}}]]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48,018 [br] (41.95%)''' || {{{#FFFFFF '''64,581 [br] (56.42%)'''}}} || '''- 16,563 [br] (▼14.47)''' || '''115,805 [br] (70.21%)''' || ||<-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회원1동''' || {{{#696969 32.32%}}} || {{{#EF426F '''65.89%'''}}} || {{{#696969 ▼33.57}}} || 67.15 || || '''회원2동''' || 33.04% || {{{#EF426F 65.39%}}} || ▼32.36 || 66.00 || || '''석전동''' || 39.29% || {{{#EF426F 59.19%}}} || ▼19.90 || 69.74 || || '''회성동''' || 33.69% || {{{#EF426F 64.44%}}} || ▼30.75 || 68.08 || || '''양덕1동''' || 36.56% || {{{#EF426F 61.38%}}} || ▼24.82 || {{{#696969 63.98}}} || || '''양덕2동'''[*A ] || 41.89% || {{{#EF426F 56.82%}}} || ▼14.93 || '''72.97''' || || '''합성1동'''[*B ] || 41.11% || {{{#EF426F 57.56%}}} || ▼16.45 || 67.85 || || '''합성2동'''[*C ] || 36.03% || {{{#EF426F 62.13%}}} || ▼26.09 || 65.33 || || '''구암1동''' || 38.32% || {{{#EF426F 59.26%}}} || ▼20.94 || 67.08 || || '''구암2동''' || 41.47% || {{{#EF426F 56.47%}}} || ▼15.00 || 67.10 || || '''봉암동'''[*D ] || 39.12% || {{{#EF426F 58.74%}}} || ▼19.61 || 64.26 || || '''내서읍''' || '''46.36%''' || {{{#FF7E9D 52.26%}}} || '''▼5.90''' || 68.72 || || '''후보''' || [[하귀남|{{{#004EA2 '''하귀남'''}}}]] || [[윤한홍|{{{#EF426F 윤한홍}}}]] || (1위/2위) || || || '''거소·선상투표''' || 44.26% || {{{#EF426F 49.72%}}} || ▼5.46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53.19%}}} || 44.83% || △8.37 || || || '''재외투표''' || {{{#004EA2 69.49%}}} || 30.50% || △38.98 || || }}}}}} || ||<-8> {{{#FFFFFF '''비례대표 선거'''}}} || || '''정당''' || [include(틀:미래한국당)] || [include(틀:더불어시민당)] || [include(틀:정의당(2013~2021))] || [include(틀:국민의당)] || [include(틀:열린민주당)] || 격차 || 투표율 || || '''득표수 [br] (득표율)''' || {{{#FFFFFF '''55,369 [br] (50.02%)'''}}} || '''26,206 [br] (23.67%)''' || '''8,798 [br] (7.94%)''' || '''5,611 [br] (5.06%)''' || '''4,110 [br] (3.71%)''' || '''+ 29,163 [br] (△26.35)''' || '''115,822 [br] (70.19%)''' || ||<-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회원1동''' || {{{#EF426F 60.41%}}} || {{{#696969 17.54%}}} || 5.68% || 4.02% || 2.86% || '''△42.86''' || 67.14 || || '''회원2동''' || {{{#EF426F '''60.50%'''}}} || 19.59% || 5.02% || 3.74% || 3.11% || △40.91 || 66.00 || || '''석전동''' || {{{#EF426F 52.66%}}} || 22.32% || 7.18% || 4.46% || 3.51% || △30.34 || 69.75 || || '''회성동''' || {{{#EF426F 60.37%}}} || 18.19% || 6.76% || 3.03% || 2.87% || △42.19 || 68.08 || || '''양덕1동''' || {{{#EF426F 54.87%}}} || 21.58% || 6.37% || 4.15% || 3.13% || △33.30 || {{{#696969 64.00}}} || || '''양덕2동'''[*A ] || {{{#EF426F 50.60%}}} || 23.03% || 8.08% || 6.39% || 4.11% || △27.58 || '''72.96''' || || '''합성1동'''[*B ] || {{{#EF426F 50.83%}}} || 22.88% || 7.98% || 5.56% || 3.27% || △27.94 || 67.85 || || '''합성2동'''[*C ] || {{{#EF426F 55.94%}}} || 21.29% || 5.43% || 4.60% || 2.55% || △34.65 || 65.36 || || '''구암1동''' || {{{#EF426F 52.88%}}} || 22.24% || 7.49% || 3.75% || 2.63% || △30.63 || 67.10 || || '''구암2동''' || {{{#EF426F 50.25%}}} || 23.73% || 8.61% || 4.03% || 3.39% || △26.52 || 67.10 || || '''봉암동'''[*D ] || {{{#EF426F 51.36%}}} || 23.23% || 6.68% || 3.80% || 3.54% || △28.12 || 64.26 || || '''내서읍''' || {{{#FF7E9D 45.38%}}} || '''26.64%''' || 9.01% || 5.39% || 4.04% || {{{#696969 △18.74}}} || 68.72 || || '''정당''' || [include(틀:미래한국당)] || [include(틀:더불어시민당)] || [include(틀:정의당(2013~2021))] || [include(틀:국민의당)] || [include(틀:열린민주당)]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EF426F 45.02%}}} || 17.83% || 8.47% || 4.38% || 2.63% || △27.19 || || || '''관외사전투표''' || {{{#EF426F 37.91%}}} || 28.14% || 10.45% || 6.38% || 5.26% || △9.77 || || || '''재외투표''' || {{{#EF426F 31.88%}}} || 26.08% || 14.49% || 7.24% || 11.59% || △5.80 || || }}}}}}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창원시 마산회원구, version=205)]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마산회원구, version=475)] [[분류:경상남도의 정치]][[분류:마산회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