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스타팅 포켓몬)] [include(틀:고양이 포켓몬)] [include(틀:포켓몬스터/챔피언들의 에이스 포켓몬)] {{{#!wiki style="word-break: keep-all" ||<-3> {{{#white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 || [[파일:906MS.png|width=40]] 0906 [[나오하]] || [[파일:907MS.png|width=40]] '''{{{#000,#fff 0907 나로테}}}'''[br][[파일:908MS.png|width=40]] '''{{{#000,#fff 0908 마스카나}}}''' || [[파일:909MS.png|width=40]] 0909 [[뜨아거]] || ||<-3> {{{#white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1><-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포켓몬스터/목록/9세대#팔데아도감 목록|{{{#white 팔데아도감}}}]] || ||<-3> [[포켓몬스터/목록/9세대#팔데아도감(본토)|본토]] || || [[파일:906MS.png|width=40]] 001 [[나오하]] || [[파일:907MS.png|width=40]]'''002 나로테 '''[br] [[파일:908MS.png|width=40]]'''003 마스카나''' || [[파일:909MS.png|width=40]] 004 [[뜨아거]] || }}}}}}}}} || }}} || '''{{{+1 {{{#white 정보 내 바로가기}}}}}}''' || || [[#앵커-일러스트|일러스트]][br][[#앵커-기본 정보|기본 정보]][br][[#앵커-특성|특성]][br][[#앵커-세부 정보|세부 정보]][br][[#앵커-유전 정보|유전 정보]][br][[#앵커-진화|진화]][br][[#앵커-방어 상성|방어 상성]][br][[#앵커-종족치|종족치]][br][[#앵커-울음소리|울음소리]][br][[#앵커-도감 설명|도감 설명]][br][[#앵커-전용기|전용기]][br][[#s-2|skip]] || [목차] [clearfix] == 정보 == [anchor(앵커-일러스트)] || [[파일:907 나로테.png|width=100%]] || [[파일:908 마스카나.png|width=100%]] || || 나로테 || 마스카나 || [anchor(앵커-기본 정보)] ||<-3> {{{#white 기본 정보}}} || || 이름 || 도감 번호 || [[포켓몬스터/타입|{{{#white 타입}}}]] || || [[파일:907MS.png|width=50]][br]'''나로테''' [br] ニャローテ(냐로테) [br] Floragato || 전국: 0907[br]팔데아: 002 || [include(틀:풀타입)] || || [[파일:908MS.png|width=50]][br]'''마스카나''' [br] マスカーニャ(마스카냐) [br] Meowscarada || 전국: 0908[br]팔데아: 003 || [include(틀:풀타입)][br][include(틀:악타입)] || [anchor(앵커-특성)] ||<-3> [[포켓몬스터/특성|{{{#white 특성}}}]][br]{{{#white (숨겨진 특성은 *)}}} || ||<|2> (공통) || [[포켓몬스터/특성/ㅅ#심록|심록]] || 자신의 현재 HP가 1/3 이하일 때 풀타입 기술의 위력이 1.5배 증가한다. || || *[[포켓몬스터/특성/ㅂ#변환자재|변환자재]][* 같은 스타팅 포켓몬인 [[개굴닌자]] 계열과 겹친다. 마침 2번째 타입이 '''악타입'''이라는 점 역시 동일.] || '''배틀에 나올 때마다 단 한 번''' 자신이 사용한 기술과 같은 타입으로 변화한다.[* [[포켓몬스터/특성/ㄹ#리베로|리베로]] 포함 8세대까지는 '''무제한'''. 이 패널티는 9세대부터 적용되었다.] || [anchor(앵커-세부 정보)] ||<-5> {{{#white 세부 정보}}} || || 포켓몬 || 분류 || 신장 || 체중 || 포획률 || || 0907 나로테 || 풀고양이 포켓몬 || 0.9m || 12.2kg ||<|2> 45 || || 0908 마스카나 || 매지션 포켓몬 || 1.5m || 31.2kg[* 이전까지 33.0kg으로 가장 가벼운 무게를 가진 스타팅 포켓몬이었던 [[에이스번]]을 제치고 가장 가벼운 스타팅 포켓몬이 되었다. 반대로 가장 무거운 스타팅 포켓몬은 [[라우드본]].] || [anchor(앵커-유전 정보)] ||<-4> {{{#ffffff 유전 정보}}} || || 성비 || 알 그룹 || 부화 걸음수 || 최대 경험치량 || || 수컷 : 87.5% [br] 암컷 : 12.5% || 육상, 식물 || 5,120걸음 || 1,059,860 || [anchor(앵커-진화)] ||<-16> {{{#white 진화}}} || || {{{#white 진화}}} ||<-3> [[파일:906나오하.gif|width=40]][br]0906 [[나오하]] ||<-3> 레벨 16[br]→ ||<-3> [[파일:907.gif|width=50]][br]0907 나로테 ||<-3> 레벨 36[br]→ ||<-3> [[파일:908-1.gif|width=80]][br]0908 마스카나 || [anchor(앵커-방어 상성)] ||<-7> {{{#white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 || 이름 || 4배 || 2배 || 1배 || 0.5배 || 0배 || || [[파일:907MS.png|width=50]][br]나로테 || - || [include(틀:독타입)][include(틀:불꽃타입)][include(틀:비행타입)][include(틀:얼음타입)][include(틀:벌레타입)] || [include(틀:강철타입)][include(틀:고스트타입)][include(틀:격투타입)][include(틀:노말타입)][include(틀:드래곤타입)][include(틀:바위타입)][include(틀:악타입)][include(틀:에스퍼타입)][include(틀:페어리타입)] || [include(틀:땅타입)][include(틀:물타입)][include(틀:전기타입)][include(틀:풀타입)] || - || || [[파일:908MS.png|width=50]][br]마스카나 || [include(틀:벌레타입)] || [include(틀:독타입)][include(틀:불꽃타입)][include(틀:비행타입)][include(틀:얼음타입)][include(틀:격투타입)][* [[플라잉프레스]]에는 4배][include(틀:페어리타입)] || [include(틀:강철타입)][include(틀:노말타입)][include(틀:드래곤타입)][include(틀:바위타입)][include(틀:애스퍼타입)] || [include(틀:땅타입)][include(틀:물타입)][include(틀:전기타입)][include(틀:풀타입)][include(틀:고스트타입)][include(틀:악타입)] || [include(틀:에스퍼타입)] || [anchor(앵커-종족치)] ||<-8> [[종족치|{{{#white 종족치}}}]] || || 포켓몬 || HP || 공격 || 방어 || 특수공격 || 특수방어 || 스피드 || 합계 || || [[파일:907MS.png|width=50]][br]나로테 || 61 || 80 || 63 || 60 || 63 || 83 || 410 || || [[파일:908MS.png|width=50]][br]마스카나 || 76 || 110 || 70 || 81 || 70 || 123 || 530 || [anchor(앵커-울음소리)] ||<-8> [[울음소리(포켓몬스터)|{{{#FFFFFF 울음소리}}}]] || ||<-2> [[파일:907MS.png|width=50]][br]{{{#FFFFFF 나로테}}} || ||<#ffffff,#000000><-2><:>{{{#!HTML}}}|| ||<-2> [[파일:908MS.png|width=50]][br]{{{#FFFFFF 마스카나}}} || ||<#ffffff,#000000><-2><:>{{{#!HTML}}}|| [anchor(앵커-도감 설명)] ||<-2> {{{#white 도감 설명[br]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마스카나#앵커-도감설명 스킵|{{{#white skip}}}]]을 눌러주세요.}}} || ||<-2> [[파일:907MS.png|width=50]][br]{{{#white 0907 나로테}}} || || 스칼렛 ||긴 털 아래 숨긴 덩굴을 능숙하게 다뤄서 단단한 꽃봉오리로 상대를 가격한다. || || 바이올렛 ||털의 강도는 기분에 따라 변한다. 전투태세에 들어가면 바늘처럼 예리하고 뾰족해진다. || ||<-2> [[파일:908MS.png|width=50]][br]{{{#white 0908 마스카나}}} || || 스칼렛 ||꽃이 떠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망토 뒷면의 털이 빛을 반사해서 줄기를 보이지 않게 하기 때문이다. || || 바이올렛 ||[[트릭플라워|교묘하게 상대의 주의를 돌린 뒤 꽃가루가 가득 담긴 꽃폭탄을 눈치채지 못하게 붙여 폭파시킨다.]] || ||<-2> [anchor(앵커-도감설명 스킵)] || [anchor(앵커-전용기)] || {{{#white 전용기}}} || || [[트릭플라워]] || == 개요 == ||'''장난꾸러기에 외로움을 잘 탄다''' 눈에 띄고 싶어 하는 장난꾸러기지만, 한편으로는 외로움을 잘 타기도 합니다. 트레이너가 관심을 주지 않으면, 트레이너가 잠든 사이에 덩굴로 꽁꽁 싸매는 등, 짓궂은 장난으로 관심을 끌려고 합니다. '''덩굴을 능숙하게 다뤄서 꽃봉오리로 공격한다''' 지능이 높고, 손재주가 뛰어납니다. 목에 달린 꽃봉오리는 긴 덩굴 끝에 달려 있으며, 이 덩굴을 능숙하게 다뤄서 단단한 꽃봉오리로 상대를 가격하는 전법이 특기입니다. ---- [[https://pokemonkorea.co.kr/sv/menu168?stype1=&stype2=&number=2782&mode=view|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공식 사이트의 나로테 소개 페이지]]에서 || ||'''마술처럼 상대의 의표를 찌르는 꽃폭탄''' 목 주변에 자란 잎사귀가 망토처럼 되었으며, 뒷면의 털로 빛을 난반사하여 줄기를 보이지 않게 해서, 마치 꽃폭탄이 떠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합니다. 꽃가루가 가득 담긴 꽃폭탄은 다양한 곳에 붙이거나 원하는 타이밍에 터뜨릴 수 있어서, 상대의 의식을 교묘하게 흐트러뜨리면서 꽃폭탄을 붙인 뒤, 폭파시키는 공격을 합니다. '''트레이너를 향한 강한 집착''' 자존심이 강하고 눈에 띄는 것을 좋아하지만, 섬세한 면도 있습니다. 자신의 트레이너에 강한 집착을 보이는 일이 잦고, 질투심이 많아서, 트레이너가 다른 포켓몬을 귀여워하는 모습을 보면 기분이 나빠집니다. ---- [[https://pokemonkorea.co.kr/sv/menu168?stype1=&stype2=&number=2785&mode=view|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공식 사이트의 마스카나 소개 페이지]]에서 ||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의 풀타입 [[스타팅 포켓몬]]. 이름의 어원은 가면무도회를 뜻하는 [[마스커레이드]]와 고양이의 울음소리인 "~냐"에서 따온 것으로 보이며, 모티브는 가면을 쓴 마술사[* 도감 설명에도 빛을 난반사하여 등 뒤의 줄기를 보이지 않게 한다던가, 방심한 사이 폭탄을 터뜨린다는 등 여러모로 트릭이나 눈속임을 사용하는 마술사의 모습과 가깝다.], 그리고 고양이인 것을 보아 [[슈렉 시리즈]]의 [[장화신은 고양이(슈렉)|장화신은 고양이]]로 보인다. 또한 얼굴에 나 있는 갈기와 짧은 꼬리를 보면 이베리아 [[스라소니]] 역시 모티브인 듯하다. == 포획 및 스토리 == || 메인 등장 작품 ||SV || || 포지션 ||다타입 견제형 물리 딜러, 높은 공격과 빠른 스피드를 활용한 물리 스위퍼 || || 난이도 ||상 || || 장점 ||높은 공격력, 빠른 스피드, '''안정적인 고위력 전용기의 존재''', 다타입 견제 가능[*추가 불꽃타입 테라스탈 사용할 경우 반감되는 4개의 타입을 오히려 약점으로 찌를 수 있게 된다.]|| || 단점 ||수많은 약점과 이로 인한 레츠고 시스템 활용의 어려움, 낮은 내구력, 악타입 포함 트릭플라워, 치근거리기 외에 위력 80 이상의 공격기의 부재, 스타단 및 후반부 보스들과의 나쁜 상성[* [[오르티가]], [[비파(포켓몬스터)|비파]], [[그루샤]], [[뽀삐(포켓몬스터)|뽀삐]], [[청목]]. 상성상 유리한 보스는 [[칠리(포켓몬스터)|칠리]]와 [[어써러셔]] 정도밖에 없다. [[히든 보스]]의 경우도 선봉 포함, 파티의 절반이 격투, 페어리타입이라 약점을 찔리기 쉽다. 물론 내구력이 낮은 경우 테라스탈 후 자속 필중 급소기인 [[트릭플라워]]로 깔끔하게 정리해버릴 수 있다.] || || 추천되는 도구 ||기적의씨, 돌격조끼, 달인의띠, 부적금화[* 애초에 화력과 스피드는 충분하고 불리한 상대 앞에선 유턴으로 내뺄 수 있어서 마스카나에게 화력이나 내구를 보충해주는 도구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 마스카나가 선봉으로 나오는 일이 잦다는 걸 고려하면 실전배틀용 포켓몬 육성에 돈이 꽤나 많이 드는 9세대 특성상 차라리 부적금화를 장착하고 스토리에서 조금이라도 더 돈을 긁어모으는 게 낫다.]|| || 서브 포켓몬 ||[[플로젤]], [[퍼퓨돈]], [[파이어로]] or [[윈디]], [[빠르모트]], [[코리갑]], [[루카리오]], [[루가루암]], [[엘레이드]]|| || 대체재 ||[[밤선인]], [[달코퀸]], [[스코빌런]], [[육파리]] ,[[버섯모]] ,[[조로아크]] || || 추천 기술배치 ||트릭플라워(필수)[br]기습 or 깜짝베기 or 탁쳐서떨구기(필수)[br]번개펀치/깨트리기/애크러뱃/유턴/치근거리기 중 2개 선택 || 초반부가 좀 고생이지만, 그 후로는 무난하게 진행이 가능하며, [[라우드본]], [[웨이니발]]과 비교했을 때는 일장일단이 있다.[* 라우드본은 스피드가 너무 느려서 레벨 차이로 밀어붙이려고 해도 선공을 맞는 경우가 잦아 테라스탈과의 궁합이 좋지 않지만, 내구력과 체육관 관장들과의 상성이 좋은 편이며, 딜링도 꽤나 준수하다. 웨이니발은 애매한 스피드에 발목을 잡히지만 스피드는 전용기를 통해 어느 정도 커버를 할 수 있고, 화력 자체도 충분히 강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상황에서 무난무난하게 좋다.] 마스카나의 경우 나로테 시기에 레벨 20을 찍고 씨폭탄을 배우게 됐을 때부터 슬슬 진행 난이도가 낮아지며, 마스카나까지 진화하여 전용기인 트릭플라워를 얻은 후로는 1배 위력으로도 가볍게 원턴킬이 날 정도로 화력이 강하고, 스피드도 매우 빨라서 테라스탈과 궁합이 대단히 좋기 때문에 유리대포 식으로 운용이 가능하다. 초반에 [[손톱갈기]]를 배울 수 있긴 한데, 하필이면 그 시기에 주력으로 사용하는 기술들 중 명중률이 낮은 기술이 딱히 없어서 좀 붕뜨는 감이 있다.[* 나로테 시기에 주력으로 사용하는 전광석화, 씨폭탄, 물기 모두 명중이 100인데다 심지어 매지컬리프는 필중기다.] 그래도 마스카나가 되기 전까지 대미지 보조용으로 나름 쏠쏠하게 써먹을 순 있다. 일단 풀/악타입이 서로 상성 보완이 안 된다는 점은 분명히 단점이지만 반대로 생각하면 공격 상성으로는 여러 타입을 찌를 수 있다는 것이니 나쁘지만은 않다. 방어 상성이 나쁘다는 약점 또한 NPC와의 대전에선 유턴으로 빼거나[* 유턴을 못 배웠어도 그냥 교체하면 된다.] 레벨 차이로 밀어버리면 그만이라 그렇게까지 눈에 띄는 약점은 아니며 풀타입 고위력기도 초고성능의 전용기[* 필중기에 기술 설명엔 위력 70이라고 표기되어 있지만 확정 급소라 실능은 위력 105이다. 여기에 자속 보정까지 받기 때문에 위력은 더더욱 올라간다.]로 밀어버릴 수 있으니 다른 풀타입 포켓몬들과 비교해봐도 마스카나만의 확연한 장점이 존재한다.[* 다른 풀타입 포켓몬들은 쾌청 설치 후 솔라빔을 사용해야 120의 위력이 나오는데, 마스카나는 쾌청이 없어도 비슷한 위력에 랭크다운 등의 디메리트도 없는 필중기를 난사해댈 수 있다.] 확실한 단점이라면 역시 낮은 내구. [[나오하]] 때부터 굴리다보면 지속적으로 자잘한 데미지가 누적되어 금방 체력이 바닥나버리기에 백업용 포켓몬은 항상 준비해두어야 한다. 챔피언 루트의 체육관 관장들과의 상성은 2명에게 불리하고, 4명에게 유리해서 무난하다.[* 다만 상성상 불리한 벌레타입 체육관 관장이 사실상 1번째 관장인 게 문제가 될 수 있는데, 초반 맵에선 [[파이어로|화살꼬빈]]을 어렵지 않게 만나볼 수 있고, 출현률이 많이 낮은 게 흠이지만 [[카르본]] 또한 초반에 포획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같이 벌레타입의 약점을 찌를 수 있는 포켓몬들을 잡아두면 쉽게 돌파할 수 있다. 심지어 가는 길에 [[찌르호크|찌르꼬]]도 등장해서 더더욱 돌파가 쉽다.] 하지만 사천왕 전에서는 갑자기 1명에게만 유리하고, 나머지 3명에게는 불리해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그래도 돌파구가 아예 없는 건 아닌데, 번개펀치를 채용하고 테라스탈 타입을 불꽃타입으로 바꾸면 나머지 3명도 안전하게 약점을 찌를 수 있게 된다.[* 다만 테라스탈 타입을 바꾸려면 테라피스 불꽃이 50개나 필요해서 어지간히 노가다를 해두지 않았거나, 아예 노가다 없이 스토리만 밀었다면 사실상 불가능한 전략이다.] 챔피언의 경우 상성상 유리할 때도 많고 난이도도 챔피언치고 은근 쉬운 편이기에 어렵지 않게 처리할 수 있다. 레전드 루트는 몇몇 상대만 빼면 전체적으로 그리 어렵지 않게 진행할 수 있다. [[절벼게]]와 [[어써러셔]]는 자속 풀타입 기술로, [[싸리용]]은 페어리타입 기술인 치근거리기로 약점을 찌르거나 그냥 트릭플라워로 밀어버리면 그만. 무쇠바퀴는 무난하게 상대가 가능하고 꿈트렁도 악타입 기술인 깜짝베기 등으로 공략하면 그리 어렵지 않다. 주의해야할 상대는 [[떨구새]]와 스칼렛 버전의 [[위대한엄니]]. 떨구새에겐 비행타입으로 약점을 찔리고, [[위대한엄니]]는 자속으로 격투타입 기술을 사용하니 더욱 주의해야 한다. 대신 위대한엄니는 풀타입에 약점을 찔리기 때문에 마스카나가 마냥 밀리기만 하는 것은 아니다. 떨구새의 경우 비슷한 레벨대에서 공략한다고 가정하면 [[나로테]]로 공략하는 것보단 필드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콜로솔트|베베솔트]]를 잡고 18~20 레벨 정도까지 키운 다음 떨어뜨리기만 난사해주면 손쉽게 잡을 수 있다.[* 이때 마침 함께 싸우는 페퍼가 사용하는 포켓몬도 베베솔트이며, 사용하는 기술도 떨어뜨리기이다.] 가장 문제가 되는 건 스타단인데, 그냥 쉽게 넘어갈 수 있는 피나를 제외한 전원이 마스카나의 약점을 찌르는 타입의 포켓몬을 전문으로 다루고 있어 최악의 상성을 보여준다. 멜로코는 불꽃인데, 코터스부터 가뭄을 깔고 가서 더 아프게 맞는다. 추명 역시 힘든 건 매한가지인데, 스컹탱크는 자속 풀과 서브웨폰 악이 모두 막히는 상대. 오르티가는 마릴리의 경우 죽창싸움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마릴리는 천하장사 마릴리. 즉 마릴리를 못 죽이면 마릴리의 치근거리기에 맞아죽는다.[* 그나마 마릴리 역시 내구가 높은 편은 아니므로 어지간하면 트릭플라워에 1타내기는 어렵지 않다.] 마지막으로 비파의 경우 루카리오는 강철이 껴있고, 독개굴은 독이 껴있어서 자속 풀로도 막히는 상대이다. 1타에 막힌 뒤에 격투기술이 나오면 바로 죽기 십상이고, 테라스탈로 악 타입을 지워도 마스카나의 부실한 내구 때문에 스윕은 거의 불가능이라 보면 된다. 무엇보다 스타모빌의 떡장갑과 고화력 및 특수한 특성은 랭크업 없는 고속 어태커에게 쥐약과도 같으므로[* 그것뿐만 아니라 급소 면역 기능도 있어서 반드시 급소가 뜨는 트릭플라워로도 '''급소가 안 터진다.'''] 대면이라도 한방 버티고 약점 찌르는 자속 액셀기에 나가떨어진다. 그렇다고 테라스탈 타입을 바꾸자니 이것도 상당한 수고가 드니, 마스카나로 우직하게 밀기보다 다른 동료 포켓몬에게 맡기는 것이 좋다. 그리고 [[깨물어부수기]], [[지옥찌르기]], [[DD래리어트]]를 배우지 못하는 것도 마스카나의 화력에 아쉬운 점이 된다. DD래리어트야 마스카나가 헤비급 포켓몬이 아니니까 그렇다고 치더라도 깨물어부수기나 지옥찌르기 둘 중 하나라도 있었다면 자속 화력이 부족할 일은 없었을테니 아쉬울 따름. 요약하자면 높은 공격력 + 빠른 스피드 + 고성능의 전용기 + 다타입 견제 + 테라스탈과의 뛰어난 호환성 등으로 게임 진행은 편리하나 낮은 내구력으로 인해 잦은 회복이 필요하다는 점은 단점으로 꼽을 수 있다. 그래도 이 부분은 다른 포켓몬들과의 조합해 주면 그만이며, 불리한 상대일 경우 유턴으로 유리한 상대로 교체하면서 대미지를 주는 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 추가적인 소소한 단점으로 본인의 방어 상성이 유리한 건 나오하 시절 3개(본인 타입 제외), 불리한 건 5개나 되기 때문에 유리한 타입이 2배 많은 다른 두 스타팅에 비해 레츠고 모드에서 상당히 불리하다. 심하면 충분히 레벨이 높음에도 초반에 나오는 화살꼬빈한테 당해서 돌아오는 경우도 많다.[* 정작 막상 배틀을 붙어보면 비자속 1배 기술에도 뻗는 레벨임에도 이런 경우가 있다는 것이 문제.] == 대전 == 타입은 [[풀 타입]]과 [[악 타입]]이라는 보기 드문 조합으로 스타팅 중에선 비슷한 악 타입의 [[개굴닌자]]처럼 고스피드형 물리 어태커로 쓸 수 있다. 변환자재 계통의 특성을 가진 포켓몬들[* [[켈리몬]], [[개굴닌자]], [[에이스번]], 마스카나.] 중에선 공격력과 내구력은 중간 정도 간다. 전용기 [[트릭플라워]]는 위력 70에 '''반드시 급소를 맞추는 필중기'''라는 파격적인 성능을 지녔다. 위력 자체는 [[우라오스]]의 전용기인 [[암흑강타]]나 [[수류연타]]보다 약간 낮지만, 쾌청 날씨 아래에서의 수류연타처럼 기술이 상성 외의 이유로 약해질 일은 없다. 숨겨진 특성은 변환자재이나, 9세대에서부터 변환자재 / 리베로는 볼에서 나왔을 때 한 번만 발동하도록 하향되었다. 종족값에서 가장 눈에 들어오는 점은 '''122'''의 개굴닌자보다도 빠른 '''123'''의 스피드로 이는 역대 스타팅 포켓몬들을 통틀어 가장 빠른 속도에 해당한다. 풀타입 포켓몬 전체를 놓고봐도 비전설 기준 2위이며, 전설/환상/이전 세대의 포켓몬 등을 포함하더라도 4위[* 1위는 히스이 리전 폼 [[붐볼]](150), 2위는 [[메가나무킹]](145), 3위는 [[쉐이미]] 스카이폼(127).]에 해당할 정도로 매우 빠른 스피드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 외엔 [[탁쳐서떨구기]]와 [[유턴(포켓몬스터)|유턴]], [[치근거리기]]를 자력으로 배우고, 교배기로는 [[꽃보라]]와 [[기습(포켓몬스터)|기습]]을, 기술머신으로는 [[번개펀치]], [[깨트리기]]/[[안다리걸기]]/[[로킥]], [[제비반환]]/[[애크러뱃]], [[섀도클로]], [[테라버스트]] 등을 배울 수 있다. 특이하게 고양이형 포켓몬인데 [[속이기]]를 배울 수 없다. 꾹꾹이로 [[달콤한향기]]를 퍼뜨린다는 설정과 다르게 달콤한향기도 쓸 수 없고, [[아로마테라피]][* 9세대에서 삭제된 기술이다.] 성분이 있는 털을 가지고 있다는 설정에도 불구하고 배우지 못한다. 심지어 햇빛을 털로 흡수해서 에너지로 바꾼다는 설정에도 [[광합성(포켓몬스터)|광합성]]도 못 배운다. 꽃을 사용한다는 설정과 달리 [[꽃잎댄스]]도 배울 수 없기는 한데, 아마 마스카나가 물리형인지라 특수기인 꽃잎댄스를 굳이 배우게 할 필요가 없었을 거라는 추측이다. 제작진들의 설계미스인 건지 아니면 밸런스 조절을 하기 위해 일부러 제외시킨 건진 불명. 풀/악이라는 타입은 서로 보완되지 않아서 약점이 무려 7개, 벌레 타입과 [[루차불]]의 전용기 [[플라잉프레스]]에는 4배 약점을 가진다. 벌레타입이 타점이 워낙 구려서 잘 안 쓰이는 타입이긴 하지만 유턴만은 예외이니 유턴을 매우 주의해야 한다. 내구가 좋은 편이 아니라서 유턴에 맞으면 거의 바로 볼로 돌아간다. [[패리퍼]] 정도의 유턴에도 간당간당하며, 자속 유턴에는 볼 것도 없이 확정 1타.[* 풀타입 테라스탈 시엔 [[랜드로스]] 영물폼의 공격 풀보정 유턴은 82.8%~98.6% 확정 2타로 아슬아슬하게 견딘다.] 반감도 여섯 개로 늘어나지만, 찔리는 약점이 대부분 메이저한 타입들이기 때문에 체감 생존력은 낮다. 변환자재와 테라스탈은 동시에 사용할 수 없다. 테라스탈을 먼저 사용하면 변환자재가 씹히고, 변환자재를 먼저 사용하면 테라스탈이 정상 적용되지만 이 경우 자속성을 2개 타입밖에 받지 못하게 되고(변환 속성 + 테라스탈 타입), 전용기를 사용하려면 첫 턴에 풀 기술을 사용하든가 첫 턴에 다른 기술을 쓰고 굳이 풀 테라스탈을 써야 하는데 양쪽 다 그냥 처음부터 테라스탈을 쓰는 것에 비해 실익이 크지 않다. 고려해 볼만한 변화기로는 [[씨뿌리기]], [[도발]], [[트릭]], [[애교부리기]], [[독압정]], [[압정뿌리기]] 등이 있다. 높은 스피드와 탁쳐서떨구기[* 8세대의 다이맥스처럼 테라스탈은 도구가 고정되지 않으므로 사용 부담이 적다.], 더블배틀용으로 쓸만한 [[사이드체인지]]도 있으나 본작의 더블배틀은 다이맥스 환경처럼 단일기가 많은 환경도 아니고, 마스카나 자체가 [[크레세리아]]처럼 변화기 비중이 높은 것도 아니라 애매하다. 오히려 이쪽 환경에서도 머리띠나 스카프 등 공격적인 도구의 채택률이 높은 편. 한편 사이드체인지 외에도 [[트릭룸]]을 배우기 때문에 원체 스피드가 빠른 마스카나와의 궁합은 별로지만, 더블 배틀에서 자신의 팀보다 빠른 구축을 상대할 때 깜짝 룸으로 스피드 관계를 뒤집기도 했다. 물론 주류 전략까지는 되지 못하고, 트릭룸 채용 [[엘풍]]마냥 의표를 찌르는 정도에 그쳤지만, 단순 [[기합의띠]] 어태커 이외로도 활약이 가능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풀/악이라는 타입은 방어상성으로는 최악이지만, 공격상성으로는 꽤나 준수하고, 부가효과가 매우 우수한 자력기를 2가지나 보유하고 있으며, 부족한 위력은 테라스탈과 특성을 통해 보완이 가능하다. 높은 스피드에 잘 어울리는 유턴, 도발을 배우고 자속 선공기인 기습도 있어 고스피드형 유틸리티 어태커로 사용되기에 필요한 요소는 전부 가졌다. 랭크배틀 시리즈 1에서는 [[드래펄트]] 다음 가는 고스피드와 물, 바위, 땅, 고스트[* 어써러셔, 콜로솔트, 마릴리, 하마돈, 워시로토무 등. 드래펄트의 경우 스피드는 드래펄트가 더 빠르지만, 마스카나의 자속 기습에 1타라 심리전이 필요하다.] 타입의 메타 및 메이저 포켓몬들을 뚫어버리는 필중 급소기와 사기 기술인 자속 [[탁쳐서떨구기]]와 [[기습(포켓몬스터)|기습]]을 가졌다는 점에서 최상위권의 S급 포켓몬으로 활약하고 있다. 또한 현재 사기 포켓몬으로 꼽히는 [[콜로솔트]]와의 조합도 매우 뛰어난 것도 한몫한다. 콜로솔트가 버티기 버거워하는 [[타부자고]]나 워시[[로토무]] 등의 메이저 포켓몬들을 마스카나가 치워줄 수 있으며, 이렇게 천적이 사라지면 그대로 콜로솔트는 상대의 파티를 단신으로 막는 괴물이 된다. 또한 구애 샘플의 경우 같은 스타팅인 라우드본과의 조합도 좋은데, 라우드본은 일반적으로 막이로 쓰이기 때문에 마스카나를 노린 공격을 흘려주기도 좋고 상성면에서 마스카나의 약점을 노리고 들어오는 공격들을 대부분 무효, 반감시킨다. 거기에 특성이 천진이어서 랭크 변화를 무시하기 때문에 상대가 마스카나의 유턴을 읽고 랭크업 기점으로 삼으려고 해도 무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훌륭한 보완 관계. 이러한 장점들 덕분에 싱글 배틀에서는 사용률 6위, 더블 배틀에서는 아예 '''1위'''를 기록하며 날아다녔다. [[기합의띠]]를 채용할 경우 거의 확정적으로 심록 특성을 발동시킬 수 있는데, 심록 + 풀타입 테라스탈까지 받은 트릭플라워의 결정력은 무려 51,000이나 되기 때문에 1배로도 잘못 받았다간 치명상으로 이어진다. 스카프 마스카나 선봉을 상대로 강해진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으로[* 마스카나끼리 대면하게 되면 대부분 4배 약점인 유턴으로 잡고 즉시 교체를 보는 것이 일반적인 움직임인데, 기합의띠 마스카나는 어차피 후공이니 유턴을 기합의띠로 버티고 심록을 터뜨려 트릭플라워 후 기습이나 빠른 자속기로 대부분의 상대를 마무리할 수 있다.] 대면전에서의 성능이 비약적으로 좋아진다. 숨겨진 특성인 변환자재를 사용할 경우 보통 구애시리즈와 함께 사용한다. 기술 배치는 자속 기술에 [[유턴(포켓몬스터)|유턴]], [[치근거리기]], [[안다리걸기]], [[트릭(포켓몬스터)|트릭]] 중 2개를 택하는 경우가 많다. 스카프로 스피드를 극대화시켜 사이클을 돌리거나 [[트릭(포켓몬스터)|트릭]]으로 막이 등 일부 포켓몬 기능정지 겸 기점마련을 하며, 머리띠 형태의 경우 우수한 결정력과 스피드로 적의 사이클에 강하게 부하를 걸 수 있다. 이쪽은 대미지가 상당해서 콜로솔트도 돌파가 가능해진다. 가장 메이저한 역할은 역시 [[기합의띠]]로, 기합의띠 착용자들이 그렇듯 선봉요원으로 나선다. 기합의띠를 믿고 심록 트릭플라워 + 기습으로 1킬 후 2번째 포켓몬까지 대미지 좀 긁어주고 퇴장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그림. 준수한 공격력과 자속 보정을 받는 최속 탁쳐서떨구기의 일관성이 매우 훌륭하고, 거의 대부분의 상대에게 최소한 일인분을 보장한다는 점에서 대면전 구축의 최상급 선봉으로 꼽힌다. 다만 다른 기합의띠 착용자인 [[버섯모]], [[무쇠무인]], [[파오젠]], [[포푸니크]] 등과의 대면에서는 이길 수 없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약점으로는 노말타입 테라스탈을 적용한 [[망나뇽]]의 신속, [[버섯모]]의 마하펀치, [[드닐레이브]]의 얼음뭉치, 그리고 기합의띠를 깨뜨리는 연속기 정도가 있다. 마스카나 쪽도 기습이 있기 때문에 무조건 선공기를 상대로 불리한 것은 아니지만, 심록 특성을 발동시키지 않은 트릭플라워를 반감으로 받은 후, 기합의띠를 깨뜨리고, 선공기로 마무리하는 패턴을 상대로는 유턴으로 빼거나 기껏해야 탁쳐서떨구기라도 한 번 쓰고 퇴장하는 것밖에 선택지가 없다. 시간이 지나며 배틀 환경에 강력한 페어리타입 포켓몬이 많지 않아 드래곤타입 포켓몬이 날뛰자 페어리 타입으로 사용이 가능한 변환자재형 역시 주목받게 되었다. 페어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첫 턴엔 무조건 치근거리기가 강제된다는 단점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선 상황에 맞는 다른 타입으로 활용도 가능해진다는 장점으로 사용할 수도 있기에 일장일단이 있다. 특히 유턴의 경우 사용즉시 교체되어 다시 변환자재를 사용할 수 있기에 리스크 없이 자속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전용기 트릭플라워와 S급 공격기인 기습, 유턴, 탁쳐서떨구기를 배우는 덕분에 고스핏 물리형으로 굴리는게 정석이지만, 칼춤을 못 배우는 대신 나쁜음모를 배울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해서 드물게 마스카나를 특수형으로 굴리는 형태도 있다. 81이라는 낮은 특공이 발목을 잡지만 나쁜음모로 부족한 특공을 보완하고 [[에너지볼]], [[리프스톰]], [[악의파동]] 등 출중한 자속기와 [[파워젬]][* 다른 특수형 풀 타입 포켓몬들은 이 조차도 못배워서 불, 비행 타입 돌파에 난항을 겪는 단점을 고려하면 꽤나 유용한 메리트라고 볼 수 있다.], [[파동탄]] 같은 유용한 서브웨폰도 배우기 때문에 적의 허점을 노리기 쉬워진다. 다만 나쁜음모가 강제되는 특성상 변환자재 특성과 연계하는 플레이가 사실상 불가능한데다 천진 특성의 막이들에게 약하고, [[매지컬플레임]]과 [[문포스]]는 배우지 못해서 그 이상의 활약은 무리. 드물지만 더블 배틀용으로 꽃보라를 채용하기도 한다. 전체 판정을 노리고 쓰는 경우로, 이럴 때는 초식 특성을 가진 마릴리나 바라철록, 고고트, 미끄래곤, 노라키 및 풍력발전 특성을 가진 찌리비크 등과 팀을 맺는 편. [[패러독스 포켓몬]]들이 해금된 시리즈 2 초반엔 마스카나보다 빠르게 고화력 전개가 가능한 어태커들이 대거 늘어나면서 사용률이 좀 줄어들었지만, 이후 고동치는달, 무쇠무인 등을 비롯한 일부 최상위권 포켓몬들의 거품이 걷히기 시작하자 순위가 반등하여 전체 10위라는 높은 사용률을 보여주었다. 시리즈 1에서는 사실상 스피드 1위인 [[드래펄트]] 다음가는 굉장히 빠른 포켓몬이었지만, [[날개치는머리]], [[무쇠보따리]]가 풀리며 기본 스피드로는 우위를 점하기 힘들어졌기 때문에 [[구애머리띠]]의 채용률은 내려가고, 대신 [[기합의띠]]와 [[구애스카프]]의 채용률이 늘었다. 다만 [[사흉(포켓몬스터)|사흉수 포켓몬]]들까지 풀려버린 시리즈 3에 와서는 [[날개치는머리]] 뿐만 아니라 [[파오젠]]과도 선봉 자리를 두고 경쟁을 하게 되면서 셀렉률이 19~21위 정도로 많이 내려갔다. 사실 과거부터 패러독스 및 사흉수 포켓몬들이 해금되면 상성 등의 문제로 인해 마스카나는 대전판에서 아예 사라질 것이란 예측이 있었는데, 이 정도면 굉장히 선방하고 있다는 평이다. 역시나 변환자재 특성을 통한 트릭키한 플레이[* 변환자재 특성으로 타입을 페어리타입으로 변경하면 치근거리기를 자속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위유이를 제외한 사흉수 포켓몬들에게 카운터도 하는 겸 큰 대미지를 줄 수도 있다. 유턴 역시 위유이 제외 사흉수, 그중에서도 특히 총지엔에게 압박을 주면서 교체하여 사이클을 굴리기 쉽다.] 덕분에 꾸준히 살아남고 있다. 레귤레이션C에서는 19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 == === 애니메이션 === [[나오하]]가 주인공인 [[리코(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리코]]의 파트너 포켓몬으로 확정되었기 때문에 [[피카츄(한지우)|피카츄]]처럼 마지막까지 진화를 하지 않는 경우만 발생하지 않는다면 언젠간 진화를 하여 모습을 드러낼 가능성이 크고, 스토리 진행 도중 다른 트레이너의 마스카나가 등장할 가능성도 있다. 물론 진화를 결국 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스타팅 포켓몬에 약점이 많은 나오하로 애니메이션를 끝까지 이끌어나가는 건 거의 불가능[* 그나마 피카츄는 피츄가 진화한 형태긴 하니 어느 정도의 납득은 할 수 있는 여지는 있다.]에 가깝기에 진화할 가능성이 높게 여겨진다. == 기타 == * 변덕스럽고 애교가 많다는 성격과 전반적인 인상이나 외형이 6세대의 불꽃 스타팅인 [[푸호꼬]]와 상당히 닮았다. 특히 최종진화형은 [[테르나]]와 비슷하다. 푸호꼬 계열이 나뭇가지를 지팡이로 사용하는 듯이 고양이가 가지고 노는 [[강아지풀]]을 주로 사용하는 게 아닐까 예상하는 사람들이 많았지만 그렇게 나오지는 않았다. 대신에 중간진화형은 [[요요]]를, 최종진화형은 [[수류탄|꽃폭탄]]을 무기로 사용한다. * 표정과 행동, 울음소리가 요염하다는 평이 많아 타 스타팅 포켓몬들보다 팬아트 수가 많으며, 특히 [[퍼리 팬덤]]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는 마스카나 뿐만 아니라 나로테에도 해당되는 부분. * 마스카나의 울음소리는 [[몬냥이]]의 울음소리와 상당히 흡사하다. * 진화 전 형태인 [[나오하]]는 공개 직후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의 등장인물 [[캬루]]의 표정을 닮았다는 평이 있다. [[https://twitter.com/mmproseka/status/1497940347783368705?t=70e6ZT-B1FtxPz67AT_o5w&s=19|#1]] [[https://m.dcinside.com/board/game_nintendo/1573331|#2]][* 이 표정은 애니판 1기 8화에서 나왔다.] 덕분에 각종 [[https://www.pixiv.net/artworks/96630658|팬아트]]와 캬루베로스 패러디도 등장했다. [[https://twitter.com/dog_dora2/status/1497964460312788993?t=D6ELevfBV6dlMBFjFHznMg&s=19|#1]] [[https://twitter.com/dog_dora2/status/1497973189431169026?t=xGHzK2wlmSwXwpsovx4o3w&s=19|#2]] [[https://www.youtube.com/watch?v=R0drTYV7jPk|나오하로 변한 캬루]] [[https://www.youtube.com/watch?v=Hx-tAf-hvdI&t=41s|풀캬루를 몬스터볼로 잡는 페코린느]] 특히나 진화형인 마스카나는 풀+[[배신|악타입]], 매지션[* 마스카나의 컨셉을 생각하면 마술사의 의미에 가깝지만 Magician이란 단어 특성상 마법사의 의미도 가지고 있다.] 포켓몬, 가면을 쓰고 양갈래 망토까지 겹치는 모습, 상성상 [[충식|벌레]]타입에 4배라 더욱 캬루와 엮인다. 그 외엔 진화형인 마스카나가 가면을 쓰고 있는 외형과 스타팅 포켓몬 특유의 수컷이 우세한 성비 때문에 [[반 다크홈]]을 닮았다거나, [[https://m.dcinside.com/board/pokemon/9907876|#]] [[얏타맨]]의 [[도론죠]] 같다는 반응도 있다. * 마스카나의 랜덤 모션 중에 손을 뒤로 빼고 얼굴을 앞으로 들이미는 게 있는데 마침 주인공과 키가 같다보니 마스카나에게 [[:파일:마스카나쪽.gif|뽀뽀]]를 받는 게 가능하다. 세계 어디서나 이런 생각은 똑같은지 동서양을 막론하고 マスカーニャ キス, Meowscarada Kiss로 검색하면 관련 언급이 많이 나온다.[* [[https://www.youtube.com/watch?v=MH0i-hjcBVY|유튜브]], [[https://twitter.com/i/status/1594852326325768192|트위터]]. ] 단일 포켓몬으로서는 정말 이례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은 셈.[* 사실 스타팅 포켓몬으로 나오하를 선택하면 나오는 컷씬에서도 플레이어의 이마에 뽀뽀를 한다.] * 2023년 1월 12일자로 초기 포켓몬들의 추가 설정이 공개되면서 일본 쪽에서는 다시 한번 관심을 받았다. [[https://twitter.com/poke_times/status/1613540660698652675|공식 트위터]] [[https://gall.dcinside.com/m/game_nintendo/2045891|관련 기사]] 마스카나의 설정 중 주인에 대한 집착이 강하고 질투를 잘한다는 설정이 있다는 것. [[https://twitter.com/Azaro_GWIN/status/1613541524142436353|#1]] [[https://twitter.com/1O8_tea_leaves/status/1613546106230829064|#2]] [[https://twitter.com/percussiontim/status/1613543408483840002|#3]] [[https://twitter.com/v4Utefe1g8P65bT/status/1613548502851936257|#4]] 한국에도 같은 설정이 같은 날 공개됐기 때문에 마찬가지인 반응이다. [[https://gall.dcinside.com/pokemon/10447841|#1]] [[https://twitter.com/aiueo_0121_03/status/1613567398069821440|#2]] [[https://twitter.com/angblessyou/status/1613543536871510017|#3]] [[https://twitter.com/akeh45/status/1613726531419013121|#4]] 이때 반응이 꽤 컸는지 한 동안 [[픽시브]] 인기 검색어 순위 [[https://gall.dcinside.com/m/game_nintendo/1975635|3위에 오른 적도 있다.]] * 보다시피 단일 포켓몬으로 밈이 굉장히 많은 편이다. 심지어 고라파덕이나 야돈 밈처럼 특정 국가에서만 존재하는 밈이 아니라 한중일 북미 유럽 전세계적으로 똑같은 밈이 퍼져있는 상당히 이례적인 케이스. 반 다크홈이랑 섞은 팬아트나 키스하는 팬아트 같은 걸 보면 그린 사람 국적이 다 제각각임을 알 수 있다. * 얼굴형은 고양이 중에서도 [[페르시안]] 종의 돌페이스 형태와 비슷한 편이다. 귀와 얼굴에 있는 무늬는 [[샴고양이]]와 비슷하다. * 알그룹은 육상 + 식물 그룹으로 기존에는 다탱구, 샤로다, 고릴타만 가지고 있던 희귀한 조합이며, 마스카나가 그 뒤를 이어 4번째 육상 + 식물 그룹이 되었다. 또한 단일 육상그룹만 있는 전 세대 고양이형 포켓몬 중에서도 알그룹이 2개인 유일한 고양이 포켓몬이다. * 암컷 마스카나를 얻고 시작하고 싶은 사람들 한정으로 스타팅의 성비가 수컷 87.5% : 암컷 12.5%란 점 때문에 고생하기도 한다. 사실 이건 마스카나만 그런 건 아니지만 스타팅 포켓몬이어서 수컷이 걸리면 게임을 종료했다가 다시 시작해야 하기 때문에 그렇다. 또한 색이 다른 암컷 나오하는 매우 귀한 대접을 받는다. 도감을 완성한 상태에서 국제교배로 알까기를 하면 색이 다른 포켓몬이 나올 확률이 1/512인데 여기에 스타팅 계통의 12.5%라는 암컷 성비를 곱하면 사실상 아무런 확률 보정 없이 색이 다른 포켓몬을 노리는 것과 똑같기 때문이다.[* 확률상 대략 알 4천 개를 까야 암컷 이로치 나오하가 한 마리 나오는데 박스 1개가 30칸인 걸 생각하면 약 134박스 정도다. 에딧이 아닌 이상 정석으로 노리려면 진짜 작정하고 노력해야 하는 수준.] * 일러스트의 포즈가 [[N(포켓몬스터)|N]]과 상당히 유사한데 딱히 연관이 없는 것으로 봐 우연의 일치인 것으로 보인다. 그래도 N이 마스카나 코스프레를 하는 팬아트도 많이 보인다. 그 외에는 [[일목]]과도 좀 닮은 편. === 삽화 === ||<-2> '''{{{#fff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의 도감 이미지}}}''' || ||[[파일:907 나로테 dex.png|width=100%]]||[[파일:908 마스카나 dex.png|width=100%]]|| || '''나로테''' || '''마스카나''' || === 국가별 명칭 === || {{{#fff 언어}}} || {{{#fff 이름}}} || {{{#fff 유래}}} || || 한국어 || 나로테 || 일본 이름에서 앞의 냐를 나로 변경 || || 일본어 || ニャローテ || 고양이 울음소리 "냐"(ニャ) + brote(스페인어로 새싹/꽃봉오리) 혹은 Rotation[* 자신의 감정에 따라 털의 강도가 달라진다는 도감 설명에 따라 영어 단어 로테이션(rotation)과 합쳐졌다.] || || 영어 || Floragato || Flora(스페인어로 식물) + gato(스페인어로 고양이) || || 중국어(번체) ||<|2> 蒂蕾喵 ||<|2> 꼭지 체 + 꽃봉오리 뢰 + 고양이 묘 [br] "줄기(蒂)와 꽃봉오리(蕾)의 고양이(喵)"라는 뜻이다. || || 중국어(간체) || || {{{#fff 언어}}} || {{{#fff 이름}}} || {{{#fff 유래}}} || || 한국어 || 마스카나 || 일본 이름에서 뒤쪽 냐를 나로 변경 || || 일본어 || マスカーニャ || [[마스커레이드]](가장무도회) + 고양이 울음소리 "냐"(ニャ) || || 영어 || Meowscarada || 고양이 울음소리 "Meow" + [[마스커레이드]] || || 중국어(번체) ||<|2> 魔幻假面喵 ||<|2> 마귀 마 + 헛보일 환 + 거짓 가 + 낯 면 + 고양이 묘 [br] "마법적이고 환상적인(魔幻) 가면(假面) 고양이(喵)"라는 뜻이다. || || 중국어(간체) || == 관련 문서 == * [[스타팅 포켓몬]] * [[사기 포켓몬]] [[분류:9세대 포켓몬]][[분류:풀타입 포켓몬]][[분류:악타입 포켓몬]][[분류:스타팅 포켓몬]][[분류:포켓몬스터/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