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누미디아 국왕)] ||<-3><#BDB76B> '''{{{#FFF 누미디아 서부 2대 군주}}}''' [br] {{{+2 {{{#FFF ''' ⵎⵙⵏⵙⵏ ⵡⵉⵙ ⵙⵉⵏ | 마시니사 2세'''}}}}}} || ||<|3><#BDB76B> '''{{{#FFF 제호}}}''' ||<#BDB76B> '''[[한국어|{{{#FFF 한국어}}}]]''' ||마시니사 2세 || ||<#BDB76B> '''[[베르베르어|{{{#FFF 베르베르어}}}]]''' ||ⵎⵙⵏⵙⵏ ⵡⵉⵙ ⵙⵉⵏ || ||<#BDB76B> '''[[라틴어|{{{#FFF 라틴어}}}]]''' ||Masinissa II || ||<-2><#BDB76B> '''{{{#FFF 가족}}}''' ||[[마스테아바르]](아버지)[br][[아라비오]](아들) || ||<-2><#BDB76B> '''{{{#FFF 생몰 년도}}}''' ||미상 ~ 미상 || ||<|4><-2><#BDB76B> '''{{{#FFF 재위 기간}}}''' ||기원전 81년~기원전 46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누미디아]] 서부의 2대 군주. == 생애 == 누미디아 서부의 초대 군주 [[마스테아바르]]의 아들이다. 기원전 82년 로마의 반란군 지휘관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가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의 숙청을 피해 아프리카로 도피했다. 그는 자신과 같은 처지에 있는 사람들을 끌어모은 뒤, [[히아르바스]]와 손을 잡고 가우다의 아들들을 권좌에서 몰아냈다. 기원전 81년 술라가 파견한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마그누스]]가 도미티우스의 반란군을 제압하고 누미디아의 정치 체계를 원상복귀했다. 이때 아버지가 아닌 그가 누미디아 서부 군주로 등극한 걸 볼 때, 아버지 마스테아바르는 도미티우스가 침공했을 무렵에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후 소 왕국을 조용히 운영하던 그는 기원전 49년 [[카이사르의 내전]]이 발발했을 때 누미디아 동부의 군주 [[유바 1세]]와 함께 폼페이우스를 지지했다. 기원전 46년 카이사르가 아프리카를 침공하여 [[메텔루스 스키피오]]와 연합한 유바 1세를 쳐부쉈을 때, [[마우레타니아]] 군주 [[보쿠스 2세]]의 용병대장인 [[푸블리우스 시티우스]]가 키르타로 쳐들어와서 그를 몰아냈다. 이후 그의 영지 서쪽은 마우레타니아 왕국의 소유가 되었고, 키르타가 있는 동쪽 영역은 푸블리우스 시티우스에게 주어졌다. 그가 어찌 되었는지는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 그의 아들 [[아라비오]]는 탈출 후 히스파니아에서 폼페이우스의 군대에 합류해 카이사르에 맞서다가 아프리카로 돌아온 뒤 시티우스를 처치하고 권좌를 이어받았다. [[분류:누미디아 국왕]][[분류:폐위된 군주]]